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의-
dc.contributor.author김은숙-
dc.creator김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9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wha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as attractive to the middled-aged men and women. In the areas of interpersonal attraction,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 on how people evaluate attraction in other persons of same age and gender while most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opposite gender. The reason why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erceived attractiveness of the middle-aged person's attractiveness toward persons around the same age and gender was because developmentally speaking the middle age perion is when many of ou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come relatively stable, and thus categorizing factors which deduct perceived attractiveness of the middle-aged could help understanding one's ideal or modelling image in that age period. Eight men and eight women participants who were in their 40's included office workers or post-undergraduate continuing education students in psychology class. In group interviews, various opinions and views were gathered. Following the procedures from the concept analysis studies, the participants evaluated and categorized congregated contents from their own interview contents, and then the cluster-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lete a concept-map. In conclusion, the women's group and men's group showed three clusters eachs: In women's group, there were 'caring of others in relationships (cluster 1)', 'personal maturation and self-realization (cluster 2)', and 'happiness through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cluster 3). In the men's group, there were 'caring of others in relationships (cluster 1)', 'happiness through challenge and self-management(cluster 2) and 'the pursuit of success and achievement ( cluster 3)'. In the women's group, cluster 1 was independent from the other while cluster 2 and 3 were related and close to each other. In the men's group, 3 clusters were independent areas, and cluster 2 was spread over cluster 1 and 3, but it was a separate dimension. The following was about common factors and different factors among perceived attrac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s of women and men. First, both men and women recognized that taking care of others and making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s among the attractive factors. In other words, both men and women thought a person who looks after others and shows friendly attitude to others based on respect and intimacy toward human beings as an attractive person. Second, both mens and women also recognized that managing and developing his or her potentials and competencies are important attractive factors. Both gender groups thought a person who develops his or her ability and potentials continuously as a attractive person. Third, the most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der groups appeared at the cluster 3 part which showed that women gave more value to being committed to family life than men did. Women recognized happiness and stability of their family as very important things in their lives. On the other hand, men perceived being a professional and competent person in his work field to be more attractive. Fourth, both gender groups felt attracted to intimate and comfortable persons, especially who accept them and give energy and courage to them. Additionally, they felt attracted to a person who managed and developed him or herself continuously. In addition,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 in his or her life and contribute to the society with positive minds were perceived to be attractive.;지난 40여년 간 대인매력 연구의 대부분이 매력을 단순히 호감 또는 비호감의 정서적인 평가 과정만으로 보아 왔다면, 현재 매력 연구의 흐름은 지각된 정보와 매력간의 연결성(Information-attraction link)에 중점을 두고 하나의 인지적 평가 과정으로 보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인지 평가과정에서 지각자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상적인 모습이라고 판단되는 사람을 매력 있는 사람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는데,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을 보면, 매력에 관여하는 인지적인 판단과정에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그 이유는 무엇보다 대인매력에 대한 인지적인 판단을 내리는데 있어서 한국인들이 대인매력 평가에서 중요시 하는 기초적인 개념화 작업과 같은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가치가 형성되고 삶에서 책임을 느끼며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 내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요한 심리적 특성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년층을 대상으로 비슷한 연령과 동성의 다른 사람들을 바라봤을 때 매력요인이라고 생각되는 요소들을 관념적으로 살펴보고 모델링이 될 만한 전체적이고 이상적인 상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각기 다른 일반 회사에 근무하는 40대의 남성 8명과 평생교육원에서 심리학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40대의 여성 8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집단 면접방식으로 자유롭게 의견들을 표현하도록 촉진하여 수집되었고, 이를 통해 추출된 문장들을 참여자들이 직접 분류, 평정하여 Ward의 방식을 적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군집으로 묶인 문장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집단과 남성집단 각각 3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군집의 형태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즉, 여성집단은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관계를 잘 맺을 줄 앎(군집 1)’, ‘성숙한 인격과 자기실현을 추구함(군집 2)’, ‘수용과 자기조절을 통해 행복감을 누림(군집 3)’ 등으로 나타났으며, 군집 2와 3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고 군집 1은 다소 거리를 두고 분리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남성집단은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관계를 잘 맺을 줄 앎(군집 1)’, ‘도전과 자기관리를 통해 행복감을 누림(군집 2)’, ‘일에서의 성취와 성공을 추구함(군집 3)’ 등으로 나타났으며, 3개의 군집들이 비교적 독자적인 영역인 것처럼 따로 분리되어 있고, 2번 군집은 차원을 달리하며 1번과 3번 군집 간에 넓게 걸쳐진 형태로 나타났다. 여성집단과 남성집단에서 중년기에 보이는 매력요인의 심리적 특성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같은 연령대에 해당되는 중년기의 친숙한 동성의 다른 사람들을 바라봤을 때 매력을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남녀 모두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어 있는 점은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관계를 잘 맺을 줄 앎’이었다. 즉, 사람을 좋아하고, 다른 사람을 배려하며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으로, 자기 자신을 포함하여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감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을 매력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자신을 관리해나가고 성장시킬 수 있는 요인들 또한 중요하게 부각되어 있는데, 여성집단, 남성집단 모두 자신의 모습을 일관성있게 유지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잠재력을 실현시키고, 능력을 키워나가며 자아를 보다 확대시켜 나가는 사람의 모습이 매력 있게 인식되어 있었다.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에서 남녀간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여성집단 참여자들은 자기통제와 절제, 특히 감정적인 통제능력이 중요하고 일관성 있고 지속적이며 성실한 모습이 보여질 때 매력적인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남성집단 참여자들은 삶에서 능동적인 태도를 취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며 보다 삶의 주체적인 모습이 나타날 때 매력적인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여성과 남성집단 참여자들 간에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군집3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성의 경우에는 ‘수용과 자기조절을 통해 행복감을 누림’요소이고 남성의 경우에는 ‘일에서의 성취와 성공을 추구함’의 요소이다. 참여자들이 중요하다고 언급한 내용들을 고려해볼 때, 여성들은 가족구성원들을 매우 중요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가정 안에 평온과 안정이 자신의 삶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남성집단에서 생각하는 매력 있는 사람들의 모습에서는 가정의 평온이나 가족구성원들과의 관계적인 측면이 크게 작용하고 있지 않았고, 자신이 현재 하고 있는 일의 분야에서 유능함을 발휘하고 전문적이고 기능적인 모습을 보일 때, 매력 있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여성, 남성집단 참여자 모두가 좋아하고 매력을 느끼는 사람의 전체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면, 우선 일차적으로 사람을 좋아하고 친밀감을 느끼며 자신을 편안하게 대해주고 특히, 자신을 인정해주고 자신에게 용기와 힘을 북돋아줄 수 있는 사람에게 매력을 느낀다. 또한 자기관리를 성실하고 꾸준하게 해나가며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아를 확장하고 자신을 성장시키는 사람에게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터전에서 유능감을 발휘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며 삶에서 오는 시련과 역경을 지혜롭게 극복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요소 중에서도 여성집단 참여자들은 특히, 자신의 모습을 잘 지켜나가고 온화하며 성실한 태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가족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것들을 매력 있게 생각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남성집단 참여자들은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존경스러운 모습을 보일 때 매력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선행연구가 미비한 상태에서 중년기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 매력 있다고 판단하고,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관이 무엇이며 삶의 목표설정에 관여하고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는 귀감이 될 만한 모델이 어떤 모습인가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런 결과들을 상담개입과정과 연관지어볼 때, 중년층에 해당되는 사람들이 삶의 목표와 방향성을 잃고 혼란에 빠져 있는 경우 상담자가 적절한 기준을 제시하면서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5 II.문헌 고찰 6 A.대인매력 6 1.정의 6 2.선행연구 6 3.인지적 평가모델 12 B.중년기의 발달 및 심리적 특성 22 1.중년기의 정의 22 2.중년기의 발달과업 23 3.중년기의 심리사회적 변화요인 27 C.중년기 대인매력의 심리적 형성요인 33 1.낙관성 35 2.자존감 36 3.긍정적인 인간관계 36 D.개념도 연구방법 38 1.정의 및 구성요소 39 2.개념도의 종류 40 3.개념도 연구방법 41 4.개념도 연구절차 및 방법의 이해 41 5.개념도 방법의 유용성 45 III.연구 방법 46 A.연구참여자 46 B.연구절차 46 IV.연구 결과 51 A.연구결과 51 1.여성집단 대인매력요인에 대한 개념도 51 2.남성집단 대인매력요인에 대한 개념도 56 3.여성집단과 남성집단의 차이 60 V.논의 62 A.중년기 성인남녀가 인식하는 매력요인의 공통점과 차이점 62 B.본 연구의 의의 71 C.상담 개입에 대한 제언 73 D.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4 참고문헌 76 부록 92 부록 1.면접참여 동의서 92 부록 2.여성집단 중요성 평정용지 93 부록 3.남성집단 중요성 평정용지 96 부록 4.문장들의 범주 분류용지 99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97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각된 중년기 남녀의 대인매력에 관한 심리적 특성 개념도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cept Analysi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d Interpersonal Atractivenes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dc.creator.othernameKim, Eun Suk-
dc.format.pagev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