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준성-
dc.contributor.author이지희-
dc.creator이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8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886-
dc.description.abstract건축프로젝트의 BIM 도입은 국내외 건설산업 전반에 기존의 업무방식 및 관리체계 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구는 건설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 해당하는 건축설계분야에 더욱 집중되고 있으며, 최근 조달청의 공공프로젝트 BIM 발주 확대에 대한 방침에 따라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 질 전망이다. 이처럼, BIM의 도입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설계조직의 내부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시작으로 국내 건축설계조직의 내부역량 강화를 위한 BIM 수행능력진단모델을 구축하였다. BIM 수행능력진단모델은 조직의 내부평가를 목적으로 개발된 평가체계로, 조직이 BIM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내부역량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전략을 수립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BIM 수행능력진단모델 개발을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국내외 BIM 동향 분석을 통한 국내 건설산업의 BIM 시장 위치 파악과 BIM 기술 도입이 건축설계조직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시장에서 BIM은 도입 초기단계있다고 볼 수 있으며, BIM 관련 프로젝트 수행 시 협업 및 관리비용의 부담, 기술력 부족, 변화된 업무방식에서 작업의 어려움과 같은 요인들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의 역량/ 성숙도/ 경쟁력 등의 평가모델을 본 연구의 수행능력진단평가와 유사한 개념으로 정의하여 이론적 고찰을 실시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 수행능력진단 방법론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조직의 BIM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진단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가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진단체계를 확보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BIM 수행능력진단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위한 첫 단계로 먼저 BIM 수행능력진단항목 도출을 위한 조직평가모델 및 BIM 요구항목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평가하는 기업정보화수준평가모델과 소프트웨어 개발조직의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그리고 조달청의 기술영역 PQ심사 조건을 분석함으로써 조직 평가 시 기준으로 하는 요인들을 검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진단항목이 도출되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BIM 관련 지침 및 문헌고찰을 통해 BIM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조직이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BIM 요구사항과 관련한 진단항목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조직평가 실증모델의 평가지표 분석 및 BIM 요구사항분석을 통해 BIM 수행능력 진단항목을 도출하기 위한 사전 검토를 마친 후, 검토 과정에서 도출된 항목들을 토대로 BIM 수행능력 진단항목을 구성하였다. 평가영역, 세부영역, 평가항목의 3단계 평가체계를 갖춘 BIM 수행능력진단체계는 설계조직의 성공적인 BIM 수행을 위한 영역별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었다. 또한, 17인의 설계 BIM 관련 실무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진단항목의 적합성 검증과 AHP 중요도 분석과정을 통해 영역별 우선순위를 갖춘 총 32가지 평가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BIM 수행능력진단모델이 구축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물인 BIM 수행능력진단모델의 적용성을 검증받고, 국내 건축설계조직의 BIM수행능력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국내외 건축설계사무소 5곳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국내 및 국외 설계사의 BIM 수행능력 수준은 다소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의 경우 BIM을 수행하고 있는 조직 간에도 역량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IM 수행유무로 조직의 BIM 수행능력 수준을 판단하기 보다는 조직 내부의 역량 축적 정도와 조직원의 인식정도가 장기적인 관점의 BIM 수행능력 확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즉, 조직 내부적으로 충분한 역량을 확보하지 못한 채 산업의 요구에 의해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소극적 방식이 아닌, 조직 내부의 적극적인 변화의 움직임과 역량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introduction of Builiding Information Modeling in construction industry requires various changes through the design organizations. The BIM is not optional but essential, therefore design firms have to force there internal capacities for successful performing of BIM. Beginning of realizing the problem, this study developed BIM Capability Evaluation Model to strength internal abilities of design organizations. BIM Capability Evaluation Model is for self diagnosis and aims at supporting setting up BIM strategies based on results of the Evaluation.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internal and external BIM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Also, by reviewing capability evaluation methodologies such as maturity model and capacity model, the form of BIM capability Evaluation Model was prepared. The BIM Capability Evaluation Model is composed of 3 level evaluation structures and 32 items. Finally to verify the Model and diagnose internal design firms' BIM capability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The target was internal and external design firms, and through the result it was revealed there are some gap between internal firms and external firms. Also, regardless of the fact whether the firms implement BIM or not the capabilities of BIM was not influenced. That means organization's accumulated internal capacities and member's cognitions are much more impact on BIM abili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internal capacities rather than take passive responds to external factors. By using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setting up BIM strategies and improvement of design organizations' capabilities. Furthermore, continuous development and investment on BIM like this study would be positive impact on architectural design indust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II. BIM 수행능력진단 방법론 고찰 6 A. BIM의 개념 및 정의 6 B. 국내외 BIM 도입현황 8 1. 국외 동향 8 2. 국내 동향 10 C. 건축설계조직의 특성 고찰 15 1. 건축설계조직의 특성 15 2. BIM 기술도입에 따른 건축설계조직의 변화 17 D. 수행능력진단 방법론 관련연구 고찰 19 III. BIM 수행능력 진단항목 검토 22 A. 조직평가모델 분석 22 1. 분석의 개요 22 2. 조직 평가사례의 평가항목 분석 24 3. 분석의 종합 35 B. BIM 요구사항 분석 37 1. 분석의 개요 37 2. BIM 관련 지침 및 연구 분석 38 3. 분석의 종합 44 IV. BIM 수행능력진단모델 개발 46 A. 진단모델 개발의 개요 46 B. BIM 수행능력 진단항목 47 1. 진단항목 도출 47 2. 진단항목 구성 및 정의 50 C. BIM 수행능력 진단항목의 검증 52 D. AHP 중요도 산정 57 E. BIM 수행능력 진단모델 63 V. 사례 분석 : 국내 건축설계조직의 BIM 수행능력진단 64 A. 사례분석의 개요 64 1. 진단 방식 및 대상의 선정 64 2. 설문조사 개요 65 B. 진단결과 분석 64 1. 신뢰도 분석 67 2. 기술영역 진단결과 분석 68 3. 관리영역 진단결과 분석 71 4. 기술수준 차이 분석 74 C. 분석의 종합 76 VI. 결론 및 제언 78 A. 연구의 결론 78 B. 제언 80 참고문헌 81 부록 I. 평가항목 검증 및 AHP 분석 설문지 84 부록 II. BIM 수행능력 평가 설문지 96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0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내 건축설계조직의 BIM 수행능력 진단모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for BIM Capability Evaluation Model for Design Organization-
dc.creator.othernameLee, Jee Hee-
dc.format.pagex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