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이연경-
dc.creator이연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6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화용 교수 방법을 명시적 교수와 암시적 교수로 나누고 그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이다. 2000년대에 들어 한국어 학습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학문 목적 학습자의 수 역시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들을 위한 화용 교수 실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요청 화행을 교수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요청 화행을 명시적·암시적으로 교수한 후에 어떠한 방법이 요청 화행 전략 습득에 더욱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 문제는 명시적 교수와 암시적 교수를 받은 후 두 집단의 요청 전략 사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요청 화행 전략 중 목표 전략을 선정하고, 화용 교수에 적절한 시청각 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사전 시험, 즉시 사후 시험 그리고 지연 사후 시험에서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요청 표현을 전략별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전략 사용 변화를 알아보았다. 실험 참여자의 화용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인과 중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사전 조사를 한 후, 수정을 거쳐 전화 메시지 남기기 시험과 이메일 쓰기 시험에서 사용될 상황 24개를 개발하였다. 또한 4차시 수업에서 가르칠 요청 전략을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한 시청각 자료를 선정하여 대본을 바탕으로 수업 주교재와 부교재를 개발하였다. 실험 자료 개발이 끝난 후에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숙달도가 중급인 연구 참여자 18명을 대상으로 요청 화행 전략 교수를 실시하였다. 교수가 끝난 직후에는 요청 전략 습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즉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즉시 사후 시험 후 3주 후에는 지연 사후 시험을 실시하여 장기적인 요청 전략 습득 정도를 분석하였다. 총 6주 동안 진행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시적 교수와 암시적 교수의 화행 전략 습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화용적 적절성과 화용언어적 정확성을 기준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과제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집단 간 점수의 상관관계도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통하여 분석한 바, 몇 가지 흥미로운 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전화 메시지 남기기와 이메일 쓰기 시험의 결과에서 평균 변화 그래프를 분석해보면 집단별로 상승폭과 하락폭의 차이는 있었으나, 두 집단 모두가 비슷한 점수 변화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 전화 메시지 남기기 시험 점수는 U자형 발달 형태를, 이메일 쓰기 시험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종모양의 그래프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이메일 쓰기 시험의 즉시 사후 시험 점수와 지연 사후 시험 점수의 하락폭을 분석한 결과 암시적 교수를 받은 집단의 시험 결과가 명시적 교수를 받은 집단보다 하락폭이 적었다. 셋째, 실험 결과 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 유일한 자료는 명시적 집단의 이메일 쓰기 시험 점수였다. 그 이유로 이메일 쓰기라는 과제의 성격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을 것이라 추측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구두시험이나 필기시험과 같은 과제 변수의 영향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화행 교수 효과에 대해 다룬 첫 연구로 교수 효과뿐만 아니라 교수 방법에 따른 한국어 화용 습득 양상을 분석하여한국어 화용 교수 효과를 입증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실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한국어 화용 교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effect of explicit and implicit instruction methods on pragmatic competence from the cognitive-psycholinguistic perspective. A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has surged since 2000, th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ave been increased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divides the methods of 'request' speech act into explicit instruction and implicit instruction; and analyzes and compares the results from conducting the classroom-based researches, which demonstrate the strong demands from the KAP learners.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licit group and implicit group in their production of pragmatically appropriate requests, as measured by two tasks (i.e. phone messages and email responses)?; and How do learners' strategies of using requests vary depending on the tests (i.e. pretest, posttest and delayed tes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folds: (a) to select target strategies of request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s including audiovisual aids and handouts, (b) to develop appropriate class materials for pragmatic instruction; and (c)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om pretest, posttest and delayed test by classifying what subjects have used as request strategies. In order to develop the test, a survey has been condu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to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e 24 situations, which are used in the phone message test and email responses test, were developed. Moreover, to teach request strategies effectively, the class materials, which properly contain request strategies and context, have been developed from dramas or movies.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ragmatic teaching, 18 intermediate-level participants whose L1s are Chinese have been selected to take training course. They have taken tests three times-pretest, posttest and delayed test; and the overall period of experiment has lasted for 6 week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licit group and implicit group, but demonstrated several interesting points from scrutinized analysis as the following: (a) according to the graph showing the mean changes, each group had increase and drop differences however both showed the similar graph changes (From the phone message test score, both groups showed U-shaped development whereas both revealed bell-shaped development from the email response score.), (b) with regard to the email response score, the implicit group resulted less steep decline than the explicit group; and (c) the only significant data from the experiment was the email response score of the explicit group. The environmental factor of the test might have influenced the subject products which provided longer response time.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consider the task variable when they carry out pragmatic studies.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focused on pragmatic instruction in Korean education from the cognitive-psycholinguistic perspective. It has not only tri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peech act instruction in pragmatic field through experiments, but also has analyzed subjects' pragmatic acquisition patterns from the different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give recommendations to the further researches to focus on the variables and to implement repetitive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3 C. 논문의 구성 =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5 A. 인지 처리 가설 = 5 B. 명시적·암시적 개념의 이해 = 8 1. 명시적 학습과 암시적 학습 = 8 2. 명시적 교수와 암시적 교수 = 8 C. 요청 화행 = 12 1. 화행 이론 = 12 2. 요청 화행 전략 = 13 3. 요청 화행 전략에 작용하는 변인 = 14 D. 선행연구 = 15 1. 명시적·암시적 화용 교수 연구 = 15 2. 요청 화행 교수 연구 = 16 3. 한국어 교육의 요청 화행 교수 연구 = 17 E.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 19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설계 = 21 B. 연구 과정 = 22 C. 교수 학습 = 23 1. 연구 참여자 = 23 2. 연구 도구 = 24 가. 목표 요청 전략 선정 = 24 나. 교수 처치 = 26 다. 교수 자료 = 29 3. 교수 학습 과정 = 31 4. 측정 도구 = 33 가. 도구 개발을 위한 사전 조사 = 33 나. 측정 도구 선정 = 37 D. 연구 절차 = 39 1. 집단 간 동질성 검증 = 39 2. 평가 도구 제작 = 41 3. 예비 실험 = 44 4. 본 실험 = 45 E. 자료 분석 방법 = 46 1. 실험 자료 분석 및 평가 = 46 2. 통계 처리 방법 = 5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51 A. 전체 연구 결과 = 51 B. 교수 효과 비교 = 54 1. 요청 화행 교수 후 학습자 말하기의 변화 = 54 2. 요청 화행 교수 후 학습자 쓰기의 변화 = 58 C. 집단별 학습자들의 전략 사용 변화 비교 = 62 1. 명시적 집단에서 '전화 메시지 남기기' 시험 전략 사용 결과 분석 = 62 2. 명시적 집단에서 '이메일 쓰기' 시험 전략 사용 결과 분석 = 63 3. 암시적 집단에서 '전화 메시지 남기기' 시험 전략 사용 결과 분석 = 64 4. 암시적 집단에서 '이메일 쓰기' 시험 전략 사용 결과 분석 = 66 D. 결과 해석 및 논의 = 67 Ⅴ. 결론 = 71 A. 연구 결과의 요약 = 71 B. 연구의 제한점 및 한국어 화용 교수 시사점 = 73 참고문헌 = 74 부록 1 1차시 수업에 사용한 파워포인트 자료의 예 = 79 부록 2 명시적·암시적 교수 집단 학생 유인물 = 80 부록 3 한국인 사전 설문조사지 = 93 부록 4 중국인 사전 설문조사지 = 105 부록 5 코딩 동의서 = 113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49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교수의 명시성 수준에 따른 한국어 요청 화행 교수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pragmatic instruction in Korean : A study based on request-
dc.creator.othernameLee, Yeon Kyung-
dc.format.pageⅹ,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