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및 학습활동책 활용 실태 조사

Title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및 학습활동책 활용 실태 조사
Other Titles
The practicability and usability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ccompanying workbooks based on the 7th revised curriculum: An exploratory study
Authors
양은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은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을 통해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제정되었으나 시행 상 나타난 일부 문제점으로 인해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를 보완하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은 효율적인 수준별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국가차원에서 수준별 보조 교과서를 개발하여 보급할 것을 명시하였는데, 2009년부터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사용하게 되는 학습활동책은 교육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사의 수업준비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보충-기본-심화 세 과정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활동책이 교과서와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활용 실태 상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사 47명과 고등학교 교사 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후 각각 5명의 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과서 단원 진도율은 중학교 교사의 80.9%, 고등학교 교사의 64.8%가 전체 단원을 수업 중에 실시한다고 밝혀 중학교가 고등학교 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교과서를 구성하는 활동 영역에 대한 활용 실태를 살펴보면, 중학교의 경우, 본문과 어휘 및 문법은 100%, 듣기 활동, 말하기 활동, 읽기 전 활동은 각각 89.4%, 85.2%, 85.1%, 쓰기 활동과 연습 문제는 각각 70.2%와 78.8%의 교사가 활용도가 높다고 응답했다. 반면, 고등학교는 본문은 90.7%, 연습문제와 어휘 및 문법은 74.1%, 75.9%, 듣기 활동과 읽기 전 활동이 각각 57.4%, 말하기 활동과 쓰기 활동은 33.3%, 29.6%의 교사가 활용도가 높다고 응답하여 고등학교 교과서의 활용도가 중학교 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본문, 어휘 및 문법과 같은 목표 언어 사용을 통해 학습자 상호 간 의미 협상을 요구하지 않는 즉 다시 말해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이 일방적이고 폐쇄적인 특징을 갖는 과업은 공통적으로 활용도가 높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를 활용하는 전반적인 방법과 만족도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 중학교 교과서 중점 교수 영역은 본문-어휘 및 문법-듣기활동이고 고등학교는 본문과 어휘 및 문법 순으로 앞서 언급한 활용도가 높은 활동과 중점 교수 영역이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을 모두 하지 않는 이유로 중학교는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했고 고등학교는 제시된 과업 또는 활동의 난이도와 학생의 능력 수준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교과서 활용 시 유용한 점으로 중학교는 소재가 풍부하고 다양하다고 응답했고 고등학교는 다양한 유형의 읽기자료를 꼽았으며, 교과서 활용 시 어려운 점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수업시수, 학생 인원 등을 고려할 때 비현실적인 활동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중학교 76.6%, 고등학교 53.7%의 교사가 만족한다고 밝혀, 교과서 활용도가 낮은 고등학교 교사의 만족도 또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학습활동책을 구성하는 활동의 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중학교는 어휘 및 문법이 80.8%, 듣기 활동과 말하기 활동은 각각 57.4%, 읽기 전 후 활동은 70%의 교사가 활용도가 높다고 응답했으나 쓰기 활동은 36.2%만이 높다고 응답하여 다른 영역과 대조를 이룬다. 반면 고등학교는 어휘 및 문법이 68.5%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듣기 활동이 50%, 읽기 전 후 활동이 40%정도의 활용도를 보였으며 쓰기 활동은 14.8%의 교사만이 활용도가 높다고 응답했다. 이와 같은 설문 결과를 통해,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중학교보다 고등학교 학습활동책의 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습활동책 모두 교과서의 활용도 보다 낮은 것은 학습활동책은 교과서의 보조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든 내용을 다룰 필요가 없으며 생의 수준이나 필요에 의해 수업에서 직접 다루는 양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학습활동책 활용 방법과 관련하여, 학습활동책 사용 시점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교과서 해당 부분을 하고 난 뒤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학습활동책에 제시된 모든 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중·고등학교 모두 시간 부족을 이유로 들고 있어 학습활동책 활동 분량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학습활동책의 내용을 정기고사에 출제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중학교(68%)가 고등학교(44.4%)보다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출제비율은 중학교가 11-20%이하가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는 10%이하라고 응답했다. 수준별 이동수업을 하는 경우 중학교의 활동책 사용 방법은 자신이 담당하는 과정은 모두 하고 나머지 두 개 과정 중 일부 내용을 수업한다(32.5%)는 응답이 가장 많고 고등학교는 담당하는 과정 중 일부만 한다가 29.3%를 차지했다. 학습활동책 활용 시 유용한 점으로 중고등학교 모두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활동이 많다는 점을 공통으로 꼽았다. 또한 학습활동책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중학교는 53.2%, 고등학교는 31.5%의 교사가 만족한다고 밝혀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학습활동책의 만족도도 중학교가 훨씬 높았을 뿐만 아니라 교과서와 비교해 볼 때도 학습활동책의 만족도가 훨씬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및 학습활동책의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가 교육현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언어의 기능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특정 영역에 편중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본문과 어휘 및 문법과 같은 영역에 교수와 평가의 초점을 맞추고 상대적으로 말하기 활동과 쓰기 활동에 대해서는 관심이 저조하다. 따라서 이에 대해 교사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정상적인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틀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실제적인 실험과 참여관찰을 통해 교과서와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이에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추후 교과서 및 학습활동책 개정 시에 이를 반영하여 실제 수준별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수준별 수업의 정착과 학습활동책의 활용을 위해 체계적인 교원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수 사례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활동책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교사가 수준별 수업을 운영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7th national curriculum could be characterized as increas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education through individualization. To achieve this ultimate goal, it introduced the tracking system, also called ability grouping or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especially in Korea, into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But it did not lead to satisfactory results because of the lack of an institutional system such as a meritocracy,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a low self-esteem among lower-level students. It is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at supplements the previous curriculum's problems and reflects the opinions and demands from tea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The major feature of the newly developed curriculum is a differentiated instruction, not a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it can be implemented with the assistance of the textbooks and accompanying workbooks. Especially, the workbooks were newly developed to help the teachers instruct students with different learning abilities within the same classrooms or in an advanced class or a lower-ranking clas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ity and usability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ccompanying workbooks, also called English activities, based on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7 middle school teachers and 54 high school teachers living in Jeju island. Some of them, including five middle school teachers and five high school teachers, were also interviewed for in-depth responses to their answers over the telephone or messeng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practicality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workbooks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textbooks and workbooks, the use of which was highest in reading, vocabulary, and grammar activities. With regard to writ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practicality of high school was very low. The reason for the low practicality of the high school workbooks is probably due to the nature and role of workbooks. They are not main course books but supplementary materials and allow the teachers to better direct lessons toward the specific ability level of the students in each class. Nevertheless, the teachers usually omitted the tasks or activities that require negotiation of meaning by means of a target language between students. That is, they only focused their attention on one-way and closed tasks such as reading and grammar.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workbooks was relatively much higher than the high school textbooks and workbooks. Especially, the high school teachers tended to be less satisfied with the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the workbooks than the middle school teachers. Furthermore, most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workbooks had too many activities to implement during class time. They agreed that the workbooks needed to be revised by incorporating more level-specific activities and materials such as additional explanations or answers for self-directed learning. Also, more than two thirds of al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did not participate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help in using newly developed workbooks properl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English teachers should be knowledgable to the importance of four language skills, and they should focus not only on teaching reading and listening activities but also on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In addition, all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ality and usability of the textbooks and workbooks should be investiga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studies to increas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material users. Finally, a teache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o effectively utilize the textbooks and workbooks for the students with different English abilities. Based on the programs they will take, the teachers will be able to utilize or adapt the given textbooks and accompanying workbooks to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or implement their own pedagogical beliefs in their specific teaching context. It is expected that those kinds of efforts as stated above will certainly lead to a successful differentiated instruction which is targeted on the revised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