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정경은-
dc.creator정경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여성이 발달 과정에서 관계적 자아를 발달시키는 경향이 있고, 그로 인해 여성이 진로 계획 시, 일과 가정의 갈등을 고려하여 진로장벽을 지각한다는 선행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여대생의 이성 관계 애착이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을 지각하는데 있어서 다중역할계획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매개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현재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총 368명을 대상으로 이성관계애착척도, 다중역할계획태도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척도, 진로장벽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성관계 애착척도는 기존의 성인 애착 검사들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회피와 불안의 두 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척도로써, 점수가 낮을수록 안정적인 애착유형이라고 해석한다. 368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성 관계 애착과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각각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것에 의거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 관계 애착은 다중역할계획태도와 부적상관,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다중역할계획태도와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이성 관계 애착과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이성 관계 애착과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여자대학생이 진로를 결정할 때, 교제 상대와의 애착 관계가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 사이를 다중역할계획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각각 매개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여대생들의 이성관계애착이 다중역할계획태도를 통해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정도를 예측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성관계 애착이 안정적이더라도 다중역할계획태도 점수가 높지 않을 경우 실제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수준은 높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이성관계애착이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정도를 예측함을 의미하며, 이성관계애착이 안정적일 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지고 결국에는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수준을 낮춰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해 진로 계획에 어려움이 있는 여대생에게 효과적인 상담 개입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여대생들의 진로상담에서 여대생의 이성 관계 애착 유형을 잘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다중역할에 대한 현실적인 계획과 가치관을 성립시킴으로써, 진로 결정에 대한 자신감 향상과 다중역할갈등으로 인한 진로장벽의 지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how female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AA) help them recognize Career Barriers(CBI) due to multiple role conflicts how their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ATMR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play mediating effects. Based on previous studies, women tend to develop a relational self, which causes them to consider the conflict between job and family during career planning, and this process helps them become aware of career barriers. For this investigation, 368 female undergraduates in Seoul completed a 114-item questionnaire, which was consisted of items from the Adult Attachment(AA),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ATMRP),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and Career Barriers(CBI). SPSS 17.0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which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dult Attachment(AA)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ATMRP) an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Career Barriers(CBI).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ATMRP)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Career Barriers(CBI),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also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Career Barriers(CBI). Seco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ATMRP) was verified i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AA) and the Career Barriers(CBI). Furthermo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AA) and the Career Barriers(CBI). Such a result shows an effective interventional method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strugglinh with career planning due to multiple role conflict. In other words, by carefully observing the type of their adult attachment and at the same time, helping them establish a realistic plan and value system toward multiple roles, an effective interventional action can be possible that can help improve self-confidence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reduce the awareness of career barriers due to multiple role confli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여성 진로 발달의 특성 6 1. 애착과 여성 진로 6 2. 여성의 관계적 자아와 진로발달 9 B. 진로장벽 10 1. 진로장벽의 개념 10 2.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13 3. 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15 C. 여성의 일과 가족갈등 16 1. 다중역할갈등과 여성의 진로발달 16 2. 여성의 다중역할계획태도와 진로장벽 17 Ⅲ. 연구방법 21 A. 기술통계 21 1. 연구 참여자 21 B. 연구 절차 22 C. 측정 도구 22 1. 다중역할계획태도 척도 22 2. 다중역할에 대한 여대생 진로장벽 척도 23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24 4. 이성관계애착 척도 25 D. 분석방법 25 Ⅳ. 연구결과 27 A. 기술통계 분석 27 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27 B. 연구 변인들의 상관관계 28 1. 이성관계애착, 다중역할계획태도, 진로장벽 간의 상관관계 28 2. 이성관계애착,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간의 상관관계 29 C. 매개 모형 검증 32 1. 연구모형 1: 이성관계애착과 진로장벽과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 효과 32 2. 연구모형 2: 이성관계애착과 진로장벽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35 Ⅴ. 결론 및 논의 38 A. 결과 요약 및 해석 38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1 참고문헌 45 부록 1. 설문지 57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92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성 관계 애착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대생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 i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Career Barriers ; Amo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dc.creator.othernameJung, Kyoung Eun-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