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남녀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른 인지적·정서적·사회적 특성

Title
남녀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른 인지적·정서적·사회적 특성
Other Titles
Understanding Peer Victimization in Boys and Girls: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and Bullying Participant Role
Authors
백지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participant roles(the bullies, the victims, the outsiders, the defenders of victims, the bully-followers) in peer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differences in adolescent's cognitive(moral disengagement), emotional(shame, social anxiety), and social(social preference, perceived popular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role in peer bullying were examine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28(363 boys, 365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They completed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PRQ),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Scale, State Shame and Guilt Scale(SSGS),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K-SAS-A), Social Preference Scale, Perceived Popular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one-way ANOVAs by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articipant roles in peer bullying were in order of 'the defenders of victims'. 'the outsiders', 'the bullies', 'the followers of bullies', and 'the victims'. Second, in boys, 'the victims' were higher in shame than 'the outsiders'. Also, 'the bullies', and 'the followers' were higher in perceived popularity than 'the victims'. Third, in girls, 'the follow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ral disengagement than 'the defenders', 'the victims' were higher than 'the followers' or 'the defenders' in shame. 'The victims' in girls were a group of students who are less liked by peers than any other groups, and they were perceived by peers as the least popular children at the same time. Lastly, 'the outsiders' in girls were perceived by peers as less popular children than 'the bullies', but as more popular than 'the victims'.;또래괴롭힘은 학교를 포함한 또래관계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갈수록 그 강도와 심각성이 높아지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 또래괴롭힘을 하나의 집단 역동으로 보아야 함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 가해, 피해, 방관, 피해아 방어, 가해 동조와 같은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따른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몇몇 종단연구들에 의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유동적임이 밝혀져, 다양한 참여자 역할에 따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또래괴롭힘 방지와 개입에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다수의 또래괴롭힘 연구는 가해아와 피해아의 특성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며, 이에 여러 참여자 역할의 변화가능성을 인식하는 것과 함께 가해, 피해를 비롯한 주변또래 역할에 따른 청소년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괴롭힘이나 공격성과 관련하여 비일관적인 결과들이 있거나, 또래괴롭힘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연구가 부족한 변인들을 중심으로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집단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았다. 따라서 청소년의 인지적 특성 변인으로 도덕적 이탈을, 정서적 특성 변인으로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선정하였으며, 청소년 집단 내에서 사회적 지위의 개념이 단일한 것이 아니라는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개념인 사회적 선호도와 지각된 인기도를 각각 사회적 특성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또래괴롭힘에 참여하는 역할에 따라 집단을 구분한 뒤, 남녀 학생별로 참여자 역할 집단에 따른 도덕적 이탈, 수치심, 사회불안, 사회적 선호도, 지각된 인기도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점수 중 방관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네 개 하위척도 점수(가해, 피해, 피해아 방어, 가해 동조)와 사회적 선호도에서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해 점수, 피해 점수, 피해아 방어 점수, 가해 동조 점수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은 반면, 사회적 선호도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다른 또래들에 의해 사회적으로 더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 모두 또래괴롭힘 가해 점수와 피해 점수 간, 가해 점수와 가해 동조 점수 간, 피해 점수와 수치심 간, 수치심과 사회불안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집단 구분 결과 전체 연구대상 내에서 각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은 피해아 방어, 방관, 가해, 가해 동조, 피해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참여자 역할 집단의 빈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남녀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집단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 집단에서는 피해 집단이 방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수치심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해 집단과 가해 동조 집단은 피해 집단에 비해 또래들로부터 지각된 인기도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학생 집단에서는 가해 동조 집단이 피해아 방어 집단에 비해 도덕적 이탈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도덕적 인지 왜곡을 더 많이 함을 알 수 있었으며, 피해 집단의 경우 가해 집단이나 피해아 방어 집단에 비해 수치심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 피해 집단은 또래들로부터 사회적으로 가장 덜 선호되는 동시에 가장 인기없는 것으로 지각되고 있었으며, 여학생 가해 집단은 방관 집단과 피해 집단에 비해 더 인기있는 것으로 지각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학생 방관 집단은 또래들로부터 가해 집단에 비해 인기없는 것으로 지각되고 있었으나 피해 집단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인기가 많은 것으로 지각되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