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클럽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Title
클럽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lub Fashion Styles for Designing Clubber Fashion: Focusing on the Hongdae and Kangnam Club areas
Authors
김현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성
Abstract
오늘날 현대인들은 풍요로운 삶을 향유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그들만의 독창적인 문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문화가 세분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패션 역시 다양한 가치관과 생활양식이 반영되어 나타나며, 차별화된 개성추구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런 패션의 다양화는 변화에 능동적인 젊은 세대와 그들의 새로운 문화코드로 자리 잡은 클럽문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클럽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험적 패션스타일을 창조하여 클럽문화라는 특징적인 대중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클럽문화는 패션코드, 댄스 스타일, 음악장르 등에 비슷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큰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고, 타인의 시선에 신경 쓸 필요 없이 마음껏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이다. 클럽문화의 영향력이 가속화되면서 클럽마켓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성을 표현하고자하는 젊은이들과 일반대중은 물론 유행을 선도하는 하이패션계에도 그 실험적 패션스타일은 확산되고 있다. 클럽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클럽문화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건전한 클럽문화를 만들어 가는 주체인 클러버 패션에 대한 분석은 국내 클럽패션 시장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클럽문화와 클럽 패션스타일의 정의 및 특징을 알아보고 홍대·강남 지역의 클러버에게서 보여지는 클럽 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여 클러버의 감성과 기호에 맞는 클럽 패션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클럽문화는 고유의 음악·춤·사람과 대화가 공존하는 복합 문화공간을 매개로 생성, 공유, 변화하는 독특한 스타일의 청년 하위문화이며, 사운드와 스타일을 끊임없이 제시하고 변화시키는 특정 공간과 관련된 문화로 정의할 수 있었다. 또한 클럽문화는 구성원들 간에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 문화의 의미, 가치, 취향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며, 클럽이라는 공간을 매개로 음악과 춤, 다양한 사람들과 만남, 대화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사교의 장을 펼치는 문화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클럽문화는 1925년 대중음악으로 시작하여, 1960년대 미 8군에 의해 서양대중음악의 유입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1970년대 클럽이 활성화되었다. 또한 1990년대 이후 홍대지역은 클럽데이로 인하여 클럽음악의 메카로 클럽문화의 중심이 되었고, 강남지역은 대형 에이전시와 편리한 접근성 등의 영향으로 고급클럽문화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의 변화와 함께 클럽 패션스타일도 변화하게 됨에 따라 정형화된 스타일이 아닌 각자의 개성을 추구하는 스타일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21세기 이후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는 클럽 패션스타일은 다양한 트렌드와 함께 복합적으로 재해석되며 발전하였다. 클럽 패션스타일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타일을 도출한 후 2008년에서 2009년까지 나타난 홍대·강남지역의 클럽 패션스타일을 분석한 결과, 섹시캐주얼·란제리·다이나믹·시크·페미닌 스타일로 나타났다. 섹시캐주얼 스타일에서 홍대지역은 활동적이며 캐주얼한 느낌이 강하고, 강남지역은 부드럽게 흐르는 드레이프 패턴과 독특한 절개라인으로 도시적인 세련미와 섹시함을 강조하였다. 란제리 스타일에서 홍대지역은 프린트 패턴과 원색을 포인트로 사용하여 귀여운 느낌의 란제리 스타일을 표현하였고, 강남지역은 주로 블랙 색상이 사용되었으며 인위적인 절개로 인해 관능적인 섹시미를 강조하였다. 다이나믹 스타일에서 홍대지역은 후드점퍼과 숏팬츠의 아이템이 돋보이며 강렬한 원색이 조화롭게 사용되어 경쾌하고 액티브한 이미지의 다이나믹 스타일을 연출하였고, 강남지역은 전체적으로 무채색에 원색이 포인트 색상으로 사용되어 도식적이고 현대적인 느낌의 다이나믹 스타일을 표현하였다. 시크 스타일에서 홍대지역은 저지 소재가 주로 나타나고 I라인과 H라인 실루엣의 높은 빈도수로 캐주얼 이미지의 시크 스타일을 강조하였고, 강남지역은 광택있는 스트레치성 소재에 I자형 실루엣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으로 세련된 느낌의 시크 스타일을 표출되었다. 페미닌 스타일에서 홍대지역은 심플하면서 귀여운 페미닌 스타일을 표현하였고, 강남지역은 여성스럽고 퍼와 스톤장식 등으로 인해 고급스러운 페미닌 스타일을 강조하였다. 넷째, 위의 도출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Unique, Sensitive & Clubby Fashionista’라는 컨셉 아래, 트렌디한 패션 감각으로 대중의 유행을 이끄는 패셔니스타의 독창적인 패션감각을 반영하여 독특한 감성의 클럽 패션스타일을 표현한 5벌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타겟은 획일화와 평범함을 거부하며, 다양한 스타일의 융합을 통해 특화된 차별성과 정체성을 요구하는 20대 중반의 클러버로, 위에서 분석한 클럽 패션스타일을 바탕으로 디자인하였다. 이상으로 살펴 본 결과, 하나의 문화코드로 보편화·대중화되어 가는 클럽문화와 클럽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 수 있었고 다양한 트렌드와 결합하여 나타나는 클럽 패션스타일의 조형적 요소에 따라 분석하여 디자인적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클러버의 감성과 기호를 반영한 디자인을 제시함으로 경쟁력을 갖춘 차별화된 브랜드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나아가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클러버의 기호와 욕구를 충족시켜 국내 클럽패션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Today, people try to pursue their own and unique culture as a way of enjoying the affluent life. As the culture becomes diversified, various viewpoints and life styles are reflected in the fashion. Therefore, unique characters became the most sought-after factor. This diversified fashion is shown in the club culture which secured itself as a new cultural trend of the young generation who are very receptive to new changes. The club culture is not something unified. Rather, it is a group of subcultures which share intertwined areas. And it keeps its own dress code, dance style, music genre along with series of authoritarian and unlawful rituals. For young adults, a club is a new cultural space to enjoy in reasonable price and they can express themselves without thinking much about others. A club creates its unique mass culture by producing continuously changing and experimental fashion styles. As the club culture’s influence becomes powerful, the club market was established and experimental fashion styles are wide spread among general public, young adults who try to express their unique characters and even fashion-leading industry. Thu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ub culture are mushrooming. Against this backdrop, it seems like the club culture industry should be vitalized. And analysis on clubbers who are leading sound club culture should be done to develop domestic club fashion market. As a preceding study for club culture, there is a study done by Han, Ji Eun (2006) which analyzed aesthetics of modern club fashion. However, it is only about general club fashion found in subculture and it does not mention detailed club fashion styles. Other studies by Kim, Young Sam(2005) and Kim Ji Ryang (2008) about club fashion style in modern trend are limited to analyzing club fashion, without clearly defining club fashion. Therefore, fashion design study is necessary To define and study club culture’s characteristics, we conducted preceding studiesand search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oks, thesis and news articles. Also, we took pictures of clubbers’ fashion style in Hong Ik University and Kang-nam areas to analyze visual resources. Among them, we selected 5 representative images which were the most frequently shown. Also, to select visual resources for our study, we categorized pictures of club fashion styles to match each image according to questionnaires of panelists who majored in fashion design. After that,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lub culture is constantly expressed in young adult’s subculture. Dance club and its derivative, rave, is symbolic axles and the center of social activity. They are also defined as culture which is related to specific space that continues to present and change sound and style. Club culture is young adult’s subculture where it creates, shares and changes using club, a multi cultural space where unique music, dance and conversation exist. Club culture participants build up close relationship and share similar views toward meaning, value and preference of the club culture. It also shows common music preference, the common way of using media and common ground where people with similar preference gather together. Second, the definition of clubber in a dictionary is club member or a person who is united with others. However, its more commonly-known definition today is a person who goes to club. Also, it refers to people who understand, enjoy and preserve the club culture. They serve as a driving force to vitalize club fashion industry and spread club fashion to lead sound club culture Third, since 21 century, with the various trends, clubber style in modern fashion has been interpreted again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analyze clubber fashion styles in an objective manner, we grouped similar ones among 15 images during September 2008 and August 2009. And through comparative study, we selected the most frequently recognized styles. Based upon clubbers’fashion styles in Hong-Ik university and Kang-nam areas, there are 5 different images including sexy casual style (bright, cheerful, dazzling), lingerie style (sexy, luxurious, glamorous), dynamic style (casual, sporty, colorful, active), chic style (modern, minimal, mannish, neutral, urban) and feminine style (romantic, elegant, pure) Fourth, based upon case study above, ‘Unique, Sensitive & Clubby Fashionista’ was set as a framework. To take unique life style of fashionista that leads fashion with trendy fashion style into account, we suggested five designs which are unique, sensitive and trendy. Our goal is to be free from being standardized and general. So, we aimed for young clubbers in their middle 20s who want uniqueness and their own identity through combined various styles. And our designs are more diversified than other club fashion brand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find out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lub culture which become more general as a culture code. Also, through analyzing clubber generation and design factors of clubbers’ fashion style combined with various trend, unique brand was developed to meet the demands of clubbers who want differentiated images and leading styles. As we suggest designs using analyzed images in the modern clubber’s fashion style, it seems like we are able to contribute to vigorous club fashion brand by establishing competitive high-end brand and meeting demands of clubbers who have big influence these d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