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대학생 프로테제의 멘토와의 관계적 특성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 프로테제의 멘토와의 관계적 특성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Relatio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 Protege with Mentor on Mentoring Function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지연
Abstract
경제위기가 지속되면서 대학생들의 취업 문제와 경력개발 문제가 국가적인 문제가 되었다. 청년 실업률이 상승하고 있으나 기업들의 고용률은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많은 학생들이 졸업 이후에도 일자리를 찾지 못해 실업자가 되거나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에 종사하게 되었다.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큰 손실을 안겨주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은 대학에 입학하는 순간부터 취업을 위해 자격증을 따거나 필요한 기술, 지식 습득에 노력을 기울인다. 학교 역시 복수전공제, 학부제와 같은 여러 가지 방안을 고민하고 실제 도입, 시행하고 있으나 큰 효과를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학멘토링은 이러한 대학 조직에서 새로운 경력개발과 조직적응 방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멘토링에 관한 연구는 이미 해외를 비롯한 국내에서도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대상이 주로 기업 조직에 국한되어 사회의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멘토링 연구도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대학멘토링의 실태파악이나 특정 학과에 국한된 프로그램 개발 혹은 멘토링 효과의 연구에 그치고 있다. 또한 멘토링 기능의 측정에 있어서도 기업 조직에 주로 활용이 되는 Noe(1988)의 측정도구를 활용해 대학 조직의 특성에 맞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결과 측정, 설계와 시행, 또한 멘토와 프로테제의 관계를 고려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대학생 멘토링 연구들이 멘토링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적 효과에 주목하여 연구한 것과 차별하여 대학생 멘토링에 있어서 멘토와 프로테제가 가지는 관계적 특성이 멘토링으로 발생하는 1차적 효과인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대학생 멘토링에서 멘토와 프로테제의 관계적 특성을 멘토의 신분, 멘토링 구성성별, 멘토링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관계적 특성이 멘토링 기능 중 어느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인문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편의표본추출로 총 192부의 설문을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test와 더미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에 참여한 192명의 대학생들 중 멘토링에 현재 참여중인 학생이 70.8%로 많은 학생들의 멘토링 참여율을 알 수 있으며, 50%의 학생들이 자신의 멘토를 학교에 재학 중인 선배이다. 멘토링의 구성성별은 동성 멘토 그룹이 74.4%의 높은 비율을 보여 학생들이 자신과 동성의 멘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프로테제 학생들의 84.4%가 자신의 멘토와 주로 직접적 유형의 의사소통을 통해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을 통해 알아낸 멘토와 프로테제의 관계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토의 신분과 멘토링 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수 멘토와 직장인, 가족 멘토가 프로테제에게 역할모델기능에 있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멘토나 직장인 멘토는 학교 조직 내·외에서 학생인 프로테제가 공부하는 분야의 전문가 이거나 겪고 있는 문제를 이미 경험한 멘토로서 프로테제의 경력개발과 진로문제, 조직 적응을 도와줄 것으로 예상 했으나 프로테제는 직접적인 도움보다 간접적으로 자신이 미래에 되고자 하는 모습을 멘토에게서 찾아 이를 닮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프로테제와 비슷한 또래로 조직에서 친밀한 관계를 가질 수 있는 재학 중인 선배 멘토는 역할모델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설문조사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 친구 멘토는 조직에서의 프로테제의 경력개발기능에 필요한 역할은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의 구성성별과 멘토링 기능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성으로 이뤄진 동성그룹은 심리사회적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적인 친밀함, 지원을 하는 멘토의 역할은 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남성멘토의 이성그룹은 경력개발기능에 주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성이 멘토로 있는 동성그룹과 이성그룹은 멘토링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 멘토링에 있어서 여성 멘토가 남성 멘토에 비해 멘토링 기능 수행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대학생 프로테제와 멘토와의 관계적 특성으로 구분한 각 변수 각각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경력개발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이 아직 학년이 낮아 자신의 경력개발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관심이 비교적 적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심리사회적기능에 있어서는 가족멘토와 여성멘토, 그리고 직접적의사소통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모델기능은 T-test의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교수, 직장인, 가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 프로테제가 자신의 멘토를 역할모델로 삼아 이들을 존경하고 본받고 싶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측정도구(박성미, 2006)를 활용하여 멘토링 기능을 측정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이 멘토링 프로그램으로 얻어지는 효과에 주로 주목하였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멘토링에서의 멘토와 프로테제의 관계적 특성과 멘토링 기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필요성과 요구가 있음에도 아직까지 공식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대학의 수가 적은 현재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경력개발이나 미래 진로계획 및 조직적응을 위한 방안으로의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As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velopment become national problems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crease in youth unemployment and decrease in employment of enterprises are creating a vicious circle. Various measures to overcome the phenomenon are presented and realized by students and colleges but have insufficient effects. College mentoring is a program that engages public attention as a measures for new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in these college organizations. Mentoring has been already researched b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However, studies of mentoring for college students have focused only on development of programs restricted to specific majors or effects of mentoring. Also, tools to measure mentoring functions are developed for enterprise organization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developing tools appropriate for characteristics of college organiza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relation characteristics of mentors and proteges in college student mentoring on mentoring functions. For doing this, the author classified the relation characteristics of mentors and proteges into social status of mentors, gender composition of mentoring, and types of mentoring communication, identifying effects of each variable on mentoring functions. As for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19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in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dummy variable, by using the SPSS/Windows 17.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fessor mentors, office worker mentors, and family mentors affected proteges in functions of role models. As for the gender composition of mentoring, homogeneous groups of males did not affect psycho-social functions, and heterogeneous groups of male mentors affected career development. Meanwhile, groups of female mentors did not have peculiar effects on mentoring functions. As for the types of mentoring communication, the functions of role models were more affected as the influence of types of direct communication was enhanc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dummy variable on the effects of each variable on mentoring functions, no variables were shown to affect functions of career development. As for the psycho-social functions, family mentors, female mentor groups, and direct communication groups had effects. Office worker mentors, professor mentors, and family mentors were shown to affect the functions of role mode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unlik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measured mentoring functions by using a tool for measuring mentoring for college student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characteristics of mentors and proteges and the relations of mentoring functions in presently-performing mentoring. Third,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support in the future, given the fact that not many colleges conduct formal mentoring programs despite the necessity and dema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