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심우진-
dc.creator심우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02-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지식기반사회에서 평생학습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평생학습 실현의 유용한 수단으로 사이버대학이 각광받고 있다. 사이버대학은 전통적 방식의 교육이 지닌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강의를 들을 수 있고, 직업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이 전통적 방식의 교육에 비해 낮은 학습지속률을 보이는 것을 문제점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지금까지 사이버 환경에서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학습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면, 학습의 성공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이론적인 논의에 그치거나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예측에만 관심을 가져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이버 환경에서 학습의 성과는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여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구조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을 학습성과 영향변수로,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을 학습성과 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를 설명하는 구조적인 모델을 구안하는 것이다. 또한 변수들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비롯해 만족도 및 성취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2.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가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3.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4.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은 만족도를 매개로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5.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은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6.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 만족도는 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7. 사이버대학생의 만족도는 성취도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W사이버대학의 2009학년도 1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1차 설문은 학습자의 배경변인을 비롯해 내적통제소재를 측정하였으며, 2차 설문은 상호작용,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였다. 1차 설문과 2차 설문에 모두 응답한 학습자는 586명이었고, 이중에서 불성실한 응답 48부를 제외한 총 538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시에는 먼저 측정도구의 적합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성과 변수 및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β=.206)와 상호작용(β=.621)은 학습성과 요인 중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내적통제소재 성향을 지닌 학습자는 그렇지 않은 학습자 보다 전반적인 사이버교육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상호작용(β=.191)은 학습성과 요인 중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날수록 학습자는 높은 학업성취를 달성하므로 성공적인 사이버교육을 위해서는 상호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설계와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β=.117), 만족도(β=.667)는 학습성과 요인 중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적통제소재 성향을 지니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의 노력도 요구되지만, 학교차원에서도 지속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자를 격려하고 동기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만족도 역시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학습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은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이버 상에서 학습자의 학습지속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과 더불어 만족도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학습성과 변수로 설정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은 내적통제소재나 상호작용 외에도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목표의식, 교수설계적인 측면, 교육기관 차원에서의 지원과 같이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 변수로 만족도,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만을 선정하였으나 이외에도 학습에 대한 태도, 몰입, 참여도 등 다양한 지표를 학습성과 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 종합하면, 학습성과는 여러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보다 큰 맥락에서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포함시켜 이들 간의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후속연구에서는 학습성과를 설명하는 다양한 변수가 포함된 확장된 구조모형을 검증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need of lifelong education is getting increased. Recently, cyber university is getting important as a useful way to realize lifelong education and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cyber university can b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learners can learn everytime, everywhere and every course at their own choices, also can study and work at the same time. With these advantages of cyber university,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about its effectiveness. Actually, many previous studies mentioned that cyber university has a big problem of lower persistence rates than traditional educa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continuous and successful learning in cyber environment are focused only theoretical approach and relationship or expectation between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outcomes. However, learning outcome in cyber environment is a complex phenomenon influenced by a multitude of variables. Therefore, it is need to whole approach which considers the direct and indirect casual relationship among multiple variabl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are selected for the learning outcome related variables and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are selected for learning outcome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ausal model that explains the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achievement, persistence) focused 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in cyber university.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casual relationship among multiple variables and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2.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have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3.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ave direct effect on persistence? 4.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5.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6.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achievement as a mediator? 7. Do the satisf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achievement as a mediator? For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the learners who enrolled at ‘W cyber university’ in first semester of 2009. Instrument for measur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the first survey, the learners’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were ask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t the end of the course,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such a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were asked in the second survey. A total of 538 learners respon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but 48 respondents who were unreliable were excluded. Finally 538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scale. Also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internal locus of control (β=.206), interaction (β=.621) have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Learners with a strong internal locus of control tend to be highly motivated, and feel more satisfaction than external locus of control. Also, satisfaction is affected by activity interaction. Second, interaction (β=.191) has effect on achievement. As teacher can hardly control the learner directly in cyber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interaction among teacher, learner and content. For successful cyber education, it is need to systematic strategy about interaction. Third, learners’internal locus of control (β=.117) and satisfaction (β=.667) have direct effect on persistence. For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highly satisfaction, it is need to not only learners’effort but also support of university. Teacher should encourage learners with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help learners solve their problems related dropout. Fourth, learners’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For the high persistence rat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atisfaction as well a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outcome are variety. Instead of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learners’ characteristics, goal orient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support of institution could be affected learning outcome. Therefore, it is need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 Second, instead of the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as the learning outcome factors, various learning outcome factors, such as learning attitude, flow and commitment could be used to explain the effectiveness of cyber education. Learning outcome in cyber environment is a complex phenomenon influenced by a multitude of variabl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veal the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ous factors. These researches will contribute to build a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6 1. 내적통제소재 = 6 2. 상호작용 = 6 3. 만족도 = 7 4. 성취도 = 7 5. 학습지속의향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사이버교육과 사이버대학 = 9 1. 사이버교육의 개념 = 9 2. 사이버대학의 개념 및 특성 = 10 B.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 = 11 1. 만족도 = 12 2. 성취도 = 13 3. 학습지속의향 = 14 C. 학습성과 영향변수 = 17 1. 내적통제소재 = 18 2. 상호작용 = 19 D. 관련 선행연구 = 21 1. 내적통제소재와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 21 2.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 23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절차 = 28 1. 선행연구 분석 및 측정도구 선정 = 28 2. 설문조사 실시 = 29 3. 결과분석 = 30 C. 연구모형과 가설 = 31 D. 측정도구 = 34 1. 내적통제소재 = 34 2. 상호작용 = 36 3. 만족도 = 37 4. 성취도 = 38 5. 학습지속의향 = 38 E. 자료의 분석방법 = 40 Ⅳ. 연구결과 = 43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 43 1. 측정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결과 = 43 2. 측정변수들의 상관분석 결과 = 45 B. 측정모형의 검증 = 46 C. 구조모형의 검증 = 50 Ⅴ. 결론 및 제언 = 58 A. 결론 및 논의 = 58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66 참고문헌 = 68 부록 = 77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35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dc.creator.othernameShim, Woo Jin-
dc.format.pageⅹ,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