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재숙-
dc.contributor.author김미소-
dc.creator김미소-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9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960-
dc.description.abstractThe piece <Gong - Gam> follows the traditional flow and beat of sanjo style. The overall piece is based on the traditional playing styles of gayageum. The tempo shows a variation in form and then slows down. To analyze the piece I divided the chapter into five parts ABCDE, which showed that each part is composed of helical cycle forms which revolve with a starting note and ending note. First, <Gong - Gam> uses the Namdo gyemyeonjo (minor mode) but it extends it into a three octave range. Bon chung(the central note) sol, Dduneun chung(shaking note) re, and Ggugneun chung(bending note) si-la builds up the structure of the piece. Of all the notes composing the piece 60% is the sol(G,g,g',g") sound and 30% is the re(D,d,d') sound. The sol interval is the main interval and in the overall piece re(D,d,d') sound appears as the center position of Nonghyeun. There are changes in the main sound(re,do,la♭) and also sigimsae style nonghyeun. Second, the traditional express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s detailed in sanjo gayageum <Gong - Gam>. By upward nonghyeun, downward nonghyeun, combination of upward-downward nonghyeun, and by accurately indicating microtone notes half interval, 3 interval, 4 interval nonghyeun is suggested. The starting note of ibsung the reaching note of chusung, the point of junsung, the reaching note of toesung is accurately noted in the expression of sigimsae. This kind of accurate indication of nonghyeun and sigimsae was not shown in traditional gayageum sanjo musical notes. This supplements the non-specific expression of traditional gayageum sanjo musical notes in which music could be interpreted subjectively by the performer. Third, <Gong - Gam> can be seen as a harmony of three individual performers rather than having a characteristic of a duet. The melody individually repeats tension and relaxation and at the point of nonghyeun unification(1-4, 19-22) and jangdan rhythm unification(46-48, 64-67) a coincided melody appears. The melody of the three gayageum harmonizes with each other by interacting rhythm and intervals and against this melody each gayageum creates tension by solo playing. Fourth, E (82 bar) part of <Gong - Gam> embodies Korean folk music 'Sinawe' in a modernized way. In this part non-jangdan melody and improvisations reaches a climax. In part E the performer freely interprets the length of note, playing style, and sigimsae expression of the suggested tone series, and by impromptu playing the three performers harmonize their playing. Fifth, 4-3-2 bounce playing style is used selectively for tone and note connection. The melody retains a connected flow. This playing style is noted separately from the index finger plucking and 3-2 bounce playing style.;현재 국악작곡계에서 활동을 넓혀가고 있는 작곡가 윤혜진의 작품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은 2005년 8월 금암회에 의해 초연되었다. 윤혜진은 이 곡을 통해 국악창작의 양악화를 돌아보고 전통의 창의적 계승을 표현하려 하였다. 전체적으로 한 배에 따른 형식 후 이완되는 속도로 이어지는 이 곡은 가야금 산조의 흐름과 맥을 따라가고자 한 것으로 산조가야금의 원래 음색, 특징에 바탕한 창작형태의 곡이다. 전체 82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총 연주시간은 11분 30초가량 된다. 악장 구분 없는 단악장 구성의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을 악곡의 분석을 위해 ABCDE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본 결과 각 부분은 시작음이 종지음으로 나타나는 순환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이 갖는 특징 및 주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계는 남도계면조 선법이고 음역은 남도계면조 선법을 세 옥타브로 확대하였다. 본청(sol), 떠는음(re), 꺾는음(si♭-la)이 골격을 이루며 출현음 중 sol(G,g,g',g")이 60%, re(D,d,d')가 30%로 중심음은 sol이다. 중심농현의 위치는 전체 악곡을 통해 re(D,d,d')로 나타난다. 둘째, 농현과 시김새의 표현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농현은 상향농현과 하향농현, 상·하향 혼용 농현의 방향과 미분음의 정확한 음정의 기보를 통해 반음, 3도, 4도와 같은 농현의 폭이 제시된다. 시김새의 표현 또한 끌어내는 소리, 미는 소리, 추성, 전성, 퇴성의 정확한 음정을 표기하였다. 이러한 농현과 시김새의 구체적 제시는 가야금산조 악보에 없었던 것으로 가야금산조악보의 미흡한점, 연주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을 보완한 것이다. 셋째, 선율은 중주의 성격보다 개별적인 세 연주자의 어울림으로 전개된다. 세 가야금이 독립적으로 긴장과 이완의 순환을 이루며 진행된다. 전체적으로 농현의 통일(1-4,19-22), 장단의 통일(46-48,64-67)이 나타나는 부분에서 세 연주자가 호흡의 합일을 이룬다. 넷째, E부분은 Picture Note로 한국전통민속악 시나위와 같이 장단틀, 선법, 만나는 지점을 정해놓고 즉흥적으로 가락을 만들어 세 연주자 간의 호흡을 조율 해 가며 엮어진다. 다섯째, 작곡자는 연튕김 주법을 음색과 음의 연결을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였다. 선율이 끊어지지 않고 연결된 느낌을 가지며 뜯고 연튕김하는 주법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은 전통의 요소와 함께 작곡자 윤혜진의 음악어법(순환, 긴장과 이완, 호흡의 연결, 개별음의 운동성, 국악기 본연음색의 미감을 살림)이 농축된 가야금창작곡으로써 가야금이 갖는 구체적인 표현력과 음색적 미감을 살리고 전통음악에 뿌리한 가야금창작음악의 예를 제시함으로써 국악창작이 자리매김할 또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대상과 방법 = 3 Ⅱ. 본론 = 4 A. 윤혜진의 음악세계 = 4 B.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개관 = 10 C.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악곡 분석 = 12 1. A부분(1-27마디) = 12 2. B부분(28-45마디) = 23 3. C부분(46-78마디) = 32 4. D부분(79-81마디) = 45 5. E부분(82-a,b,c,d) = 50 D.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의 특징 = 55 1. 음계 = 55 2. 속도 = 58 3. 농현의 표현 = 59 4. 시김새의 표현 = 65 5. Picture Note = 69 6. 4-3-2연튕김주법 = 70 Ⅲ. 결론 = 73 참고문헌 = 75 부록악보 = 77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211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윤혜진 작곡 세 대의 산조가야금 <공·감>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Hye-jin Yun's three Sanjo-gayageum <Gong·Gam>-
dc.creator.othernameKim, Mi So-
dc.format.pagex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