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구진아-
dc.creator구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30-
dc.description.abstractThe digital age has not simply changed the nature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it has also transform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s well as school's textbook. A digital text book is based on web-based learning systems which enable learners easily to access rich resource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without time and distance limits. In addition, it usually includes multimedia effects such as oral reading, written text, oral discourse, sound effect and animations, and so on. Moreover, digital textbook includes optional hidden hotspots, which are devices embedded in various screen locations and are intend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s, repeat or elaborate text. Therefore, the digital textbook gives learners to communicate with instructors and peers interactively, and also leads learners to become engaged in acquiring and applying knowledge in the contex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other hand, computer-assisted learning like the digital textbook should consider about learners characteristics because learning outcomes could be difference according to learner's ability and awareness in computer based learning environments. Furthermore, learners could lose their confidence and motivation easily; therefore, learners' knowledge acquisition from digital textbook is correlated with various features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learners self-efficacy. Moreover, the concept of "presence" has been widely analyzed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Presence" is a learner’s perception of being present in or a par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us, a learner’s perception could effect on their outcomes. Especially, knowing teaching presence is important in teaching-learning process because learners’ outcomes and perception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role. However so far, there were number of studies showing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 itself, not explaining the relationship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affect on learning outcomes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digital textbook.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1. Do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correlate to each other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2. Does teaching presence mediate leaners' satisfaction between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computer self-efficacy in Korean digital textbook? 3. Does teaching presence mediate learners' achievement between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computer self-efficacy in Korean digital textbook?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eighty nine fifth grade learners who were studied in D elementary school which selected experimental school for using digital textbook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The tool that were used in conducting the experiment are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achievement as learning outcomes tools.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t has proved that correlation exist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owev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Second, before determining whether teaching presenc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lf-efficacy(academic self-efficacy and computer self- 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the researcher conduct multiple regressions to find 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cademic self-efficacy(β=.34, p<.05) and computer self- efficacy(β=.32, p<.05) have an effect on teaching presence. and also learners' satisfaction effect on both learners' academic and computer self-efficacy; thus, based on this results, teaching presence mediate academic self-efficacy and computer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However,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were significant(β=.20, p<.05), but in the computer self-efficac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hievement(β=.10, p<.05). As a result, teaching presence does not mediate learner'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First, each subject might have different teaching presence. Therefore,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number of samples and longer research periods are required. Second, when using a digital textbook or based on web learning, instructor give an effort to learner not only facilitator in learning period but also teaching knowledge. Third, a learners' cognition is important during learning; therefore, teacher should consider to learners' attitude, thought tha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Fourth, the different types of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are needed. Futhermore, teachers should develop their teaching methods and technology knowledge continuously to help learners to make a good progress in their learning.; 최근 아이패드, 아이폰의 출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정보사회에서의 미디어는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돼 인간과 사회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이제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것이 되었으며, 미디어와 관련된 교육의 문제 또한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흐름에 따라 교과서의 형식도 바뀌어 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교과서라는 새로운 개념의 교과서가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교과서(digital textbook)는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학습자의 특성 및 능력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 시·공간 제약 없이 기존의 교과서와 참고서, 문제집, 용어사전 등의 내용을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등 멀티미디어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재를 말한다. 이렇듯, 디지털교과서는 풍부한 학습자원의 활용과 쌍방향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여 미래교육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을 통해 창의적, 촉진적 그리고 협동적 수업이라는 통합교육의 목적이 실현되어지고 있다(주형일, 강길호, 김경아, 서용순, 홍종배, 2008). 이렇듯, 변화된 교육관의 관점들은 학교현장에서의 교육의 변화 및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변화까지 도모하게 되었다. 특히, 교수자는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을 선도하는자로서 무엇보다도 미디어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소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고, 학습자의 발달단계나 학생의 흥미 등 학습자변인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고려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원용진, 김양은, 양철진, 조준형, 2003). 이에 따라, 디지털교과서라는 새로운 매체에 대하여 학습자들은 학습효과를 예측하는 변인인 자기효능감을 얼마만큼의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후에 디지털교과서 교육의 방향 및 학습활동을 운영함에 있어서 필요한 사항들을 제시 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디지털교과서는 컴퓨터 활용기반 학습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컴퓨터 사용 능력 및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학습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학업적 자기효능감 못지않게 컴퓨터 자기효능감도 중요하다. 그리고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부딪히기 때문에 자신감 및 동기를 잃기 쉽고, 또한 학습자마다 실제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확신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학습상황에서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유지하기 위해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존재를 느끼고 싶어 하며, 교수자의 격려를 필요하게 된다(Burford & Gross, 2000). 따라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에 따라서도 학습자가 인식하는 자기효능감 및 학습효과가 달라 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할 때,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함으로써,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 및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수업운영 전략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과 학습효과인 학습성취도, 만족도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가? 2.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교수 실재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교수 실재감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2008학년도 1학기에 디지털교과서 시범 연구학교인 인천 소재 D 초등학교 5학년 3학급 8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그 중 응답을 완료하지 못한 2부를 제외한 87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어, 남학생 41명(47.1%) 그리고 여학생 46명(52.9%)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수실재감의 매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Judd와 Kenny(1981)가 검증한 매개효과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규명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효과 변인과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 학습효과 변인인 만족도와 성취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 자기효능감에서는 교수실재감과 학습효과 변인인 만족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실재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학습효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기에 앞서, 각 변인들 간의 예측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업적 자기효능감(β=.34, p<.05)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β=.32, p<.05)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β=.49, p<.05)과 컴퓨터 자기효능감(β=.46, p<.05)은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실재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만족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는 성립되었다. 한편, 학업적 자기효능감(β=.30, p<.05)은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지만 컴퓨터 자기효능감(β=.10, p<.05)은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실재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는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는 성립하지 않았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함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뿐만 아니라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컴퓨터 및 디지털교과서의 사용방법을 학습자들에게 알려줌으로써 효과적인 성취도를 이룰 수 있는 학습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대상 및 과목에 있어서의 제한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인천 D초등학교 5학년 1학기생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이다. 이를 고려 할 때, 본 연구의 결과가 장기간의 환경에서도 적용되는지에 대한 일반화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한 가지 과목으로만 실험을 했기 때문에 다양한 과목 및 대상에 대해서도 지속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과목마다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은 만족도와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장기간에 걸쳐 알아보고, 그에 맞는 교수자의 역할 및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수실재감과 만족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성취도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실재감의 요인인 교수설계와 조직화 그리고 직접적 촉진은 교사의 역할 중 안내촉진자의 비중이 더 컸기 때문에 학습효과에는 직접적인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다고 해석 할 수 가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디지털교과서 및 웹 기반 수업을 할 때 교수자는 교수-학습과 과정을 지원하는 안내자, 촉진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식의 전달자로서도 학습자들에게 영향력을 미쳐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공부하는 태도 및 방법에 따라서도 학습효과가 달라 질 수 있는 만큼 학습관련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규명하거나,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연구의 깊이를 더해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 관계를 규명한 결과,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과정 중 교수실재감이라는 학습자의 인식이 학습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 이라는 것이 입증이 되었고, 이러한 영향력이 학습과정과 결과를 연결시켜주는 의미 있는 연구의 단계로 발전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 시작점의 개인차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 학습 도중 생성되는 학습 과정 변인인 교수실재감을 구별하는 하나의 실증적 단서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관계를 검증한 것이기에 의의가 있었으며, 이러한 초기 연구를 바탕으로 교수실재감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교수실재감의 역할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 및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수자가 해야 할 역할과 지도에 대한 필요성 및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앞으로 교수자에게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학습환경에 맞는 다양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해야 된다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디지털교과서를 가지고 수업하는 학습자들의 학습 상태를 파악한 후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학습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연구하여, 이후 수업에 대한 교수전략 및 지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디지털교과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학습과정 중에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만족도 및 성취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 본 것은 앞으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 시 어떠한 교수-학습 전략 및 효과성이 제공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제공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7 1. 디지털교과서 7 2. 자기효능감 7 3. 교수실재감 8 4. 학습효과 8 II. 이론적 배경 9 A. 디지털교과서 9 1.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9 2. 디지털교과서의 특징 9 3. 디지털교과서의 활용효과 15 4. 국어교육에서의 ICT 활용 16 B. 자기효능감 17 1. 자기효능감의 개념 18 2. 자기효능감 유형 22 3. 학습에서의 자기효능감 역할 25 C. 실재감 26 1. 실재감의 개념 26 2. 실재감의 특성 27 3. 교수실재감 29 D. 학습효과 35 1. 만족도 35 2. 성취도 36 E. 관련 선행 연구 37 1. 디지털교과서의 학습효과 37 2. 자기효능감과 학습효과 38 3. 교수실재감과 학습효과 40 4. 교수실재감과 자기효능감 관계 연구 41 III. 연구방법 43 A. 연구대상 43 B. 연구도구 43 1. 디지털교과서 44 2.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45 3. 교수실재감 측정도구 46 4. 학습만족도 측정도구 47 5. 학습성취도 측정도구 48 C. 연구절차 49 D. 자료 분석 방법 50 IV. 연구결과 53 A.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효과의 평균과 표준편차 53 B.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효과 간의 상관관계 54 C.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학습효과 예측력 55 1. 교수실재감을 매개변인으로 한 자기효능감의 만족도 예측 55 2. 교수실재감을 매개변인으로 한 자기효능감의 성취도 예측 63 V. 결론 및 제언 68 A. 논의 68 1. 학업적 및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효과간의 상관관계 69 2. 자기효능감의 학습만족도 예측에서 교수실재감의 매개역할 70 3. 자기효능감의 학습성취도 예측에서 교수실재감의 매개역할 72 B. 시사점 73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 89 부록 1 자기효능감 검사지 90 부록 2 교수실재감 검사지 91 부록 3 만족도 검사지 92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13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어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학습효과 예측력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dentifying Predictability of Learner's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
dc.creator.othernameKoo, Jina-
dc.format.pagex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