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천혜정-
dc.contributor.author강지현-
dc.creator강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49-
dc.description.abstract기존의 MP3 플레이어 관련 연구들은 MP3 플레이어의 산업적, 법적, 이용행태적 측면에서만 다루고 있어 MP3 플레이어 소비문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대 청년층의 MP3 플레이어 소비문화 및 소비행태를 우리사회의 소비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이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iPod을 사용하고 있으며 스스로를 iPod heavy user로 인식하는 20대 11명으로 남성 6명, 여성 5명이 참가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질적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2008년 10월 24일부터 2010년 4월 4일까지 1-2차례에 걸쳐 조용한 까페에서 실시되었다. 질적 인터뷰에는 Kvale(1998)이 제안한 도입질문과 엄밀한 조사질문을 활용하였고 Miles와 Huberman(1984), Dey(1993)가 제안한 3단계를 절충 및 수정하여 텍스트 분석을 하였다. 또한 Lincoln과 Guba(1985) 및 Moustaks(1994)의 주장에 따라 검증된 질적 내용 분석 연구의 적합한 과정을 거쳐 상호주관적 합의(intersubjective agreement)를 이루고 방법론적인 삼각검증(triangulation)을 거쳤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가자들은 MP3 플레이어를 통해 자신만을 위한 음악을 감상함으로써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을 갖는 것처럼 느끼고 있었다. 이들은 이처럼 자신만의 독립된 시간과 공간을 확보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MP3 플레이어의 사용이 외부와의 단절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측면도 보고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가한 iPod 유저들은 iPod과 MP3 플레이어라는 매체를 자신의 음악적 취향을 반영하고 있는 자신만을 위한, 오직 자신만의 기기라고 인식하고 iPod을 자신의 분신, 항상 함께하는 존재, 또 다른 미니홈피, 또 다른 자아처럼 여기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 iPod의 외부와 내부를 꾸미는 것 자체에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20대 iPod 유저들은 iPod 꾸미기라는 소비행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개성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CD 플레이어를 사용하던 시대처럼 음악을 소유하는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며 음악을 다운로드하고 공유하며 향유한다. 또한 이들은 MP3 플레이어를 사용하면서 음악소비가 가속화되었다고 하였다. 이들이 느끼는 이러한 변화는 MP3 시대가 등장하면서 형성된 음원 다운로드 및 공유문화, 그리고 MP3 플레이어라는 매체가 갖는 음원의 저장 및 삭제가 편리하다는 기능적 속성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연구참가자들은 이전 매체에 비해 편리해진 MP3 플레이어의 건너뛰기 기능의 사용이 조급증을 키우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었다. 즉, 이들은 속도의 쾌락을 누리는 행복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보다 빠른 소비를 해야한다는 속도 전쟁에 연루되어 있기도 하다. 넷째, 연구에 참가한 iPod 유저들은 iPod을 사용하며 그들 스스로에게 얼리어댑터, 유행추종자, 개성추구자, 선망의 대상이라는 집단정체성을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그러한 집단정체성을 갖는 것을 넘어서서 전 세계를 대표하는 MP3 플레이어를 사용한다는 것과 독창성과 혁신성이라는 Apple의 코드를 소비한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이는 iPod 유저들이 iPod과 Apple이라는 기호를 소비하며 이들에게 Apple이 갖고 있는 코드가 숭고한 가치를 지닌 아비투스로 내재화되도록 하여 이들을 탁월한 취향을 가진 소비자로 구별짓도록 한다. 더불어 이들은 iPod 유저 온라인 커뮤니티와 오프라인 정모에서 다른 iPod 유저들과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을 하면서 유대감을 공유하며 iPod 유저라는 집단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iPod 해킹에 대한 지식수준이 iPod 유저집단 내에서 일종의 문화자본의 역할을 하고 있어, 풍부한 해킹지식을 가진 iPod 유저는 상위 특수계급으로 인정을 받는 iPod 유저집단 내에서의 구별짓기도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시대의 아이콘으로 여겨지는 iPod으로 음악을 소비하는 20대 청년층의 MP3 플레이어 소비문화 및 소비행태를 우리사회의 소비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청년층의 소비문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을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Current research on MP3 players only consider the industrial aspect, legal aspect, and use. Research of MP3 player consumption and its socio-cultural aspects is scarce. The following research uses a socio-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 MP3 player consumption of people in their 20s, in the context of our society’s consumption culture and manner. Six men and five women in their 20s who consider themselves heavy users of iPod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held from October 24, 2008 to April 4, 2010 in quiet cafes through a couple of times. The introducing questions and probing questions proposed by Kvale(1998) were used for the qualitative interviews. The text was analyzed by combining and revising the 3 steps suggested by Miles and Huberman(1984) and Dey(1993). Through the appropriate proces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earch in compliance with the opinion of Lincoln and Guba(1985) and Moustaks(1994), the intersubjective agreement was accomplished and the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below.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felt as if they had their own time and space by listening to the music solely for themselves through an MP3 player. Although they viewed the ability to create their independent time and space favorably, they also reported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how the use of MP3 players promote seclusion and alienation. Second, the iPod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cknowledged that media such as the iPod and MP3 player as their own equipments existing only for themselves, reflecting their tastes in music. Also, they considered these products part of themselves, a constant companion, another mini-homepage, and another self. Additionally, they drew satisfaction from decorating the iPod’s inside and outside and investing their money and time on it. Users in their 20s used their iPods to articulate their identities and personalities through a consumption behavior. Third, the participants did not grant any meaning to owning music as in the era of CD players; they rather download and share music than own it. Also, they reported that music consumption has accelerated since they began using MP3 players. Such change is probably due to the downloading and sharing music culture and to MP3 players’ functionality, which allow for convenient storing and deleting. Also, the research participants felt that the use of jump function of the MP3 players proved easier than with previous media, which affected the hastiness. In other words, although they experienced happiness because of speed, they also felt constant pressure to consume rapidly. Fourth, the iPod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ranted themselves a group identity of early adaptors, trend followers, and a subject of envy. Also, beyond having such group identity, they were proud to use the world’s representative MP3 player and to consume Apple’s codes of originality and innovation. This allows the iPod users to consume the signs of iPod and Apple and the habitus owned by Apple to distinguish themselves as consumers with excellent tastes. Additionally, by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iPod users in online communities and regular offline meetings, they share the bond and create a group identity as iPod users. On the other hand, knowledge about iPod jailbreak provides cultural capital to some iPod users within the group. These are considered a high-level special class. In other words, there is distinction among iPod users as well.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tried to understand the MP3 player consumption culture and manner of those in their 20s who consume music with the iPod--considered the icon of the time in the context of our society’s consumption culture.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also significant because it took a socio-cultural approach on the consumption culture of those in their 20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5 Ⅱ. 이론적 배경 6 A. Baudrillard의 기호의 소비 6 B. Bourdieu의 구별짓기 1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6 A. 연구참가자 16 B. 질적 인터뷰 18 C. 텍스트 분석 19 Ⅳ. 20대 청년층의 MP3 플레이어 소비 21 A. 청각의 시공간화: 나만의 독립된 시공간 21 B. 꾸미기: 나만의 가제트 25 C. 속도의 쾌락: 역동적 행복감 30 D. 집단정체성: 자부심과 유대감 34 Ⅴ. 결론 및 논의 45 참고문헌 51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93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20대 청년층의 MP3 플레이어 소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P3 Player Consumption of Those in Their 20s-
dc.creator.othernameKang, Ji Hyeon-
dc.format.pagev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