View : 580 Download: 0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가 공중의 위기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가 공중의 위기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untry of Origin Image and Ethnocentrism on Public's Perception of Corporate Crisis : Focusing on a Food Crisis
Authors
최연선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관련 위기 상황에서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가 공중의 위기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가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평가, 구매의도 등에 하나의 고정관념으로 작용해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러한 고정관념의 역할이 소비자의 구매행위뿐만 아니라 공중의 위기 인식에도 동일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가정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를 독립변인으로, 공중의 위기인식을 종속변수로 산정하여 3×2의 실험설계를 진행하였다. 식품관련 위기 중에서도 차 관련 식품위기를 위기 사안으로 선정하고,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형식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의 변량분석과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산지 이미지가 공중의 위기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원산지 이미지가 소비자의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원산지가 공중의 위기인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원산지 이미지 효과는 사람들이 식품관련 위기 상황에서 위기의 책임소재 여부나 경제적, 사회적 파장과 같은 실제적 위기 또는 위험 인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원산지 이미지에 영향을 받아 위기상황을 파악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둘째,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은 공중이 위기를 인식하는데 매우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자민족중심주의는 공중의 위기인식을 측정하는 대부분의 변인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자민족중심주의가 문화적인 특성으로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적으로 자민족중심주의와 같은 애국적인 정서가 올바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시대적으로 세계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현재까지는 수입 제품보다는 자국의 제품에 더 호의적인 공중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 간에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 의도 등에는 두 변인이 상호작용하지만 위기인식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에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를 위기상황과 연결시킨 연구가 별로 없다는 점에서 많은 의의를 제공해 준다. 특히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가 소비자의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원산지가 공중의 위기인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원산지 이미지와 자민족중심주의에 대한 방대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이러한 요인들이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변수로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untry of origin image and ethnocentrism effect on public's perception on a food crisis. It assumed that different level of country of origin image and ethnocentrism may affect differently in case of food crisis. Thus, country of origin and ethnocentrism are independent variables, public's perception are dependent variables. Each variable is distinguished into several factors or dimensions. Country of origin image is distinguished into positive(Japan), neutral(Korea), negative(China); ethnocentrism is divided into high and low; Public crisis perception is classified into crisis responsibility, short-term prospect, purchase intention, long-term prospect, perceived risk.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out survey experiment. The main findings of this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Country of origin image and ethnocentrism had an influence on several public crisis perceptions. However, country of origin and ethnocentrism interaction effect did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if the public assess that country of origin is favorable, there crisis perception would be positive. And if ethnocentrism is high, public's crisis perception would be negative. country of origin image and ethnocentrism lead to a different perception of crisis situation. It means that each individual with different prior knowledge(country of origin image, ethnocentrism) needs different crisis communica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that it expanded the discussion of corporate crisis communication especially on a food crisis. Because it has considered country of origin and ethnocentrism as a main independent variables of crisis communication study. Also, throughout this research the real effect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reveal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to make a effectiv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plans. Based on this study conclusion, further research have to consider the public's stereotype about the country of origin and ethnocentrism on a food crisis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