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지연-
dc.contributor.authorBat Batgerel-
dc.creatorBat Batgerel-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14-
dc.description.abstract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see that Korean investment companies in Mongolia a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rs. As of January 2009, there are 1,350 Korean companies in Mongolia according to Foreign Investment and Foreign Trade Agency of Mongolia (FIFTA),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Mongolia and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 (NSO). Among them, 683 companies are wholly-owned companies.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turned among Mongolian middle managers working in Korean wholly-owned companies engaged in service, construction fields and combined busines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are no systematic development trainings or education programs for Mongolian office administrators, working in Korean invested companies or organization, or it is on insufficient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re's no formal education training for Mongolian middle managers in Korean companies besides informal on the job trainings (OJTs). Also even if there is a training program, middle managers themselves did not strongly wish to participate in those of training programs, on the other hand, Korean superiors did not encourage them. Mongolians working in Korean company were get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Korea from friends, colleagues and co-workers, and also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from Korean language trainings and so on. The biggest need was the knowledge that is a gap between present and wanted levels of common job competency. Followings are the top ten areas of knowledge needs. Korean investment companies in Mongolia often deal with other multi-national companies in Mongolia, and in such cases middle managers needed skills like planning document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n English in office environment, which was the highest (11.20) need. Leaving to get experience through trials and errors and learning on their own, creating their unique way is appropriate way to facilitate Mongolians. These high demands of the middle managers that work for Korean investment companies in Mongolia, were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Korean superiors. The next highest demand - planning documents and writing skills in Korean - was not conducted officially, and personals learned it on their own with no special systematic training. The third is PowerPoint and public presentation skills, ability to report and planning skills. Mongolian middle managers also wanted to know better about Korean culture and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which they face everyday when working with Korean superiors. Mongolia is a developing and globalizing country; the next skill Mongolian managers wanted is to develop their self-control ability and overcome their negative emotions and stresses they get from the work. Top ten demanded common job skills were prediction (how to handle multiple task processing time on researching and preventing the risk of an accident), memory (to conduct business at the time is always set to record, memorize putting attitude), intention to take leaders role in a team or group (business to improve performance or prevent problems or find new opportunities), will and demand to performance good, attitude to care, be patient and relaxed, intention to help others, ability to give a strong impression, confidence in them and persuade to get a support for their purpose, creativity (attitude to discover a way of when to do what). Indeed,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no skill trainings offered for middle managers in Korean Investment Companies in Mongolia.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systematic training program about the demands, which were significant.;이 논문은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공통 직무 역량 교육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역량 수준과 기대되는 수준의 차이를 밝혀 앞으로 몽골인 중간관리자를 위한 기초 교육자료 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들의 교육 훈련 현황은 어떠한가? 2.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은 무엇인가? 가.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요구되는 공통직무 역량은 무엇인가? 나. 공통직무 역량에서 몽골인 중간관리자의 현재수준 및 기대 수준은 어떠한가? 3. 현재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의 교육 훈련 현황과 실제 도출된 역량으로부터 나온 교육 요구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년 현재 몽골 주재 한국회사에서 중간관리자로 근무하고 있는 몽골인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직무 역량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도표화하였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능력, 자질 및 태도수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각 역량의 현재 상태와 기대 상태의 격차를 분석하여 요구도가 높은 핵심 공통 역량을 추출하였다. Focus Group Interview 시행 결과, 지식 및 기술 능력 역량 40 개 항목, 자질 및 태도 역량 21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이 가운데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요구되는 공통 직무 역량의 현재와 기대 수준의 격차와 요구도 중 각 각 상위 10위 등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온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요구되는 공통 직무 역량의 현재 수준과 기대 수준 격차가 높은 지식 요구도 상위 10개를 보면 영어 문서를 기획하고 작성하는 능력의 현재 상태와 기대 상태의 격차가 11.30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격차가 높게 나온 항목은 사무환경에서 영어로 듣는 능력9.80, 사무 환경에서 영어로 말하는 능력 9.65, 사무 환경에서 영어로 읽는 능력 9.20이며 5 위로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를 각오하고, 이해하면서 여러 상황을 경험해 보고 스스로 터득하게 만들거나 그 과정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을 만들어 내도록 촉진하는 능력이 8.65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한국 문서를 기획하고 작성하는 능력 8.20, 파워 포인트를 사용하여 발표 슬라이드를 작성하는 능력 8.05, 대중 앞에서 보고서나 기획서 등을 발표하는 능력 7.85, 한국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능력7.20, 타인의 반대나 적대적인 반응에 직면했을 때 혹은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부정적인 행동을 취하고 싶은 유혹에도 불구하고 감정을 조절하여 자제하는 능력 (자기조절) 이 7.1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온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요구되는 공통 직무 역량의 현재 수준과 기대 수준 격차가 높은 자질 요구도 상위 10개를 보면 예견성 (일을 할 때 항상 몇 가지 방법을 조사하여 예방하는 사고 방식) 이7.25, 기억력 (일을 정한 기간내에 실행할수 있게 항상 기록하여 외어 두는 태도)이6.75, 팀이나 기타 집단의 리더 역할을 맡으려는 의도가 6.20, 주도성(결과적으로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거나 문제를 예방하여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거나 창출함) 5.75, 일을 잘 하려는 관심이나 최고의 기준에 도전하고자 하는 의욕의 격차가 5.75, 결과적으로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거나 문제를 예방하여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거나 창출함(주도성) 5.55, 배려하고 인내하며 여유 있는 태도5.50, 타인들을 지도하거나 키워주고자 하는 의도5.25, 자신의 목적에 대한 지원을 얻어내기 위해 강력한 인상을 심어주고, 확신시키고, 설득하려는 의도5.25, 일을 할때 어떤 방법으로 실현해야 하는가 하는 휼륭한 방법을 발견해 내는 태도 (창의력)가 5.25로 높게 나왔다. 이러한 공통 직무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 상황과 기대 상황을 파악하고, 몽골 주재 한국 회사에서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현재 실행하는 교육뿐만 아니라, 업무 수행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개발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중간관리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 학생 및 졸업생이나 중간관리자의 업무 범위를 알지 못하여 전문적인 중간관리자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몽골인 중간관리자들에게 정확한 업무 내용에 관한 지식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몽골 주재 한국회사에서 시행되고 있는 몽골인 중간관리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시, 전문성을 가진 몽골인 중간관리자들을 양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중간관리자 = 6 B. 역량 = 11 C.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 24 Ⅲ. 연구 방법 = 30 A. 연구 절차 = 30 B. 연구 대상 = 33 Ⅳ. 연구 결과 = 38 A. 인구 통계학적인 특성 = 38 B.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사무직 구성원들의 교육 = 40 C.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에게 요구되는 공통 직무 역량의 현재 수준과 기대 수준 = 44 Ⅴ. 결론 = 56 참고문헌 = 61 부록 = 66 부록1. 참여자 동의서 = 67 부록2. 일대일 심층 인터뷰 질문지 (상사 및 인사관리 담당용) = 71 부록3. 일대일 심층 인터뷰 질문지 (몽골인 중간관리자용) = 73 부록4. 포커스 그룹 인터뷰 가이드라인 (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 = 75 부록5. 전문가용 설문지 = 79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67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몽골 주재 한국회사의 몽골인 중간관리자의 공통 직무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Study on Diversity Ability of Administration Officer working at Korean Investment Company in Mongolia-
dc.format.pagexi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