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김미영-
dc.creator김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52-
dc.description.abstract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디지털 지식기반 사회가 도래하면서 이러닝은 교육의 전 부문에서 실행되며 양적으로 급속하게 팽창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닝이 가지는 다양한 가능성과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이러닝을 양적으로팽창시키는 데에만 몰두하였을 뿐, 질적인 성장이 미비하다는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러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최근 정보통신 분야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참여, 공유, 개방으로서의 웹2.0’이 지향하는 테크놀로지의 활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2.0의 패러다임을 이러닝 설계에 적용시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학습자들이 느끼고 깨달은 바를 실제로 실천 해보고 다른 학습자들과 의사를 직접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웹 2.0 환경에 맞는 설계를 위해 이러닝 콘텐츠를 기획하고 설계하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은 종전에 비해 한 단계 진보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가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실제 이러닝교수설계자들의 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하기에 부족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국내 이러닝 교수설계자들이 인식하는 웹 2.0 환경에 대한 역량 준비도와 중요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검토를 통해 웹 2.0 시대에 이러닝 교수설계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고 29명의 교육공학 전문가로부터 역량의 중요도를 검증한 후, 30인의 현직 이러닝 교수설계자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여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포 및 회수 방법은 e-mail을 사용하였으며, 총 12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총 117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와 역량중요도의 인식 차이에 대한 자료 분석 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웹 2.0 시대에 이러닝 교수설계자에 게 요구되는 역량은 기존 웹 1.0 시대의 역량을 수정 보완 하여, 7개의 새로운 역량이 추가되어, 총 30개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웹 2.0 시대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역량은 첫째, 전공기초영역에서 웹 2.0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 교수설계자 스스로 지식 연계와 지식 공유를 위해 실천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둘째,계획 및 분석 영역에서 웹 2.0 기반 도구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최적의 도구(blog, wiki 등)를 선택할 수 있는 역량, 콘텐츠에 대한 평가와 공유에 관한 내부 규칙을 정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설계 및 개발영역에서 웹 1.0과 다른 웹 2.0의 환경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과 Authentic task를 설계하고 웹 2.0 환경에 맞는 차별화된 평가방법을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넷째, 활용 및 관리 영역에서는 내용전문가, 학습자, 교수자간 원활한 상호 작용을 유도하고 협력 및 파트너십을 구축하도록 관리할 수 있는 역량과 전체 프로젝트가 오류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모니터하여 웹 2.0 플랫폼이 가능한 교수관리 환경 설계를 통해 지식창출을 지원할수 있는 역량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웹 2.0 환경에서 필요한 역량에 대한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역량중요도와 역량준비도 간의 인식차이를 비교해 보면, 30개의 문항 중 29개의 문항에서 역량중요도에 비해 역량을 준비하는 현재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여 중요도에 대해 높다고 인식하는 반면 준비도가 부족한 역량으로 집중적으로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는 역량을 분석한 결과 전공기초 영역의 ‘교수 설계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지속적으로 연마한다.’, ‘설계 및 업무환경에서의 윤리적, 법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다.’와 계획 및 분석 영역의 ‘요구분석을 실시한다.’ 그리고 설계 및 개발 영역의 ‘개발된 프로그램(또는 교수설계 방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학습의 실제성 향상을 위해 창의적이며 현실적인 문제를 고안한다.’와 활용 및 관리 영역의 ‘내용전문가 및 학습자가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지원한다.’, ‘내용전문가, 교수자, 학습자가 협력적으로 지식을 창출하도록 지원한다.’, ‘시스템의 오류가 생겼을 때 적절하고 신속한 해결책을 찾아낸다.’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역량은 매우 시급하게 훈련과 교육을 통해 향상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양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이러닝 교수설계자와의 인터뷰와 같은 질적인 접근을 통해 좀 더 현실적인 업무 환경을 반영한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실태를 기반으로후속연구에서는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과 전략을 경력별, 직무별, 전공자/비전공자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상황과 수준에 맞는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을것이다. 셋째,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이러닝 교수설계자를 위한 전자수행지원체제(EPSS: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의 개발을 후속연구로 제안한다. 전자수행지원체제의 개발은 웹 2.0 패러다임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 도구, 학습경험을 적시에 제공하여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업무를 지원해 줄 수 있으며,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집단지성을 실현하고 결과적으로 이러닝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As coming the society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by internet's development, e-learning is tending to be done all fields of education and its quantity is rapidly growing. But in spite of various possibilities and educational values e-learning have, we faced to the limitation that qualitative growth is incomplete with just concentrating on expanding e-learning quantitatively. One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of e-learning is application of technology intended by 'web 2.0 as participation, share, opening' received the biggest attention in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field. Concretely, by adapting the paradigm of web 2.0 to e-learning planning, it needed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learner and learner/learner was possible, learner actually practiced the thing he felt and realized and learner can exchange his mind with other learners directly. For e-learning planning matched this web 2.0 environment, the competency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ho plays core roles including planning and designing of e-learning contents is needed to be upgraded by one step from the previous.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analyzed which additional competency is essential for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to perform the work successfully in web 2.0 environment, grasped the competency level of actual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alyzed which competency is insufficient to adapt new environment and apply it strategically and intended to utilize as basic materials of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ing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ich competency does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must to have in web 2.0 environment?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y preparative degrees and competency important degrees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in web 2.0 environment? The Results and discussion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y requested to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of web 2.0 period through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expert investigation modified/complemented the existed competency of web 1.0 period, were added 7 new competencies and were drew total 30 competencies. Concretely, the competencies needed to web 2.0 period additionally are, firstly, analyzed that it was necessary the competency which can be adapted to actual works by understanding web 2.0's notion and characteristics in major's basic field and the competency that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an participate in practical community for knowledge's connection and knowledge's joint ownership. Secondly, it was analyzed that the competency who can grasp strong/weak points of tools based on web 2.0 and select the fittest tools(blog, wiki, etc.) in the plan and analysis sphere and the competency which can decide inner rules about evaluation and joint ownership for contents were necessary. Thirdly, in the plan and development sphere, it was analyzed the competency which can analyze web 2.0 environment different from web 1.0's and the competency which can plan Authentic task and plan differentiated evaluating method matched to web 2.0 environment were necessary. Forth, in the application and management sphere, it was analyzed the competency which induce harmonious interaction among contents expert, learner and instructor and can manage for building cooperation and partnership and the competency which can support knowledge production through the instructor managing environmental planning which is possible web 2.0 platform by monitoring for whole project's progressing without any error were additionally necessary. Second, the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y preparative degrees for the competencies necessary in web 2.0 environment was evaluated to be have excellent standard in general but it was appeared that recent standard which prepares competency was lower than competency important levels in 29 questions among 30 questions if compared recognitive difference between competency important levels and competency preparative levels, so this competency will need to be improved by the training. Finally, I intend to offer the proposal through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in web 2.0 environment drawn by this research, for complement the necessary competency to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the succeeding research have to be studied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y by not only quantitative access but also qualitative access such as the interview with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under the web 2.0 environment reflected more actual working circumstances of domestic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Second, based on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y situation drawn by this research, the superior educational programs matched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situation and level have to be provided variously by departmentalizing concrete methods and strategies which can be improving competency by each career, each job, each major/each non-major, etc. in succeeding research. Third, as one method for improving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y in web 2.0 environment, I suggest to develop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for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I expect that this can provide timely knowledge, technology, tools and studying experiences needed for application of web 2.0 paradigms, support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orking, actualize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group intellect and consequently, draw e-learning's overall qualitative impro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웹 2.0 테크놀로지 = 8 1. 웹 2.0의 등장 배경 = 8 2. 웹 2.0의 개념과 의의 = 10 3. 웹 2.0의 특징 = 11 B. 웹 2.0 환경에서의 이러닝 = 13 1. 이러닝의 개념 및 특성 = 13 2. 웹 2.0 환경에서의 이러닝 = 17 C. 웹 2.0 환경에서의 이러닝 교수설계자 = 19 1. 웹 2.0 환경에서의 이러닝 교수설계자 = 19 2. 웹 2.0 시대에 요구되는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 = 22 가. 전공기초 영역 = 26 나. 계획 및 분석 영역 = 28 다. 설계 및 개발 영역 = 30 라. 활용 및 관리 영역 = 3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8 A. 연구 대상 = 38 1. 교육공학 전문가 = 38 2. 이러닝 교수설계자 = 39 B. 연구 절차 = 41 1.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에게 필요한 역량 도출 = 41 2. 교육공학 전문가 역량중요도 인식 조사 = 41 3.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와 역량중요도 조사 = 42 C. 연구 도구 = 42 1. 설문지 구성 = 42 2. 설문지 검증 = 44 가. 타당도 검증 = 44 나. 신뢰도 검증 = 44 D. 자료 분석 방법 = 45 1. 웹 2.0 환경에서 갖추어야 할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 분석 = 45 2.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와 역량 중요도 간의 차이 = 45 Ⅳ. 연구 결과 = 46 A. 웹 2.0 환경에서 이러닝 교수설계자에게 필요한 역량 = 46 B. 교육공학 전문가의 역량중요도 = 48 1. 교육공학 전문가의 역량중요도 분석 결과 = 48 2. 추가 또는 삭제되어야 할 역량 = 50 C.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와 역량중요도 = 51 1.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 분석 결과 = 51 2.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중요도 분석 결과 = 54 3.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와 역량중요도의 차이 = 57 D.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역량 중요도와 준비도의 차이 분석 = 60 Ⅴ. 결론 및 제언 = 65 A. 결론 및 논의 = 65 1. 웹 2.0 시대에 새롭게 정의한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 = 65 2. 웹 2.0 시대에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준비도와 역량중요도 = 67 B.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69 참고문헌 = 71 부록 = 75 부록 1 교육공학 전문가 대상 설문지 = 76 부록 2 이러닝 교수설계자 대상 설문지 = 78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28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 2.0 환경에서 국내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Kim, Mi-Young-
dc.format.pageⅸ,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