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성 판매 여성'의 생애체험 연구

Title
'성 판매 여성'의 생애체험 연구
Other Titles
A Life History Research of Women Who Sell Sex : The Temporal and Spatial Operationalization of Intersectional Sex Hierarchy
Authors
원미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성매매 연구와 담론이 성에 대한 특정한 관점과 정치적 입장에 따라서 ‘성 판매 여성’의 체험을 파편화하고 전유해왔다는 문제의식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성판매를 경험한 여성이 살아 온 과정을 보다 다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교차적 성 위계’라는 개념을 발전시켜 그 영향력을 중심으로 이들의 생애체험을 분석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생애사재구성 방법론에 입각하여 진행하였으며, 성판매 ‘일’을 한 경험이 있는 30명의 생애사 구술자료 중 재구성된 5사례를 소개했다. 이들의 연령은 40대-60대이고, 주로 성매매 집결지에서 10-30년 동안 ‘일’한 경험이 있으며, 1960년대 초기 산업화 과정에서부터 집결지 폐쇄를 목전에 둔 현재까지 약 40년 동안의 한국사회의 변화과정과 함께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참여자의 생애체험을 통하여, 성 위계 질서가 고정되어 있거나 독자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요소들과의 교차 속에서 세밀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젠더와의 교차 속에서 작용하는 성 위계는 전형적인 여성성에서 벗어난 행위나 다른 범주의 ‘일탈’을 성적 일탈로 포획하는 구조적 작용력을 보여준다(여성 ‘일탈’의 성적 낙인화). ‘성판매 여성’에 대한 문화적 각본은 성적인 것을 넘어서 젠더, 계급, 인종·민족·국가, 몸·질병 등의 위계와 교차하며 구성된다. 나아가 이러한 교차적 성 위계는 ‘여성 이분화’에 따른 여성 간의 성적 경쟁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광범위한 사회적 배제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음을 드러낸다. 제도적으로 보면 성 위계는 성매매 집결지와 같은 특정한 장소를 구획 짓고 창출하는 힘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수용소’의 강제결혼 등을 통해 경계 밖의 여성들을 여성의 성/몸이 필요한 곳에 재배치하며, 집결지를 통제·관리하고, 해체하는 과정에도 작용한다. 한편, 성 위계 질서는 성매매 공간 외부뿐 아니라, 집결지 내에서도 성 구매자의 위계적 태도, 집결지 내의 제한된 일상의 구조와 착취, 업주 및 여성들 사이의 위계적 관계, 성적 서비스의 위계화 등에 깊이 침투해 있다. 성판매 여성의 낙인은 여성 섹슈얼리티의 오염을 막는 기준점으로 기능하며, 젠더화된 자아(gendered self)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성판매 여성’이라는 지배적 표상에 대한 부정과 회피를 통해 재생산된다. ‘낙인’은 여성이 성산업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있지만, 이로 인해 사회적 배제 경험이 누적될 때 여성을 특정한 공간에 고착화시키며, 빈곤에 깊이 개입하게 된다. 둘째, 교차적 성 위계 질서는 모든 공간에서 일관적으로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적 맥락에 따라서 재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집결지에서의 성판매 ‘일’은 기계적인 절차에 의해 수행되지만, 연구참여자들의 일상은 이웃과 동료 등 다양한 관계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공간적 맥락은 손님 등의 권력관계에서 역동을 생산한다. 집결지를 단지 성매매만 수행되는 곳이 아닌 ‘삶의 공간’이라는 견지에서 볼 때, 집결지는 ‘타자화된 이성애’의 획일적인 공간이 아닌 상당히 복잡다단한 이질성과 분절성을 포획하는 ‘이소성의 공존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집결지에는 하나의 원리가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하층계급, 동성애자 등 ‘주류’에서 빗겨져 나온 다양한 사람들이 어울려 생활하며, 이성애와 동성애, 성판매 ‘일’과 결혼 및 아이 양육의 공존 등 ‘주류’의 관점에서는 병행할 수 없을 것 같은 이질적 요소들이 공존한다. 한편 연구참여자들의 체험은, 자아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과 ‘성 판매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언제나 갈등하고 충돌하거나 혹은 반대로 통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때론 모순을 일으키면서도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성판매 ‘일’의 선택과 그 수행은 자아와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질적으로 변환(transformation)하는 과정이 아니라, 자아로부터 섹슈얼리티를 부분적으로 분리·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매매 공간의 근접거리·원거리에 따른 관계망의 변화, 나이 듦에 따른 몸과 시대적 변화 등에 따라서, 자아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 방식은 재구성되며 이에 따라 성위계의 작용력은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성 위계화된 삶의 현장에 대응하며 살아온 연구참여자들의 생애체험은, 마리아/창녀라는 이분법적 구조에 정박되기보다는, 다양한 경계 사이를 넘나들고 통과하면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생성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각 생애사례의 ‘주류’사회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과 적응의 정도는, 자신이 위치한 공간, 삶의 주도성, 물질적·경험적 자원 등과 같은 공간통제력의 요소들에 따라 차이를 드러냈다. 한편, 오랜 기간 집결지를 중심으로 살아온 연구참여자들의 삶은, ‘전형적인 여성성’이나 ‘성 판매 여성’이라는 정체성과의 거리감에서 생겨난 ‘틈새’로부터 저항의 지점을 생산할 가능성을 함축한다. 특히, 구술자들은 동성애 등 다양한 성적 실천, 생계를 책임져 온 강한 생활력, 집결지 동료들과의 관계와 유대에 준거한 삶의 양식 등을 통해 전형적인 여성성이나, 원자화된 이성애적 삶, 경쟁적인 여성들 간의 관계와는 ‘다른’ 삶의 양식을 보여준다. 이는 연구참여자들이 지배적인 상징질서나 구조의 힘에 온전히 포섭되거나 저항·일탈하는 주체가 아니라, 그러한 힘들로부터 자신의 정체성과 삶을 재구성하고 ‘다른 것’을 생산하는 행위주체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성판매를 경험한 중·장년층 여성의 생애체험을 각 사례의 전체 생애를 통해 이해하고, 성매매 공간 안팎의 다양한 권력들의 역동성으로 이해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성매매 및 섹슈얼리티 연구의 지평을 확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요컨대, 교차적 성 위계의 시·공간적 작용을 고찰한 본 연구는 성판매 여성의 위치와 성매매에 대한 본질주의적 관점에 도전하는 의미를 갖는다. 성 위계의 교차성과 시·공간적 작용은 여성의 삶이 섹슈얼리티와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으면서도 단지 성적인 존재이거나 성 위계 구조의 고정된 위치로만 환원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여성주의 성매매 및 섹슈얼리티 연구와 실천이 ‘피해자/성노동자’ 등의 대립구도를 해체하고, 다양한 삶의 권리들을 넘나들고 통과하면서 여성주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대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한다.;This research is premised on the problematics of current research and discourses on prostitution that have fragmented and appropriated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have sold sex in accordance with particular perspective and political posi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operationalization of the sex hierarchy and its intersectionality through the life experiences of women who have sold sex. The research uses the reconstruction of biography as its methodology. The analysis draws on 10 of the 30 life histories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selling sex as ‘work.’ The women are middle- and older-aged wome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Their lives are embedded i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last 40 years - starting from post-war industrialization to the current urban renewal projects that target red-light districts for demolition. Findings First, the lif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 that Gayle Rubin’s concept of sex hierarchy does not function independently, but intersects with a multitude of social hierarchies in its operationalization. It is shown that competition between women is not simply limited to a binary understanding as suggested in Rubin’s sex hierarchy. Rather, it is related to other forms of social exclusion. Institutionally, the power of sex hierarchy operates on the sexuality/body of transgressive women not only through the creation and regulation of specific sites such as ‘red-light districts,’ but also in ‘reformatory’ that coerced the women into marriage, as well as in the demolition of ‘red-light districts.’ In these operations of power, behaviors that depart from conventional femininity or transgression in other spheres are constructed as sexual deviance. I refer to this operational power of gender as the ‘sexual stigmatization of women’s transgression,’ and show that this constrains and regulates women’s behavior across a broad spectrum of spheres. Spatially, the effects of sex hierarchy penetrate deeply into the spaces in and out of commercial sex. These include the patronizing attitude of male buyers of sex, the exploitation and regulation inside red-light districts, restrictive enclosures of everyday life, and the hierarchization of sexual services. The constitution of a gendered self operat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whore stigma - reproducing the sex hierarchy through the evasion and denial of the stigma. While stigma may prevent women from entering the sex trade, it may also further embed women who sell sex in poverty. Second,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powers of sex hierarchy do not operate in a uniform manner, but are reconstituted in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While they may perform their ‘work’ mechanically in the red-light district, research participants are heavily invest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and peers. Red-light districts are not simply the place where commercial sex takes place but also a living space. Therefore, they are not a homogenized space of ‘othered heteroseuxality’ in contradistinction to ‘mainstream’ spaces, but a highly heterogeneous and fragmented space - a condition well captured by the idea of ‘heterotopia.’ The case studies show that while ‘red-light district’ is conceptually distinct from ‘the space outside’ for the women, actual exclusion and inclusion operates in much more complicated ways. It is clear that a multitude of elements of self-making such as female identity, sexuality, and class together with the identity of ‘women who sell sex’ are not always in conflict with each other or, in contrast, a coherent whole. They may simultaneously conflict with and co-exist with each other. The power of stigma operates differentially depending on changes in one’s web of relations both distant and close to the red-light district, bodily and societal changes in tandem with one’s age, and changes in the relative weight of various elements of self-making for oneself. Third, research participants’ life experiences show that the powers of sex hierarchy operate beyond the virgin/whore dichotomy - and correspondingly, they deal with these powers by zigzagging through a multitude of interstitial spaces, developing new ways of life. Different cases show that psycho-logical distance from ‘mainstream’ society, interactions with ‘different’ spaces, individual spatial location, autonomy in life, and perspective on one’s life history are factors that shape a woman’s control over her life. For those who have long-term life experiences of dealing with the effects of the sex hierarchy, the experiences of selling sex produce a psychological distance from both identities of ‘conventional women’ and ‘women who sell sex.’ The chasm becomes a fulcrum of possible resistance. Framing their lives through diverse sexual practices such as homosexuality, a strong sense of independence and vitality, relationships with peers in the red-light district, the women show that their ways of life are ‘different’ from the atomization and competitiveness in the lives of conventional heterosexual women. These ‘different’ ways of life by no means subsume dominant structural forces or symbolic order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nor do they make them resistant or transgressive subjects. They do, however, demonstrate a subjectivity that actively produces ‘different things’ for the reconstruction of one’s own identity and life. Through a holistic approach to the life histories of middle- and older-aged women who have had experiences of selling sex, this research expands the scope of understanding these narratives to include power dynamics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red-light districts. By the same token, it seeks to expand the horizon for current research on prostitution and sexuality. In short,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tersectionality of the sex hierarchy, challenging any essentialist understanding of the positionality of women who sell sex and prostitution. The interesectionality as well as the temporal and spatial operationalization of the sex hierarchy suggest that women’s lives are extensively connected with sexuality. Yet this does not mean that their lives could be restored by merely fixing their sexualized existence or the sex hierarchy. Therefore, this research points to the need for feminist research and praxis in prostitution and sexuality to go beyond the antagonistic ‘victim/sex worker’ dichotomy, in order to look for alternatives that will be open to a female subjectivity that zigzags through multiple rights in life in its search for new possi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