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박효진-
dc.creator박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61-
dc.description.abstract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reates a web-based learning that learner-centered space without constrains of time and space,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is recently started to receive a support from the field. Because the cooperative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small group activity, an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s required. A social network analysis is to identify a specific set of linkages among a defined set of persons. Centrality indicators, derived through the SNA, are employ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s. The motivation variables are known to have a large effect on interaction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In particular, depending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teractions and the amounts of time and effort for learning will vary. However, many research focused on two or three factors of goal orientation, and individual achievement situation on face to face. This study will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among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tera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and provide advices for developing a successful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such study objectives, detailed study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learner's achievement orientations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the interaction centrality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d achievement correlate to each other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2. Does the interaction centrality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mediate a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achievement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2-1. Does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redict the in-degree centrality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2-2. Does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redict the out-degree centrality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2-3. Does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redict the betweenness centrality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2-4. Does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redict the achievement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2-5. Does the interaction centrality predict the achievement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For this purpose, seventy one learners who took an online course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participated in both reports and questionnaire. The tool that were used in conducting the experiment are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st, interaction analysis tools (social network analysis), and achievement evaluation tools.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t has proved that correlation exists among mastery-approac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Howev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ub-variable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with sub-variables of the interaction centrality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Second, before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action centrality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chievement, the researcher conduct multiple regressions to find 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sub-variab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β=.235, p<.05), however, it does not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sub-variables of the interaction centrality, acts 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β=.389). Based on these result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is conducted to identify that the interaction centra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achievement. As a result, the interaction centrality does not mediate learner's goal orientation and achievement. These results can imply that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teraction influence positively on achievemen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instructor develops environments to help learners to master their works, and to have an interest on developing their ability, and promotes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ctively. Several research issues that are deserved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are suggested: First,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female learners. However, according to recent studies, the gender has an effect on qualitative level of interac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re should be a profound study on mixed-gender groups or a variety of learning situations rather tha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econd, in this study,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selected as a motivation variable that can have an impact on the learners' interaction and achievement. However, there are various motivation factors that affect learners' interaction and achievement; there should be a follow-up study. Third, this study cannot conduct qualitative analysis on learner's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analysis like message act analysis or message flow analysis. Finally,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using a self-reported survey. It is possible that measured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self-reported test may has been exaggerated or reduced than the actual statistics. It will be desirable to employ various evaluating methods including the qualitative approach in the authentic environment.;웹기반 협동학습(web-based cooperative learning)은 시간적·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학습자들이 웹 내에서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학습방법으로(강명희, 김민정, 이수지, 김혜선, 2008), 웹을 통해 다양한 참조 매체를 활용한 학습이 가능하여 협동학습의 성과 및 생산성의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가민경, 김봉현, 김승연, 2006). 협동학습은 소집단 활동의 결과로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며, 학습자간에 자료와 의견의 공유가 자율적, 능동적으로 이루어질 때 학습이 가능하다(김시라, 서순식, 2006; 임정훈, 1999). 최근에는 상호작용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회연결망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협동학습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사회연결망 분석은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관계를 네트워크 구조로 분석하는 계량적인 분석 기법으로(정남호, 2005; 조일현, 2008), SNA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중심성(centrality) 지표를 통해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형태를 파악해볼 수 있다. 상호작용중심성은 한 학습자가 전체 네트워크에서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상호작용중심성이 높을수록 지식 생산성이 높고, 토론의 성과 및 만족도가 높으며, 성취도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경, 2007; 조일현, 2002; Papa & Tracy, 1988). 상호작용 변인은 웹기반 협동학습 과정에서 창출되는 것으로, 웹기반 협동학습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그 중 동기 변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mes & Archer, 1988; Bandura, 1977; Smiley & Dweck, 1994). 특히 동기 변인 중 하나인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동기 중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고 참여하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Weiner, 1992),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절대적이냐, 상대적이냐에 따라 숙달목표와 수행목표로 구분할 수 있으며, 능력에 대한 가치평가가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에 따라 접근과 회피로 나눌 수 있다. 학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목적은 학습자의 상호작용 행태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강태완, 장해순, 2003), 참여 목적에 따라 학습에 투입하는 노력과 시간의 양이 달라질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Elliot & Dweck, 2005). 특히 웹기반 학습 환경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학습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학습을 하겠다는 학습자의 동기가 부재한다면 학습 참여가 저조할 수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그러나 학습자 성취목표지향성 연구는 지금까지 2요인 구조(숙달목표, 수행목표)와 3요인 구조(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자신의 지식이나 기술을 잃지 않으려는 학습자의 성취목표(숙달회피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제기된다. 또한 면대면 개별 성취 상황에서의 성취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이 많아, 선행연구결과를 웹기반 협동학습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성취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중심성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x2 성취목표지향성 모델을 도입하여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중심성 및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성공적인 웹기반 협동학습을 위한 학습 환경 조성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상호작용중심성(내향연결중심성, 외향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가? 둘째,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상호작용중심성(내향연결중심성, 외향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2009학년도 1학기에 서울 소재 A 대학교에서 전공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 79명 중 과제제출 및 설문지 응답에 모두 참여한 7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웹기반 협동학습 환경, 성취목표지향성 검사지, 상호작용중심성 분석도구(사회연결망 분석), 산출물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중심성의 매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규명하였다. 연구문제에 의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취도 변인과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 중 숙달접근목표, 상호작용중심성 중 내향연결중심성, 그리고 외향연결중심성 변인이 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취목표지향성 하위 변인과 상호작용중심성 하위 변인 간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상호작용중심성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기에 앞서, 각 변인들 간의 예측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접근목표는 상호작용중심성(내향연결중심성, 외향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을 예측하지는 못하지만, 성취도 변인을 β=.235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중심성 중 외향연결중심성 역시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β=.389, p<.05).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작용중심성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중심성의 매개효과는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비록 상호작용중심성의 매개효과는 성립하지 않았지만, 성취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중심성은 웹기반 협동학습에서의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웹기반 협동학습을 진행하는 교수자는 학습자가 학습을 수행하는 이유, 또는 성취감 또는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성취도를 이룰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비동시적으로 분산되어 존재하는 학습자들이 지속적으로 서로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만남의 기회를 많이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성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기존 연구에 의하면 성별은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성취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김선자 외, 2007; Elliot & Harackiewicz, 1996). 따라서 향후 연구 참여자 집단을 혼성집단으로 구성해보거나, 웹기반 협동학습 상황이 아닌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상호작용 및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기 변인으로 성취목표지향성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성취목표지향성 외에도 학습자 상호작용 및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동기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학습자 상호작용중심성은 정량화된 상호작용으로, 상호작용의 내용과 질에 대한 분석이 시도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메시지 행동 분석(message act analysis)과 메시지 흐름 분석(message flow analysis) 등과 같은 분석방법을 통한 학습자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인 접근의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변인 간 관계를 도출하였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는 주관적인 변수 측정 방법이라는 점, 그리고 학습자의 인식에 의한 변수 측정으로 인해 변수들 간의 관계가 실제보다 과장 혹은 축소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해 연구 결과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1. 웹기반 협동학습 = 6 2. 성취목표지향성 = 7 3. 상호작용중심성 = 7 4. 성취도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웹기반 협동학습 = 9 1. 협동학습의 정의 및 특성 = 9 2. 웹기반 협동학습의 정의 및 효과성 = 12 B. 성취목표지향성 = 15 1. 2원 구조 = 16 2. 3원 구조 = 18 3. 2x2 구조 = 20 C. 상호작용중심성 = 24 1. 웹기반 협동학습에서의 상호작용 = 24 2. 분석 방법 = 26 D. 관련 선행연구 = 31 1. 성취목표지향성이 상호작용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 31 2. 성취목표지향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32 3. 상호작용중심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36 Ⅲ. 연구방법 = 40 A. 연구대상 = 40 B. 연구도구 = 40 1. 웹기반 협동학습 = 40 2. 2x2 성취목표지향성 측정도구 = 42 3. 상호작용중심성 측정도구 = 44 4. 성취도 측정도구 = 45 C. 연구절차 = 46 D. 자료 분석 방법 = 47 Ⅳ. 연구결과 = 50 A. 성취목표지향성, 상호작용중심성,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 51 B. 상호작용중심성의 매개효과 분석 = 54 1. 성취목표지향성이 상호작용 내향연결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 54 2. 성취목표지향성이 상호작용 외향연결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 55 3. 성취목표지향성이 상호작용 매개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 55 4. 성취목표지향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56 5. 상호작용중심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57 6. 상호작용중심성의 매개효과 검증 = 58 Ⅴ. 결론 및 제언 = 61 A. 결론 및 논의 = 61 1. 성취목표지향성, 상호작용중심성,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 61 2. 상호작용중심성의 매개효과 검증 = 62 B. 제한점 및 제언 = 66 참고문헌 = 68 부록 = 78 부록 1 2x2 성취목표지향성 측정도구 = 79 부록 2 팀 성취도 평가 준거 = 81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11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 성취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중심성, 성취도의 관계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Goal Orientations, Intera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dc.creator.othernamePark, HyoJin-
dc.format.pageⅹ,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