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전해옥-
dc.creator전해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혈압 대상자의 비만관리를 위해 식이와 운동에 대해 인터넷에 기반하여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체중조절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식습관, 신체활동 및 비만관련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보건소에서 정기적으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고혈압 대상자 중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과체중과 비만에 해당하는 30세 이상 성인으로, 실험군 23명, 대조군 20명으로 총 43명이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0년 1월부터 4월까지 12주간 시행되었으며, 실험군에게는 비만관리를 위한 코칭프로그램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비만관리를 위한 주제별 교육, 식이, 운동, 행동수정에 관한 개별코칭, 인터넷 커뮤니티 제공과 전화 상담이 포함되었다. 자료 수집은 실험 전, 실험 6주 후, 실험 12주 후에 시행되었으며, 체중조절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식습관, 신체활동은 설문지 조사를 통해, 비만관련 생리적 지표인 신체구성은 체성분검사, 혈중지질은 혈액검사, 혈압은 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 변수에 있어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실험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차이 비교는 Mann-Whitney U-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변화를 살펴보면, 체중조절 관련 지식, 식이효능감, 운동효능감, 식습관은 실험 6주 후와 12주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신체활동은 실험 6주 후에는 유의하게 높아졌으나, 12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구성 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는 실험 6주 후와 12주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제지방률은 실험 6주 후와 12주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복부지방률은 12주 후에만 유의하게 낮아졌다. 혈중지질 중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실험 12주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실험 12주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실험 6주 후와 12주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다. 2. 대조군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변화를 살펴보면, 체중조절 관련 지식, 식이효능감, 운동효능감, 신체활동은 실험 6주 후와 12주 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습관은 실험 6주 후와 12주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신체구성 중 체질량지수는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체지방률과 복부지방률은 실험 6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제지방률은 유의하게 감소된 결과를 보였다. 혈중지질에 있어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실험 6주후와 12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압은 이완기 혈압만 12주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간경과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차이를 살펴보면, 체중조절 관련 지식, 식습관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 6주 후와 실험 12주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식이효능감, 운동효능감은 실험 12주후에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신체활동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 6주 후에는 향상되었으나, 실험 12주 후에는 실험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구성에서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 6주 후와 12주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고, 제지방률은 유의하게 높아졌다. 혈중지질 중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실험 6주 후와 12주 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 12주 후에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 6주 후와 실험 12주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으나 이완기혈압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인터넷 기반 코칭프로그램은 고혈압 대상자의 체중조절 관련 지식을 높이고, 식이효능감과 운동효능감을 높임으로써 식습관과 신체활동 향상에 기여하고, 비만관련 생리적 지표의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고혈압 대상자의 비만 관리를 위한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비만관리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주요 위험요인 관리를 위해서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고혈압뿐만 아니라 비만의 영향을 받는 다른 만성질환의 관리에도 적용하여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심혈관계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ernet based coaching program for obesity management on weight control 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obesity related physiological indexes in hypertensive patients. The study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43 subjects were overweight or obese hypertensive patients aged 30 or older, who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n=23) and control group(n=20). The internet based coaching program lasting 12weeks consisted of an education according to subjects, internet based individual coaching for weight control diet(traffic-light diet, DASH diet), exercise(aerobic exercises, walk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offering internet community and health counse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8 to April 22, 2010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the treatment, after 6weeks, and after 12week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nd changes in weight control 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obesity related physiological indexes leve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isher' exact, Mann-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WIN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eight control related knowledge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6weeks and 12weeks later.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ncreases in weight control related knowledg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6weeks and 12weeks later. 2. Both eating self efficacy and exercise self efficacy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s 6weeks and 12weeks later.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ncreases in self efficacy than control group at 12weeks later. 3. Eating habi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6weeks and 12weeks later.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ncreases in eating habit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6weeks and 12weeks later. 4. Physical activity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6weeks lat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at 12weeks later.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ncreases in physical activity after 6week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5. Among obesity related physiological indexes, for body composition including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and percent fat-fre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6weeks and 12weeks later. But waist-hip ratio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12weeks later. In comparison of the mean between the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percent fat-free, waist-hip ratio after 6weeks and 12week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r serum lipids profiles, th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LDL-C) and triglycerid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12weeks later but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and triglyceride after 6weeks and 12week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high density lipoprotein(HDL-C)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12weeks later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decreases in HDL-C after 12week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6. For blood pressure, systolic blood pressure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6weeks and 12weeks later.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decreas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after 6weeks and 12week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Diastolic blood pressure,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6weeks and 12weeks later. But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difference after 6weeks and 12week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the internet based coach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weight control related knowledge, self efficacy,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obesity related physiological indexes for obese hypertensive patients. The obesity management is an important nursing intervention for chronic disease and this interventions play a leading role in maintaining wellness in obese chronic disease patients. Particularly, the program using internet is considered an efficient intervention in a modern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가설 4 D. 용어정의 5 II. 문헌고찰 9 A. 고혈압 대상자 간호 9 B. 비만관리 12 C. 인터넷 기반 코칭프로그램 18 III. 연구의 개념적 기틀 21 Ⅳ. 연구방법 25 A. 연구설계 25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6 C.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7 D. 연구도구 28 E. 연구절차 32 F. 자료분석방법 42 G. 연구의 제한점 43 Ⅴ. 연구 결과 44 A.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 44 B. 가설 검증 50 Ⅵ. 논의 72 Ⅶ. 결론 및 제언 82 A. 결론 82 B. 제언 86 C. 간호학적 의의 88 참고문헌 90 부록 104 Abstract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247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혈압 대상자의 비만관리를 위한 인터넷 기반 코칭프로그램의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n internet based coaching program for obesity management in hypertensive patients-
dc.creator.othernameJeon, Hae Ok-
dc.format.pagex, 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