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IN UTERO AND CHILDHOOD GROWTH AND RESPIRATORY ILLNESS IN PRESCHOOL CHILDREN

Title
IN UTERO AND CHILDHOOD GROWTH AND RESPIRATORY ILLNESS IN PRESCHOOL CHILDREN
Other Titles
태내 및 생애 초기 성장이 학령전기 소아의 호흡기 질환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정율원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혜숙
Abstract
연구배경: 소아의 만성 호흡기 질환은 사회경제적 부담이 크며 전 세계적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과 낮은 출생 체중이 소아의 만성호흡기질환의 위험인자로 고려되고 있으나, 많은 기존의 연구에서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출생 체중이었던 소아가 빠르게 체중이 증가 하여 과체중이나 소아 비만으로 이환 할 경우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가설이 제시되었으나 호흡기질환에 대해서는 그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비만 및 출생 체중의 만성호흡기질환과의 연관성 및 비만과 출생 체중의 상호작용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학 병원 출생 코호트에 등록된 422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총 5개 년도 대상자의 출생시에 키와 체중을 기록하였고 같은 아이들이 3세가 되었을 때 부모를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아이들의 신체 계측을 하였다. 호흡기증상에 대한 설문은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에 기초하였고 이와 관련이 있는 사회경제적 지표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천식은 의사로부터 천식으로 진단 받거나 천식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천명음은 최근 12개월 동안 한 번 이상의 천명음을 경험한 경우, 잦은 만성 기침은 감기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기침을 경험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만성호흡기질환은 의사로부터 만성호흡기질환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거나 기침과 가래와 같은 만성호흡기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될 때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 중 만성호흡기질환의 유병률은 10.2%였다. 3세의 현재 비만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출생 체중이 낮을수록 만성호흡기질환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출생 체중 삼분위에 포함되었던 소아가 빠르게 체중이 증가 하여 3세 때 가장 큰 출생 체중 삼분위에 포함되는 경우 중간 삼분위를 유지한 소아에 비해 만성호흡기질환의 위험이 16배 이상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3세 비만도가 높은 경우 또는 출생 체중이 낮은 경우에 소아에서의 만성호흡기질환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출생 체중이었던 소아가 빠르게 체중이 증가하여 과체중이나 소아 비만으로 이환할 경우 만성호흡기질환의 위험이 높고, 이때 출생 체중과 현재 체중은 상호작용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호흡기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소아의 체중 관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한 체중의 관리는 생애 초기부터 그리고 성장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Background: Chronic respiratory illness is common in children with high socioeconomic burden and increasing prevalence worldwide. Although childhood obesity and low birth weight is suggested to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previous studies showed contradictory results. It is also suggested that relatively lower birth weight and subsequent overweight status in childhood increases the risk of later chronic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obesity and birth weight with chronic respiratory illness and identify possible interaction underlying its mechanism. Method: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422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a hospital-based birth cohort. Birth related anthropometric data were collected at birth. At age 3 years, presence of wheezing, frequent cough, and asthma were evaluat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ore questionnaire for wheezing and asthma from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Wheezing was defined as having any one of the following within the last 12 months: more than one attack of wheeze, sleep-disturbing wheeze, speech-limiting wheeze, and exercise-induced wheeze. Frequent cough was defined as suffering cough occurring outside colds. Asthma was defined as being diagnosed with asthma or taking anti-asthmatic medications. Chronic respiratory illness was defined as being diagnosed with a chronic respiratory disease or suffering from respiratory symptoms for more than 3 months. Physical examination was also carried out to measure the child’s weight and height. Result: The prevalence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among the study population was 10.2%. Children in the lowest birth weight tertile or highest BMI tertile were at an increased risk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compared to the middle tertiles. In addition, children who were initially in the lowest birth weight tertile but now belong in the highest weight tertile had more than 16 times higher risk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compared to those who had remained in the middle tertile (aOR=16.35, p=0.01). The effect of current weight on chronic respiratory illness in children is modified by birth weight in an additive manner. Conclusion: Measures of obesity, birth weight, and its changing trajectory can be useful in pediatric settings to better identify children who might be at an increased risk for such respiratory illness. As weight can be monitored and controlled, it can also be incorporated into personal health care to help prevent and manage chronic respiratory ill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