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욕창,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에 대한 연구

Title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욕창,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Pressure Ulcers, Dependenci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Elders in Nursing Homes
Authors
김정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노인 인구의 증가와 관련하여 노인 요양시설로의 입소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은 지역사회 노인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되어 있고 우울의 정도가 높다.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 및 우울은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되고 우울이 있는 노인은 욕창발생의 위험군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요양 시설 노인의 욕창발생,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욕창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정도를 비교하여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욕창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 및 경상북도 지역에 위치한 8개소의 노인요양시설에 있는 22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수행능력은 Korean activity daily(K-ADL)을, 우울은 한국형 노인 우울 검사(Korean fro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 KGDS)를, 욕창 피부사정은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s Clinical Practice Guidelin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 6월 2일부터 8월 26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 중의 욕창발생군은 226명 중 20명(8.9%)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 점수는 평균 18.23점(SD±4.64), 우울점수는 평균 14.65점(SD±7.11)으로 조사되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욕창실태 대상자의 욕창 수는 1개 16명(80%), 2개 3명(15%), 3개 1명(5%)이었으며, 욕창단계는 1단계 8명(33.3%), 2단계 10명(41.7%), 3단계 5명(20.8%), 4단계 1명(4.2%)이었다. 욕창발생부위는 좌골 1명(4.2%), 천골 15명(62.5%), 미골 1명(4.2%), 대전자 4명(16.7%), 발꿈치 1명(4.2%), 기타 2명(8.3%)으로 조사되었다. 3. 욕창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 비교 욕창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성별, 연령(±2세 범위), 일상생활수행능력(±1 범위)을 1:1 매칭을 수행하여 욕창발생군과 비발생군간의 우울점수를 확인한 결과 욕창발생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욕창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성별, 연령(±2세 범위), 우울(±1 범위)을 1:1 매칭을 수행하여 욕창발생군과 비발생군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점수를 확인한 결과 욕창발생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노인요양시설 노인 중 욕창발생군은 일상생활수행이 저하되어 있고, 경도의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욕창발생유무에 따라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욕창 위험도 및 욕창 사정을 통해 위험군을 발견하며,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여 노인의 욕창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and its relationship to dependenci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depression among nursing home elders. The sample consisted of 226 elders in eight nursing facilities located in Seoul, Gyunggi and Kyungbuk provinces in Korea. The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ADL), the Korean Form of the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and th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AHCPR)’s (1992)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ressure ulcers were used to assess th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dependencies in ADL, and depression,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nd to August 26th, 2009.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1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1. Nine percent of study elders had pressure ulcers. Elders showed low levels of dependencies in ADL with the mean score of 18.23 (SD = 4.64) and low levels of depression with the mean score of 14.65 (SD = 7.11). 2. Sixteen elders(80%) had one pressure ulcer area, three(15%) had two areas, and one(5%) had three areas. Eight elders(33.3%) were at ulcer Stage 1, ten(41.7%) were at Stage 2, and five(20.8%) were Stage 3, and one(4.2%) was at Stage 4. Pressure ulcers occurred in sit bones; one(4.2%), sacrum; fifteen(62.5%), coccyx; one(4.2%), the great trochanter; four(16.7%), heels; one(4.2%), and other places; two(8.3%). 3. Elders with pressure ulcers had greater ADL dependencies (Mean = 19.20 vs 13.23, p <.01) and more depressive symptoms (Mean = 17.00 vs 14.43, p = .042) than those who were not affected by ulcers. The data indicated that elders with pressure ulcers in nursing home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 levels of deficiencies in ADL and suffer from depression. Research on risk factors and preven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pressure ulcer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psychological health and independence among older individuals in nursing home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