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운조-
dc.contributor.author한민지-
dc.creator한민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9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95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haegeum melodies between Jajinhanip and Gagok by comparing <Gyeongpungnyeon>, <Yeomyangchun>, and <Suryongeum> of Jajinhanip and <Ujodugeo>, <Gyemyeondugeo>, <Pyeongrong>, <Gyerak>, and <Pyeonsudaeyeop> of Gagok in terms of piece composition, musical notes, ending types, and melodies around the haegeum melodie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piece composition, <Gyeongpungnyeon>, <Ujodugeo>, <Yeomyangchun>, and <Gyemyeondugeo> consisted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jang, jungyeoeum, fourth and fifth jang, and daeyeoeum. They all shared the same structure in total 240 baks and 90 madis. <Nong><Pyeongrong> and <Nak><Gyerak> consisted of daeyeoeum, the first, second, and third jang, jungyeoeum, and fourth and fifth jang. While <Nong><Pyeongrong><Gyerak> had the same 240 baks and 90 madis, <Nak> had 234 baks and 88 madis with six baks omitted. <Pyeon><Pyeonsudaeyeop> consisted of daeyeoeum, the first, second, and third jang, jungyeoeum, and fourth and fifth jang. While <Pyeonsudaeyeop> had total 270 baks and 108 madis, Pyeon had 150 baks and 60 madis with 120 baks and 48 madis omitted. Second, as for musical notes, <Gyeongpungnyeon><Ujodugeo> had Jung(A♭)-Ram(B♭)-Nam(C)-Hwang(e♭)-Tae(f)-Jung(a♭)-Im(b ♭)-Nam(c)-Hwang(e'♭); <Yeomyangchun><Gyemyeondugeo> and Jung-Ram-Mu-Hwang-Tae-Jung-Im-Mu;<Nak><Gyerak>Jung-Ram-Mu-Hwang-Tae-Jung-Im-Mu-Hwang;and<Pyeon> <Pyeonsudaeyeop>Jung-Ram-Nam-Mu-Hwang-Tae-Jung-Im-Mu. Third, as for the ending types, <Gyeongpungnyeon><Ujodogeo>, <Yeomyangchun><Gyemyeondugeo>,<Nong><Pyeongrong>, <Nak><Gyerak>, and <Pyeon><Pyeonsudaeyeop> were compared in pairs. Most of them ended with the same notes with some cases in which the ending notes were similar due to different ornaments and changing rhythms. Fourth, as for melodies, <Gyeongpungnyeon><Ujodugeo> had 93.34% of the same, similar melodies, 6.67% of different melodies; <Yeomyangchun><Gyemyeondugeo> 82.09% of the same, similar melodies, 17.92% of different melodies; <Nong><Pyeongrong> 93.75% of the same, similar melodies, 93.75% of different melodies; <Nak><Gyerak> 86.67% of the same, similar melodies 06.25% of different melodies; and <Pyeon><Pyeonsudaeyeop> 100% of the same, similar melodies, 0% of different melodies. Fifth, the accent and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sleep when a leaf was playing when you play songs, songs that accentuated the use of ligature in the leaf was brought voluntarily to the boom that was to change the playing characteristics. The accompaniment of vocal music and songs that one voluntarily leaves the center of the Brass hyangpiri hapjugok hyangpiri by a long stretch while lifting the boom when the play was changed to a significant volume of songs and the voluntary use of a ligature on the leaves is a difference you can see that.;본 논문은 자진한잎 중 <경풍년>, <염양춘>, <수룡음>과 관계되는 가곡의 <우조두거>, <계면두거>, <평롱>, <계락>, <편수대엽>에 대하여 해금 선율을 중심으로 악곡 구성과 출현음, 종지형, 선율을 비교함으로써 자진한잎을 연주할 때의 해금 선율과 가곡 해금 반주 선율을 연주했을 때 두 곡이 어떠한 차이점과 유사점이 있는지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게 되었다. 첫째, 악곡 구조에서는 <경풍년><우조두거><염양춘><계면두거>가 초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 대여음으로 구성되며, 총 240박 90마디로 되어 있어 동일한 구조이고 <농><평롱>, <낙><계락>은 대여음, 초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으로 구성되며 <농><평롱><계락>은 총 240박 90마디로 같지만 <낙>은 6박이 생략되어 234박 88마디이다. 또한 <편><편수대엽>은 악곡 구조는 대여음, 초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 순으로 같으나 <편수대엽>은 총 270박 108마디이고 <편>은 120박 48마디가 생략되어 150박 60마디로 박과 마디수가 다르다. 둘째, 출현음을 살펴보면, <경풍년><우조두거>는 &#13398;(A♭)-□(B♭)-□(C)-黃(e♭)-太(f)-仲(a♭)-林(b♭)-南(c)-潢(e'♭)이고, <염양춘><계면두거>, <농><평롱>은 □-□-□-黃-太-仲-林-無이고, <낙><계락>은 □-□-□-黃-太-仲-林-無-潢이고, <편><편수대엽>은 □-□-□-□-黃-太-仲-林-無이다. 셋째, 종지형은 <경풍년><우조두거>, <염양춘><계면두거>, <농><평롱>, <낙><계락>, <편><편수대엽> 이렇게 각각 짝이 되는 곡들을 비교해 봤을 때 대부분 동일한 음으로 종지 하였고, 꾸밈음과 활대 사용의 차이, 리듬의 변화로 유사하게 종지하는 음도 있었다. 넷째, 선율을 비교해본 결과 <경풍년><우조두거>는 동일□유사 93.34%, 다른 선율 6.67%로 나타났고, <염양춘><계면두거>는 동일□유사 82.09%, 다른 선율 17.92%, <농><평롱>은 동일□유사 93.75%, 다른 선율 6.25%, <낙><계락>은 동일□유사 98.29%, 다른 선율 6.25%, <편><편수대엽>은 동일□유사 100%로 다른 선율은 없었다. 다섯째, 악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자진한잎을 연주했을 때와 가곡을 연주했을 때, 가곡에서 이음줄의 사용이 두드러졌고 자진한잎은 활대 사용을 바꾸면서 연주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가곡에서 해금의 역할이 성악 반주로, 성악의 흐름에 맞게 이음줄을 사용하였고, 자진한잎은 향피리 중심의 관악 합주곡으로 음량이 큰 향피리가 길게 뻗으면서 연주할 때 해금은 동일 음이라도 활대 사용을 바꾸면서 연주함으로써 음량의 균형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으로 볼 때 가곡과 자진한잎에 이음줄 사용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3 Ⅱ. 본론 = 4 A. 악곡 구조 = 4 B. 출현음 = 9 C. 종지형 = 10 D. 선율 비교 = 13 1. 경풍년과 우조두거 = 13 2. 염양춘과 계면두거 = 25 3. 수룡음(농)과 평롱 = 40 4. 수룡음(낙)과 계락 = 53 5. 수룡음(편)과 편수대엽 = 64 E. 악상 특징 = 73 1. 경풍년과 우조두거 = 73 2. 염양춘과 계면두거 = 74 3. 수룡음(농)과 평롱 = 76 4. 수룡음(낙)과 계락 = 76 5. 수룡음(편)과 편수대엽 = 77 Ⅲ. 결론 = 79 참고문헌 = 81 부록악보 = 83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577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진한잎과 가곡의 해금선율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Haegeum Melodies between Jajinhanip and Gagok-
dc.creator.othernameHan, MInji-
dc.format.pageⅹ,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