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보행자가 인식하는 어메니티 측면에서의 보행공간 디자인 연구

Title
보행자가 인식하는 어메니티 측면에서의 보행공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destrian-Space Design in Relation to Amenity Aspects Perceived by Pedestrians : Focusing on Seasonal Colors of Street Trees
Authors
김지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쾌적하고 여유로운 환경에 대한 시민의 욕구는 점점 높아지며,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물질적 풍요보다 인간다운,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추구하는 사회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보행공간은 도시의 열린 공간이자 다양한 공간을 잇는 옥외 생활영역이지만 오늘날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1990년대 초부터 많은 도시에서는 자동차가 고도로 밀집화 되어가고 인간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면서 도시 공간 구성에서 보행공간의 의미를 다시 인식하게 하였다. 보행공간은 보행자를 우선으로 하여 도시 내에서 원할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도시경관으로서 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인간과 환경을 중시하는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행공간 계획에 중요한 개념이 되는 어메니티는 쾌적하고 풍요로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인간 환경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 환경의 우위를 결정하는 요소로 여유로움과 안락함을 갖춘 보행공간의 조성·계획에 중요한 개념이다. 보행공간을 구성하는 도시의 가로수는 도시 경관의 주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또한 계절별로 변화하는 가로수의 색채는 보행자에게 어메니티 측면의 공간에 대한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 공간이라는 환경의 디자인적인 관점과 보행자가 느끼는 어메니티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보행 공간을 연구하고 색채를 통해 적합한 가로수의 선정으로 보행 환경을 개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연구의 중심 이론이 되는 어메니티의 기본개념을 정리하고 현대에서 어떤 의미로 재인식 되고 있는지, 어메니티 스페이스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간략하게 살펴본다. 둘째, 디자인 연구의 배경이 되는 보행공간의 관련 이론을 정리하고 구성요소를 형태적 관점과 디자인적 관점으로 재구성한 후, 보행공간에서의 어메니티 분석을 위한 요소들을 살펴본다. 셋째, 디자인 연구의 중심 대상이 되는 가로수의 관련 이론을 정리하고 가로수의 색채 분석을 위해 자연색채계(NCS)를 활용하도록 한다. 넷째, 앞의 이론과 분석을 토대로 어메니티 분석을 위한 평가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어메니티와 보행공간 그리고 가로수의 계절별 색채의 관계를 분석하도록 한다. 다섯째, 설문의 결과 분석을 도입하여 보행공간 디자인을 계획한다. 위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시민들은 도시 환경에서 풍요로운 녹지와 우수한 경관의 형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아 어메니티와 연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잇었다. 둘째, 현재 이루어지는 보행공간 개선사업에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로 보행공간에서 수목이 보행자에게 주는 쾌적성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로수의 경우 보행자가 수종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없지만 계절별 색채를 전체 공간의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어 색채에 대한 어메니티의 구분이 비교적 명확하였다. 도시민들은 보행공간에서 어메니티 욕구를 느끼며 이는 자연과 공존하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방향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자를 우선으로 하는 보행공간의 구성과 환경 색채의 관점에서 색채의 질서화를 정립하여야 하겠다. 또한 가로수 식재시 단순히 다양한 수종을 도입하는 것이 우선이 아니라 어메니티를 고려한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수종을 선택하여야 한다.;The desire of citizens for a comfortable and leisurely environment is increasing. An urban environment capable of offering an ecologically healthy and rich life in which human beings and nature coexist is desirous. The indication for this change in society is clear humans life wish to coexist with nature. Pedestrian space is the open space within a city, it is the sphere of outdoor living that link diverse spaces, but it had lost much of its significance. From the early 1990s, many cities became congested with traffic while the scope of human activities widened. The significance of pedestrian space in the urban-space composition came to be recognized once again. Pedestrian space facilitates ease of movement within a city by giving priority to pedestrians. For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space in terms of urban scenery, space planning must emphasize both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As an amenity, the important concept of pedestrian-space planning, relates to what forms a comfortable and rich environment, making it the foundation of the human environment. Also, as an element for deciding on priorities in urban environment, it is an important concept used for creating and planning pedestrian space that is equipped with composure and comfort. Street trees in a city, which form the pedestrian space, also becomes a key element in an urban environment. The color of street trees, which change by season, seems to be recognized by pedestrian as spatial images in relation to the amenity aspec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edestrian spa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design and on the evaluation of the amenity felt by pedestrians, and seek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selecting street trees using color. With such objectives in mind, the study progresses using the following methods. First, it considers the basic concept of amenity, which becomes the central theory in the research, and briefly examines its significance in modern times, and the significance afforded to the amenity space. Second, it arranges a theory related to pedestrian space, which forms the background for the research design, re-constitutes components from a morphological and a design perspective, and then examines the elements for analyzing the amenity of pedestrian space. Third, it considers a theory related to street trees, which becomes the central subject of the research design, and creates a NCS(Natural Color System) for analyzing the color of street trees. Fourth, it creates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amenity based on the above theory and analysis, and then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color by season among amenity, pedestrian space, and street tree. Fifth, it analyz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n plans the design for the pedestrian-space.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reached. First, urban citizens may regard the formation of rich green scenery as important elements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reby connect it with amenity. Secon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s improvement projects in pedestrian space is likely to be clear. As a result of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naire, the use of trees in pedestrian spaces could be favorably received by pedestrians. Third, in the case of street trees, a pedestrian has no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ctual tree species, but is capable of recognizing its seasonal color. This creates an overall image for the entire space, and makes color an important element of amenity. Urban citizens desire amenity from pedestrian spaces. This desire is connected to a human being's basic aspiration to coexist with nature. Accordingly, pedestrian space that give priority to pedestrians is essential, and for establishing order in color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color. There is also a requirement to select tree spec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neighboring scenery, consideration is given to both amenity, and to the introduction of diverse species of tre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