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교사 피드백 유형과 수정활동 유무가 중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 피드백 유형과 수정활동 유무가 중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Teacher Feedback and Revision Requirement on the Accuracy and Fluency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nd Their Language Learning Attitude
Authors
김광숙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이며, 이는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도 나타나 있다.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듣기와 말하기 기능 뿐 아니라, 읽기와 쓰기 기능에 대한 학습이 모두 필요하다. 그러나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이 듣기와 읽기 위주인 것을 비롯해 우리나라 중등 영어 교육은 쓰기 교육에 소홀한 것이 현실이고 또한 쓰기의 학습이나 지도는 다른 기능의 학습이나 지도에 비해 어렵게 여겨지고 있다. 특히 쓰기 지도의 경우 학생들의 쓰기 활동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쓰기 과업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과 그 이후의 수정활동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실 상황에서는 시간 등의 이유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쓰기에 대한 교사 피드백의 효과와 수정활동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쓰기에서의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에 대한 연구들은 이미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우리나라 중등학교 현실을 바탕으로 한 쓰기 교육에서의 피드백과 수정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우리나라는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사용하는 EFL 상황이며, 또한 학생들은 정확성을 요구하는 시험을 치러야 하고 의사소통을 위한 유창성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의 유형 중에서 직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 간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과, 내용 피드백의 효과에 대해서 통제 그룹을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직접적, 간접적 두 가지 유형의 오류 교정 피드백에 대해서는 수정활동의 유무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피드백의 유형과 수정활동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 쓰기에서의 정확성과 유창성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살펴보았고, 또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태도의 정의적 영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하여 10회에 걸쳐 학생들의 쓰기활동에 대한 각 실험 유형의 피드백 및 수정활동을 제공하였고, 그 과정은 1주일에 1회씩 진행되었다. 실험을 위한 학생들의 쓰기 활동은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한 일기 쓰기와 소개글 쓰기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능력의 정확성의 영역에 있어서는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서 쓰기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드백의 유형 중 직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이 정확성의 향상에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아무런 피드백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에 대해서 유의미한 집단 간 효과의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직접 오류를 지적해 주고 수정해 주는 피드백이 쓰기 능력에서의 정확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인데, 오류 교정 피드백에 대한 많은 논란들에 대해서 EFL 상황인 우리나라 중학생들에게는 직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이 쓰기의 정확성 능력 향상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집단 내 실험 전과 후의 평가 점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아무런 피드백을 받지 않고 매주 글을 쓰기만 한 통제 집단의 경우에는 오히려 정확성의 능력이 실험 이후에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영어 쓰기 학습에서 직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의 필요성을 더욱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쓰기 능력의 유창성 영역에 있어서는 피드백의 유형에 따른 영향이 없다는 결론이다. 실험 후 네 집단 모두 유창성에 있어서는 사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향상된 점수를 보였으며 그에 따른 유의미한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는 규칙적인 글쓰기 활동 자체가 쓰기 능력의 유창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점에서는 피드백의 유형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접적 오류 교정과 간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경우는 실험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로 유창성 영역에서의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학생들이 오류 교정을 받음으로써 글을 쓰는 양이 조금은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설문 결과에서 학생들의 영어 쓰기에서의 가장 어려운 점은 문법, 단어 등이라 했음을 고려했을 때, 오류 교정 피드백을 받은 경우 학생들이 글쓰기의 어려운 점을 극복해서 글의 양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유창성의 유의미한 향상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오류 교정 피드백의 유형에 대한 수정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정확성 영역과 유창성 영역에서 모두 오류 교정 피드백에 대한 수정활동의 효과에 대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확성의 영역에서 직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을 받고 수정활동을 한 집단의 경우에는 실험 전에 비해서 실험 후의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 유창성에 대한 실험 결과로써 집단 내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차이 분석에서, 간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을 받은 수정활동 통제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로 유창성의 향상을 보였다는 점에서 수정활동과는 상관없이 규칙적인 글쓰기 활동 자체가 쓰기 능력에서 유창성의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피드백의 유형과 수정활동에 따른 학습자들의 정의적 반응을 살펴본 결과, 내용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경우에는 쓰기 학습의 자신감과 태도에 있어서 실험 후에 유의미한 차이로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모든 집단에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간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경우에는 비록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더라도 영어 쓰기에서의 자신감을 오히려 상실하고, 학습 동기도 없어지게 되었음이 나타나 영어 쓰기 학습에 부정적이 영향을 끼쳤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 중등 영어 교육의 쓰기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피드백의 유형과 수정활동의 영향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교실 환경에서 중학생의 경우에는 정확성의 향상을 위한 직접적 오류 교정 피드백을 꾸준히 제공하고 그 이후 수정활동을 꾸준히 실시한다면 유창성의 향상도 함께 이룰 수 있으며, 또한 내용 피드백을 함께 제공한다면 학생들이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고 자신감을 가지게 되어 영어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t is also emphasized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students should have a chance to develop both accuracy and fluency in the interrelated four skills of English which ar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However, most English classes in Korea do not provide enough chances to practice writing for the reason of time, and teaching writing is usually regarded as difficult process. Even Korean CSAT does not have any English writing section. As a result, teaching writing needs to be paid more attention in the English class in Korea. Recent research shows that teacher feedback on students' writing and their revis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writing less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teacher writtenfeedback and revision requirement on the accuracy and fluency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nd their language learning attitude.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teacher feedback and revision, it is still not conclusive about which options are the best, and few research have found the effective types of teacher feedback and the efficacy of revision in the EFL situation such as Korean secondary school. This study use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ata to show the result. First, it examines the change in the accuracy and fluency of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with different types of teacher feedback (direct corrective feedback,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content feedback, and no feedback). Second, it further examines the effect of revision requirement with two kinds of corrective feedback (direct corrective feedback and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Finally it shows the change of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English learning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97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second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all wrote a narrative or a descriptive writing once a week for 10 weeks. During the period, the feedback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ceived the each kind of feedback every week, and the revision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required to revise their writing, correcting all the errors marked by the resear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curacy of four different types of feedback group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accuracy improvement of direct corrective feedback group was superior to no feedback group. So the direct corrective feedback with which teachers provide the correct form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in the accuracy. Considering the argument for and against the error corrective feedback, the direct corrective feedback is needed to improve accuracy for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The result of comparing pre-test and post-test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all improved the accuracy, and the accuracy change of the direct corrective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ith no feedback shows the reduction of the accura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in fluency among the four different feedback groups. All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improvement of the fluency on the post test regardless of feedback type. This explains that feedback itself does not have influence on the fluency change, and instead, fluency can be improved by the regular writing practice. However, the result of comparing pre-test and post-test shows that the direct corrective feedback and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fluency on the post-test. The fact that fluency was improved by error correction is concerned with that students have grammatical and lexical problem in writing. In answering the questionnaire, students appealed for the grammatical and lexical difficulty in writing. As a result, students who received corrective feedback seem to overcome the problem in their writing, and be able to increase the fluency. Third, the result of the stud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revision requirement with two kinds of corrective feedback (direct corrective feedback and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accuracy and fluency. According to the result, accuracy increased significantly only for the revision group with direct corrective feedback, but fluency increased for the control group with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on the post test. It was successful to reduce errors by required revision with direct corrective feedback, but revision with corrective feedback is nothing to do with the fluency improvement. Finally, students prefer direct corrective feedback because it is the easiest way for them to correct errors. With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they can hardly correct errors, and they lose confidence and motivation in writing. Consequently,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has negative effect on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received content feedback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fidence and motivation in writing, enjoyed their writing, and formed positive attitude.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s that direct corrective feedback, and required revision should be provided on the basis of regular writing practice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the fluenc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in Korea. Moreover, providing content feedback additionally would have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and confidence in writing, and it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