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포털 어린이 커뮤니티에 나타난 하위문화적 특성

Title
포털 어린이 커뮤니티에 나타난 하위문화적 특성
Other Titles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n a Children's Community Portal Site : Focusing on the Junior Naver
Authors
이혜미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천혜정
Abstract
본 논문은 질적 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심층면접을 토대로 현대 어린이들의 가장 자유롭고 일상적인 삶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포털 어린이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하여 어린이들의 삶의 구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이들만의 하위문화가 어떠한 양상과 특성을 보이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정 집단은 자신의 사회적.물질적 조건에 따른 문화적 실천을 수행함으로써 타집단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는 방식에서 하위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하위문화를 연구함에 있어 외부의 사회문화적 조건을 고려하면서도 내재적 맥락을 간과하지 않아야 하며, 그 문화적 실천의 구체적 의미는 저항이나 대립 뿐 아니라 정체성의 형성, 즐거움 등 해석의 개방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포털 어린이 커뮤니티의 콘텐츠를 분석해 본 결과, 대체적으로 어린이들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재미있고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커뮤니티 구조가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을 심화시키고 있어, 어린이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공동체적인 삶을 실현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다. 한편 콘텐츠 내용에서도 소비이데올로기, 외모지향적 관념 및 전통적인 성 역할 이데올로기가 은폐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 어린이 커뮤니티가 어린이들을 위한 유익하고 유용한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과 달리, 실제로는 기존 사회질서의 논리를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는 문화상품으로서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은 포털 어린이 커뮤니티를 그들만의 방식으로 수용, 변형시켜서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다른 집단으로부터 자신들을 구별짓고자하는 욕구를 실현시키고 있었다. 첫째로, 어린이들은 그들의 중요한 생활영역의 두 축인 가정과 학교에서 다양한 통제와 갈등을 겪고 있었다. 특히 부모에게 완전히 종속되어 있는 경제적 통제권에 대한 욕구는 상당하였다. 이러한 현실에서의 경제적 종속에 대한 불만족과 원망은 포털 커뮤니티 소비를 통해 완화 또는 해소되고 있었다. 어린이들은 스스로 경제권을 통제하는 과정을 통하여 현실세계에서 경제적 권력을 가진 부모의 일방적인 통제로부터 도피를 경험하고 나아가 자율감, 자기만족감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어린이들은 인간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갈등에 대하여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현실상황의 해결방식으로서 포털 커뮤니티를 소비하고 있었는데, 포털 커뮤니티의 아바타를 자신의 뜻대로 통제하면서 자신의 불만족스러운 감정을 완화시키는 ‘통제감의 효과’를 경험하고 있었다. 나아가 아바타 통제는 어린이들에게 부모와 같은 양육자의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또 하나의 즐거움 및 자부심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들은 전통적인 규범 속에 존재하는 ‘어린이다움’을 벗어던지고 즉각적이며 오락적인 특성의 다양한 정체성 놀이를 시도하고 있었다. 포털 커뮤니티는 ‘어린이다움’에서 탈주하는 어린이들이 그들만의 방식으로 다른 문화와의 ‘구별짓기’를 전형적이며 표면적으로 드러내는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이 때 포털 커뮤니티는 어린이들의 탈주적 정체성과 관련된 갖가지의 스타일들이 활보하는 ‘거리문화(street culture)‘의 장으로 전환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들은 포털 어린이 커뮤니티를 소비함에 있어서 즐거움의 가치를 매우 중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즐거움은 그들의 독특한 문화를 구성하고 몰입하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앞서 언급한 통제감의 작동, 다양한 정체성 놀이를 통한 어린이들의 의미실천은 즐거움이 동반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구체적으로 즐거움은 무엇이든지 해결해주는 만물상자, 상상적 공간, 새로운 일상의 창조, 규칙 위반을 통하여 증폭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즐거움은 반드시 용이함과 편리함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하위문화의 양상 및 특성은, 어린이들이 외적인 삶의 조건을 공유하는 가운데에서도 공통의 관심사와 취향을 지닌 또래문화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탐색하는 활동성과 자율성을 나타내는 등 어린이들의 능동적인 문화적 실천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This paper is based on an in-depth interview,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study methods. It is purposed on understanding the state of children's life in detail through a children's community portal sit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reest and the most usual place of modern children's life and investigating how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subculture show. Based on the subculture theory, a certain group starts to form a subculture in a mode that shows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by achieving a cultural practice followed by its social and material condition. This previews that we must not overlook the internal chain of coherence when considering the external subcultural conditions simultaneously, and that the specific meaning of cultural practice should premise the analysis of the patency such as the formation of identity, delights etc, as well as the resistance or any confliction that can be fou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hildren's community portal site, the site was composed to be fun and convenient for children to use in general. However, as the structure of the community deepens the personal communication, there happened to have lots of limits to realize a communal life in the children's cyber space. Meanwhile, it appeared to conceal the ideology of expenditure, appearance-orientated conception, and conventional sex role play ideology inside it. Unlik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children's community portal site as a beneficial and a useful space, it can be said to be achieving the role and function of a cultural product embodying perfectly the logic of our preexisting public order. Nevertheless, children were forming their own culture by acquiring and transforming the children's community portal in their own peculiar way to realize their desire to distinct themselves from other groups. First, children were mitigating and clearing up various controls and discords from their two main life territory, their house and school, by consuming the community portal. Children showed a great deal of desire to have financial control which is completely subordinated by their parents, and they were mitigating their dissatisfaction on the financial subordination in their real life through the community portal. And throughout the process of availing themselves of the financial rights, they were having positive feelings such as liberty, self-satisfaction etc, experiencing a flee from the one sided control by their parents who have the financial control in reality. In addition, they were consuming the portal as a solution of their real life situations where they cannot have control over the conflicts between the real human relationships, and were experiencing 'sense of control effect' which mitigated the dissatisfied feelings through having control over their avatars of the community portal. Furthermore, the control over their avatars gave them another pleasure and self-conceit by giving them fosterer's role like their parents. Second, the children were attempting various role plays that have instant and pleasurable features throwing away their identity of 'being a child' which exists in our traditional standard. The community portal was functioning as a space apparently revealing a typical aspect, what I would call 'making-distinction' from other cultures in their own manners, among the children who seek flee from 'being a child'. At this state the community portal transforms in to a space of 'street culture' where numerous styles related to the children's fugitive identity stride. Finally, it showed that the children significantly considered the value of pleasure by consuming the community portal, and the pleasure was the kernel factor composing them and making them being absorbed into their peculiar culture. The function of the sense of control previously stated, and the meaningful practice of the children throughout the variety of role plays were possible by the accompany of pleasure. In detail, their pleasure amplifies through being a jack of all trades who can solve any problem, being in an imaginary space, creating a new life, and violating regulations. But it showed that all these pleasures should have the prerequisite of easiness and convenience. The aspect and special quality of the subculture can be said to be originated from the children's voluntary manner of cultural practice as they showed their activeness and autonomy while they responded to the external life conditions, taking parts in the culture of their own age where they shared their common taste and concerns, and seeking for their wants and likes continuous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