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Title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Other Titles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Authors
한영옥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atients who had surgery for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Eighty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e present study both in inpatient and outpatient clinic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5 to May 31, 2009.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included a family support measure developed by Cobb (1976) and modified by Kang (1984), and an investigator-modified Walker, Sechrist, and Pender's (1987)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reflecting study participants’ cancer experienc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15.0 using Cronbach's alpha, t-test, ANOVA with Scheffe post 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procedures.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articipants received high levels of family support with the mean score of 47.89 out of 55.0.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engaged in moderately healthy behaviors with the mean score of 120.46 from 200.0. Of the six categorie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nutrition score was the highest and the rest follows in descending order: health responsibility, self-actualization, interpersonal relation, rest and stress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2.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However,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ypes of cancer (t = -2.219, p = .023), financial burden (F = 3.528, p = .034), and the length of recovery period (t = -1.354, p = .006). 3. Patients who received high levels of family support showed significantly better health promotion behaviors (r = .336, p = .002). The data suggested that family support had positive impa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cancer patients. Nursing interventions with an emphasis on family support are needed to increase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in turn, to improv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surgical treatment.;본 연구는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를 대상으로 대상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를 기초로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Y대학병원에서 소화기계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외래 내원 환자 또는 항암 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위해서 재입원중인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가족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Cobb(1976)가 개발한 도구를 강현숙(1984)이 수정한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Sechrist와 Pender(1987)가 개발하고 오복자(1994)가 번안하여 암환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 보완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고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최고점수 55점 중 평균 47.89점의 가족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최고 200점 중 평균 120.46점의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별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영양관리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자아실현, 대인관계, 휴식 및 스트레스 관리, 운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중에서 진단명(t=-2.219, p=.023), 치료비 부담감(F=3.528, p=.034), 수술 후 기간(t=-1.354,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가족지지는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36, p=.002). 결론적으로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의 가족지지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다는 것은 대상자에게 있어서 가족은 영향력 있는 지지체계이며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위해서 가족의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소화기계암 수술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을 지지하고 교육하는 간호사는 가족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수술 환자의 건강상태를 높이며 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