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박희선-
dc.creator박희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97-
dc.description.abstractUnlikely with others, schizophrenics mostly do not recognize the symptoms from the disease and a need of treatment. Since a continuously-taking-medicine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knowing and understanding the disease are very significant to the patients. The insight of schizophrenics is sometimes explained in a multi-dimensional concept as clinical insight and cognitive insight. The clinical insight focuses on the existence and the reasons of the disease, and it is developed in order to help with a prognosis, a treatment and the management of patients. The cognitive insight is different than clinical insight in a way that it stresses on whether it could revaluate the mistaken analysis and faith of the patients. Thus, the study was set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to develop the effective improvements of insight by understanding the levels of the clinical insight and the cognitive insight of patient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about where and by whom the insight received) related to the obtainments of insigh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clinical and cognitive insights and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acquisition of the insights among patient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by DSM-IV-TR. The sample consisted of 218 patients who were attending community health services (day hospitals, health care facilities, and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and admitted to inpatients clinics in psychiatric hospitals and primary care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009 to October, 2009.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14.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one-way ANOVA with Scheffe post hoc test, and MANOVA procedures.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atients attending community health services showed higher scores on clinical insight than those admitted to inpatient clinics, as measured on SAI(Schedule for Assessing the Three Components of Insight: F=8.786, p<.001) and SUMD (Scale to Assess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F=7.673, p<.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insight between the two groups. 2. There were positive associations of scores of from insight assessed by clinicians with patients' clinical insight(SAI: r= .447, p<.001, SUMD: r=.345, p<.00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reported insight of the patients(SAI), the clinicians interview format insight(SUMD), and the insight that clinicians measured are all related with each other.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assessment and clinician assessment of cognitive insight(r=.057, p=.399). 3. For both SAI and SUMD, patients obtained greater insigh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han from other sources(F=4.056, p=.045). Higher scores were found in patients who obtained clinical insight from past hospitalization(F=5.957, p=.016). Higher levels of clinical insight were also found in patients who obtained the insight through other patients than those who did not(F= 6.804, p=.010). 4. Time to obtain insight after diagnosis significantly predicted acquisition of clinical insight as measured on SAI(t=-2.035, β=-.150, p=.043) among the patients who acquired the insight from other sources. 5. Scores of GAF(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significantly predicted acquisition of clinical insight on both SAI(t=3.421, β=.227, p<.001) and SUMD (t=3.991, β=.262, p<.001), while did not on the cognitive insight measur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ght assessed by clinicians and GAF (r=.376, p<.001). 6. Cognitive insight levels were significant lower among patients with late onset schizophrenia(r=-.097, p=.006). Patient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had higher insight levels measured by clinicians(r=.114, p=.033).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extend the knowledge bas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insight into schizophrenia.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critical need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hat promote continued acquisition of insight in the rehabilitation periods after discharge from psychiatric hospitals. Efforts should be geared towar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tients. Facilitating patients' interaction with other patients may also help them gain insight into schizophrenia.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basic data that develops an effective nursing mediation to improve the insight in schizophrenia.;정신분열병 환자는 그 특성상 다른 질환의 환자들과는 달리 질병으로 인한 증상및 이로 인한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 인식하지 못한다. 정신분열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지속적인 약물 복용이므로 환자 스스로 자신의 질병에 대해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은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임상적 병식, 인지적 병식으로 나뉘어 설명되어지곤 한다. 여기서 임상적 병식이란, 병의 존재와 원인을 인식하고 있느냐에 초점을 두면서 정신분열병의 예후와 치료 및 환자 관리를 목적으로 발달된 병식이라 한다면, 인지적 병식은 환자가 자신의 잘못된 해석이나 믿음을 재평가할 수 있는가를 강조한다는 면에서 임상적 병식과 다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 인지적 병식 수준을 알아보고, 병식 획득과 관계가 있는 임상적 특성(어디서, 누구를 통해 병식이 생겼는지)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병식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9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 및 서울, 부산 지역 소재의 정신전문병원 및 종합병원 정신과 병동에 입원 중인 환자와 낮병원, 정신보건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기관을 이용 중인 회원 중에서 DSM-Ⅳ-TR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자 총 21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보건시설(낮병원,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에서 치료중인 정신분열병 환자가 입원병동에서 치료 중인 환자보다 임상적 병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SAI(Schedule for Assessing the Three Components of Insight): F=8.786, p=.000, SUMD(Scale to assessment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F=7.673, p=.000], 인지적 병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BCIS(Beck Cognitive Insight Scale): F=.223, p=.881]. 2. 치료자가 측정한 병식과 임상적 병식(SAI: r=.447, p=.000, SUMD: r=345, p=.000)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이는 환자의 자가 보고 임상적 병식(SAI)과 치료자 면접 형식의 임상적 병식(SUMD), 치료자 측정에 의한 병식 모두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인지적 병식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057, p=.399). 3. 스스로 병식을 획득한 환자의 병식 수준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았고(F=4.056, p=.045), 과거 입원 경험으로 부터 병식을 획득한 환자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병식 수준이 높았다(F=5.957, p=.016). 그리고 환우를 통해 병식을 획득한 환자도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병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6.804, p=.010). 이상의 결과 모두 임상적 병식 수준(SAI. SUMD)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스스로(SAI): F=6.038, p=.015, 입원경험(SUMD): F=5.998, p=.016, 환우(SAI): F=3.996, p=.047]. 4. 타인으로부터 병식을 획득한 환자 중 병식 획득 시기가 임상적 병식(SAI)을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035, β=-.150, p=.043). 5. 전반적 기능 평가(GAF: Global Assesment of Functioning)가 임상적 병식(SAI:t=3.421, β=.227, p=.000, SUMD: t=3.991, β=.262, p=.000)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반면, 인지적 병식은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치료자가 평가한 병식과 GAF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r=.376, p=.000). 6. 정신분열병 환자의 발병시기가 늦을수록 인지적 병식이 유의하게 낮았고(r=-.097, p=.006), 학력이 높을수록 치료자가 측정한 병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r=.114, p=.033).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병식 수준 향상 및 획득을 위하여 급성기보다는 재활치료 단계에서, 입원 치료 시에는 증상이 완화된 퇴원 시점에서 좀 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병식 수준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현행의 병식 증진을 위한 교육처럼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집단프로그램보다는 환자 개인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는 1:1 접근, 통합적 접근을 하는 차별화된 교육 개발이 필요하겠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상 병식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타 환우와의 상호작용이 다른 경험보다 유의하게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근거로 환우들 간의 상호작용을 격려하여 관계 형성을 돕는 것도 병식 수준 향상 및 획득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적 중재라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개발에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고찰 = 6 A.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 획득 효과와 관련된 연구 = 6 B.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 척도와 관련된 연구 = 12 C.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과 관련된 간호 연구 = 13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 설계 = 15 B. 연구 대상 = 15 C. 연구 도구 = 15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 18 E. 자료 분석 = 19 F. 연구의 제한점 = 20 G. 윤리적 고려 = 20 Ⅳ. 연구 결과 =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1 B. 대상자의 병식 수준 = 24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식 수준 = 24 D. 일반적 특성과 병식과의 관계 = 28 E. 병식 획득 유형별 분석 = 30 F. 임상적 척도 하위영역별 병식 수준 = 41 G. 임상적 척도 하위영역별 관계 = 42 Ⅴ. 논의 = 44 Ⅵ. 결론 및 제언 = 52 A. 결론 = 52 B. 제언 = 53 참고문헌 = 55 부록1. 환자용 설문지 = 68 부록2. 치료자용 설문지 = 75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4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 수준과 획득 관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related to the Level of Insight in Schizophrenia and its Acquisition-
dc.creator.othernamePark, Hee Sun-
dc.format.pageix,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