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변인에 관한 연구

Title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변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Variab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Focused on the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Authors
한나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있어서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하고 각 변인 간의 상호 관련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진로선택에서 더 나아가 진로에 대한 개인의 자신감 및 가치관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이란, 자신이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에서 필요한 과업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 또는 진로관련 의사결정에 대한 준비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년제, 4년제 비서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후천적 학습 변인을 알아보고 그 중요성의 차이 및 실제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인들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서관련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진로결정 시 중요하다 여겨지는 요인의 빈도를 파악하고 주요 변인으로 나열된 영어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셀프 리더십 능력, 인턴십 경험의 유무, 멘토링, 진로집단상담 경험의 유무와 같은 변인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에 따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셀프 리더십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영어능력 하위변인 중 영어읽기, 컴퓨터 활용능력 하위 변인 중 시스템 관리능력, 셀프 리더십 하위변인 중 자기기대 수준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이 영어능력 및 인턴십과 같은 실질적이고 진로결정에 유용한 변인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더 많은 유의미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2년제 대학의 학생보다 4년제 대학의 학생이 영어능력과 셀프 리더십을 더 높은 수준으로 자각하고 있었고, 집단상담은 4년제 대학의 학생보다 2년제 대학의 학생이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년제 학생들이 4년제 학생들에 비해 진로관련 집단상담의 교육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해 비서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진로결정 시 영어능력, 컴퓨터 능력을 포함한 기타 여러 변인들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수준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학교 유형별, 학년별, 개인의 경험 유무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지하여 더 나은 진로선택과 올바른 진로탐색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각 교육기관 및 개인은 현 교육 제도 및 방법을 파악하고 현재의 역량 수준을 판단하여 그에 걸맞는 진로지도 및 진로학습을 해야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The process of explor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during adolescence and adulthood, and studying the correlation among these different variables is important. The concep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lso gaining interest as a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confidence and values with regards to one’s career, as one thinks beyond simply deciding what career path to choos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defined as the belief that one can successfully carry on the necessary tasks when choosing one’s career path, or the preparation for choosing one’s career path. This research conducts empirical analysis on students majoring office administration enrolled in 2-year and 4-year degree programs, exploring their acquired skills as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in the significance of each variable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the students actually recogniz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frequently mentioned variables that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their career choices were English proficiency, computer skills, self-leadership, internship experience, mentoring and experience in Career Develop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se variables and its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research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English proficiency, computer skills and self-leadership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these skills, English reading, systems management and self-expectation, a lower variable of self-leadership particularly demonstrated strong correlations. Second, practical and useful variables such as English proficiency and internship experience were more significant for senior students than junior students. Third, students in 4-year degree programs had higher awareness of English proficiency and self-leadership than students in 2-year degree programs.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2-year degree programs had more experience with group counseling programs than students in 4-year degree programs. Students in 2-year programs seem to have more exposure to career-related group counseling than students in 4-years. This research reveals that to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variables such as English proficiency, computer skill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academic institution they are enrolled in, class year, and individual experience. As a conclusion, in order to maintain high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nsure better ways of career searching, each educational institute and individual must understand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s and methods as well as current individual capacity to provide adequate career advice and career development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