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5 Download: 0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 손상과 심리적 특성

Title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 손상과 심리적 특성
Other Titles
Traumatized Self-System in Adults Repetitively Exposed to Interpersonal Trauma
Authors
장진이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반복적 대인간 외상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대인관계 속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외상으로 신체적 폭력, 성폭력, 정서적 폭력 등을 포괄한다. 이러한 반복적 대인간 외상은 자기체계(self-system) 손상은 물론이요, 다양한 외상 후 증상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 대인간 외상이 일회성 대인간 외상과 자연재해, 교통사고 등 사건·사고의 단순 외상 경험과 구별되는 심리적 후유증을 초래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기체계 손상과 복합외상증후군, PTSD 등의 외상 후 증상, 정서조절의 어려움, 경계선적 성격 특성, 신체화, 우울, 불안, 자아탄력성 등에서 이들 외상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반복적 대인간 외상으로 인한 자기체계 손상을 개념화하기 위하여 외상화된 자기체계 체크리스트(Traumatized Self-System Checklist)를 개발하였다. 이는 주체적 자기(I-self) 손상, 대상적 자기(Me-self) 손상, 자기조절(self-regulation) 손상, 관계적 자기(relational self) 손상의 4가지 하위 영역을 포괄하는 것으로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으로 인해 자기체계의 어느 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진 손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평가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외상 체크리스트를 통해 선별된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 89명, 일회성 대인간 외상 경험자 20명, 단순 외상 경험자 211명 등 총 320명이었으며, 외상화된 자기체계 체크리스트, 복합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 외상 후 진단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 간이정신진단 검사, 자아탄력성 척도 등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외상 유형에 따른 자기체계 손상을 살피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대인간 외상 집단과 단순 외상 집단으로 분류하고, 대인간 외상 경험자들은 경험 횟수에 따라 반복적 대인간 외상 집단과 일회성 대인간 외상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대인간 외상 집단과 단순 외상 집단을 비교한 결과, 자기지속성 손상, 자기자각 손상, 자기주도성 손상, 자기통합성 손상, 부정적 자기, 수치심, 과소 자기조절, 자기파괴적 행동, 관계적 자기 손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자기반성 손상, 죄책감, 과잉 자기조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와 일회성 대인간 외상 경험자 간에는 주체적 자기 손상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상적 자기 손상, 자기조절 손상, 관계적 자기 손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세부 하위 영역에서는 자기지속성 손상, 자기통합성 손상, 자기파괴적 행동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외상 유형에 따른 심리적 증상과 특성을 살핀 결과, 대인간 외상 집단과 단순 외상 집단 간에 의식 기능의 손상을 제외한 복합외상증후군의 하위 증상과 PTSD, 정서조절의 어려움, 경계선적 성격 특성, 신체화, 우울, 불안, 자아탄력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와 일회성 대인간 외상 경험자 간에는 복합외상증후군의 하위 증상인 정서조절 기능의 손상, 의식 기능의 손상, 신체화 증상, 의미체계 변화와 경계선적 성격 특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 시기에 따라 자기체계 손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핀 결과, 부정적 자기와 자기파괴적 행동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부정적 자기에서는 아동·청소년기 경험 집단이 아동·청소년기·성인기 중복 경험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자기파괴적 행동에서는 성인기 경험 집단이 아동·청소년기·성인기 중복 경험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복합외상증후군의 하위 증상 등 심리적 증상과 특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들은 자기체계 하위 영역 가운데 주체적 자기, 특히 자기지속성, 자기통합성, 자기파괴적 행동에서 가장 큰 손상을 드러내었고, 외상 후 증상에서는 정서조절 기능의 손상, 의식 기능의 손상, 신체화 증상, 의미체계의 변화에서 다른 외상 유형과 구별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들이 다른 외상 유형과 구별되는 자기체계 손상과 심리적 증상과 특성을 보이는 만큼 상담 장면에서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들에 대한 명료한 평가와 차별화된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Repeated psychological trauma that is experienc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ytime across the life span can disrupt one's basic self-system and cause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lead to significant disruption in the individual's self-system as well as to posttraumatic symptom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symptoms caused by simple trauma or single event interpersonal trauma.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ed to explai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from the self-system framework, and how it differentiated or converged with such psychological areas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Borderline Personality,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and Ego-Resilsience. First of all, in order to conceptualize complex posttraumatic syndrome caused by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as the disruption of the self-system, this study developed the Traumatized Self-System Checklist(TSSC) which was validated through a pilot study. TSSC items contain such self-related domains as I-self, Me-self, Self-regulation, and Relational self impaired by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type of trauma that they had experienced -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group, single event interpersonal trauma group, and the simple trauma group. Each participant was given a questionnaire package consisting of The Traumatized Self-System Checklist, The Complex PTSD Scale-S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Korean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Korea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PD, and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items from the Korean SCL-90, Ego-Resilience Scale. Eventually the data from 320 adult trauma victim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sistency, self-awareness, self-agency, self-integration, negative self, shame, under-regulation, self-destructive behavior and relational self between those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those who had experienced simple trauma. However, the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flection, guilt, and over-regu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ruption of I-self only, particularly in the impairments of self-consistency, self-integration,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between those with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and those with single event interpersonal trauma.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ternation in attention or consciousness, which are the subtypes of complex posttraumatic syndrome, between those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those who had experienced simple traum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ternations in emotion regulation, consciousness, somatization, meaning system and borderline personality between those with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and those with single event interpersonal trauma.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three trauma onset groups(those who had experienced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in only childhood or adolescence, in only adulthood, or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nly in the negative self view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ose who had first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in childhood or adolescence showed higher scores in the negative self than those groups who had experienced it in adulthood. Regarding self-destructive behavior, those who had experienced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in adulthood reveal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had experienced it in childhood or adolescence and adulthood. Ye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other complex posttraumatic symdrome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empirically that different types of trauma cause distinct disruptions of self-system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assess and adopt distinct intervention strategies in order to restore the disruption of self-system and treat complex posttraumatic syndrome caused by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Several other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