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경-
dc.contributor.author장현정-
dc.creator장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6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8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begins with moving the focus away from attributing problems to the remarried family toward the very female subject that ended the previous unsatisfactory marriage life and, willingly, takes new relationships into consideration, in the context of highly increasing women’s remarriage rate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s that marriage of women construct in the process of forming remarried relationships. The current marriage is generally considered not as arranged or forced by others but as chosen on one’s own; the choices, however, are still limited within socio-structural conditions individuals involved, given that a marriage is a social system associated with law, customs, and other principles in society. Most of remarriages are followed by a conscious act of divorce and tend to get influenced in attitudes to the present relationships by the former marriage and divorce, in that what the remarried women ascribe problems occurring in remarriage to. Therefore, a big or small decisions for remarriage are made by complex variables including the previous experiences of their first marriage and divorce and even their real life situation after divorce. The previous research on remarriage, nevertheless, has limited the issue to the inner side of reconstituted families, without considering the real facts of remarried women’s life and their former experiences and agency; besides, they failed to explain why the women individuals who already had ever gone through the patriarchal relationships in their first marriage decided to marry again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s they hope to build. This could be explained from the women’s perspective based on the feminism seeing marriage as a suppression system of women. Within the women’s socio-structural conditions in the patriarchal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ir background contexts to go into the remarriage relationship and thoughts on 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arried relationships women construct, and the meanings of their cumulative experiences of marriage, throughout the multi-layered life processes of marriage, divorce, and remarriage.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15 remarried females respectively, in the age of between 30s and 40s from small Jeonnam cities, were conducted 2005 July to 2008 August, along with pre- and supplementary interviews with other participan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wo extreme ends of force spectrum, the force pushing the divorced women out of a divorcee's unfavorable status and that of attracting them to remarriage, work on the remarried women. After divorce, they suffer from social and financial problems, i.e., double burden of making a living and childcare work; men’s prejudice and unpleasant attitudes classifying divorcees as ‘unoccupied women,’ pressure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considering marriage as an obligation, and assigning responsibility of caring children to females, all of which, consequently, push divorcee to remarry. The desire of intimacy and longings for ‘normal family’ are other factors leading divorcee to remarriage. That is, women’s remarriage can be attributed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variables. (2) Many of women construct their remarried relationships based on their own resource and interpretation on the divorce experience, and their expectation for remarriage. Among them, some who are able to reflect on divorce in terms of relationship would manage to make a qualitative change not to repeat the same mistakes as in the former marriage; one the other hand, others who only see divorce as a broken form of relationship would make a desperate effort to sustain their remarried relationship anyway. By the same token, the former could have more flexible and wider negotiability than the latter. Thus, women’s remarriage relationships are divided into five phas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ccepting and negating the values of modern marriage and patrilineal familism: adaptation, conflict, transformation, severance, and dissolution. As for the phase of adaptation, having financial difficulties after divorce, women expect to be a housewife that only works on the conventional role and instead gets supported by men through second marriage. In the case of conflict, even though some women longing for a normal nuclear family have a problem of their and step children, the need to care children and an awareness of economic vulnerability make them stay in remarriage. Women in the transformation phase, tired of the economically weaker status of their original family than that of the men’s family, and men’s authoritarian attitude arising from men's success at work, try to keep earning money to be economically independent from men even after their second marriage, acquire a very strong responsibility to their children, have close matrilineal relationships, or voluntarily get involved with their husband’s family in reward for their husbands’ favorable attitude to their parents. Women in severance, rather laying weight on the value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than just blindly enduring the relationship in marriage, would hardly take patience to undesirable treatment but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desire in their remarriage and decide not to adjust but to end the kin relationships harmful to their marriage. In a dissolving situation, when a divorced woman's remarriage with a man in his first marriage fail to register their marriage because of unwelcoming men's family members, their kin relationships tend to be severed involuntarily. Women define their marriage relationship as difference, not deficiency, so that they could formulate more flexible marriage relationships with their husband, irrespective of gender roles as well as a social system. (3) In terms of realizing a value women pursue and ruling out suppression and subordination, women’s remarriage means more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sometimes, but not always do so. Some women unable to ‘depend’ on their ex-husbands, although they wanted to, unwillingly maintain their second marriage, despite more suppressive relationship than that in their first marriage. In addition, in the case the remarried couple have children from their former marriages and the anticipation of forming a ‘normal family,’ they notice discrepancies between an ideal modern nuclear family or an intimate and resource-sharing relationship, and the reality dividing children into each side of the couple, to which the hierarchial relationship is added based on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Remarriage, on the other hand, is the life of practicing women’s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a remarriage relationship, an opportunity to build more couple-centered partnership free from generational conflict, and, furthermore, a changing process with the ideal set of relationship unrestricted by a social system. As such, this study discusses a variety of relationships in (re)marriage and meanings of women’s marriage, depending on the subject’s agency, their aim of life and socio-structural conditions, which shows diversities not only among women but even within an individual’s life, as women experience more than one marriage in their life. By doing so, the study not only attempts to go beyond the limits that the previous research approached to marriage only in an abstract and superficial way or narrowly covered each event or individual, but also points out that Korean researches fell short of articulating the process and reality of women’s remarriage reflecting a new phenomenon of women’s multiple needs and agencies. Also, this study asks for the shift of perspective on remarriage. That is, remarriage should be less an epicenter of social problems than a route to detect qualitative changes of marriage and families, for considering remarriage as a problematic unit of family only brings to a conclusion of women’s adaptation to patriarchal marriage. Therefore, in a various range of conflicting conditions and processes, it should be asked specifically by what and from where patriarchal famil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inciples are challenged.;본 논문은 1990년대 말 이후 여성의 재혼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재혼을 재혼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의 삶 속에서 불만족한 결혼관계를 떠나고 또 다시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여성주체의 행위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여성들이 자신의 재혼관계를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구성해내는 결혼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결혼에 있어 외부의 강제가 사라지고 자신의 배우자를 스스로 결정하는 현대의 결혼은 선택의 개념 속에서 이해되지만, 결혼은 법과 제도, 관습과 규범 등과 관련된 사회제도의 하나이므로 그 선택은 개인이 속한 사회구조적 조건 속에서 행해질 수밖에 없다. 현대의 재혼은 그 대부분이 이혼이라는 의식적 행위에 의한 것이며, 특정한 관계가 잘못되었을 때 개인들이 그 이유를 어디에서 찾는가는 그들의 이후의 관계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혼 및 이혼의 경험과 이혼 후 삶의 현실적 조건들은 재혼결정의 생애사적 맥락을 구성한다. 그러나 기존의 재혼연구들은 재혼자들의 이전의 경험들을 삭제한 채 재혼가족 내부에 국한시켜 재혼을 설명해 왔으므로, 재혼을 하고 관계를 만들어가는 주체의 행위성은 드러나지 못했다. 그로 인해 가부장적 결혼을 경험했던 개별 여성들이 왜 또 다시 결혼을 하며 그것을 통해 어떠한 관계를 만들어나가는지는 설명되지 못했다. 여성주의는 결혼을 여성억압적 제도로 설명해 왔으므로 여성들이 실제의 결혼경험에도 불구하고 다시금 결혼관계를 맺는 행위를 여성들의 관점에서 설명해 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여성의 재혼 경험을 그들이 살아가는 구체적인 사회구조적 조건을 배경으로 전혼과 이혼 후의 삶, 그리고 재혼 후의 삶이 다양한 층위에서 연관되는 과정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여성이 재혼을 하게 되는 맥락과 사고, 그들이 구성해내는 재혼관계의 양상들, 이혼을 통한 결혼의 누적적 경험이 가부장적 사회에서 살아가는 여성의 삶에서 갖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7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전남지역 중소도시의 이혼과 재혼경험이 있는 30-40대 여성 15명을 심층면접하였다. 이들 외에 초혼여성 및 50대 재혼여성, 사별 후 재혼여성, 그리고 이들 초·재혼여성의 남편 등 19명의 사례를 예비조사와 보조조사 과정에서 면접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은 이혼자로서 살아가는 삶으로부터 이탈과 재혼으로 끌어들이는 흡인이라는 두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가운데 또 다시 결혼을 한다. 이혼 후 생계와 양육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겪는 경제적·사회적 어려움, 이혼여성을 ‘주인없는 여자’로 바라보는 남성들의 편견과 태도, 결혼을 당위로 여기는 친족의 결혼압력, 커플을 이루고 있는 여성에게 남성 자녀에 대한 양육 의무를 부과시키는 현실은 이혼한 여성들이 서둘러 재혼하도록 내모는 힘이다. 반면, 친밀성에 대한 욕구과 ‘정상가족’에 대한 동경은 그들을 재혼으로 진입하도록 이끄는 힘이다. 그러나 여성들은 하나의 단순한 이유만으로 재혼하지는 않으며, 이러한 부정적·긍정적 힘이 동시에 결합하여 작용한 결과 재혼관계를 형성한다. 둘째, 여성들은 서로 다른 재혼의 결합양식 속에서 자신의 자원과 이혼경험의 해석, 재혼에 대해 가졌던 기대 등에 따라 재혼관계를 구성해나간다. 이혼의 경험을 자신과 상대와의 관계 속에서 사고하는 여성들은 또 다른 결혼에서는 잘못된 관계를 반복하지 않으려는 노력 속에서 결혼관계의 질적 변화를 추구하는 반면, 형태의 깨어짐을 중심으로 이혼을 바라본 이들에게 재혼관계는 어떤 식으로든 유지되어야 하는 틀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전자의 경우, 재혼관계에 대해 더 넓은 범위에서 관계를 협상할 수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 협상의 여지는 축소된다. 여성들의 재혼관계는 근대결혼의 가치 및 부계혈연중심 가족주의에의 동조와 이탈 정도에 따라 순응, 갈등, 변형, 단절, 해체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혼 후 자녀양육을 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이들은 재혼을 통해 남성에 대한 의존을 기대했고, 전업주부로서 규범적 역할수행에 매진함으로써 재혼관계를 만들어갔다(순응). 성별분업이 실현되는 핵가족의 이상 속에서 재혼을 했던 여성들은 자신 혹은 남편의 전혼자녀로 인해 갈등을 겪었지만, 재혼에서 낳은 자녀에 대한 보살핌의 필요와 전업주부로서의 경제적 취약성이 중첩되면서 쉽게 관계를 떠나지 못하였다(갈등). 집안 형편의 차이 혹은 남편의 출세에 따른 권위적 태도로 인해 전혼에서 억압적 경험을 했던 여성들은 남편에게 의지하지 않기 위해 재혼 후에도 일하는 것을 당연시 했고, 남편과 관계없이 자녀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내면화했으며, 긴밀한 모계중심친족관계를 만들거나 친정에 대한 남편의 태도에 대한 화답으로 자발적인 시가친족관계를 맺었다(변형). 참고 인내하는 결혼관계를 거부하고 이해와 소통에 절대적 의미를 부여하면서 전혼관계를 떠나 새로운 관계를 만들었던 경우, 더 이상 참지 않고 산다는 것이 중요한 지향점이 되었고, 관계 속에서 나의 욕구를 우선적으로 배려하고자하므로 부부관계에 위협을 가하는 여타의 관계들은 협상되기보다는 단절되었다(단절). 초혼남성과의 동거에서 관계의 제도적 승인 획득이 좌절된 경우, 친족관계는 비자발적으로 단절되었고, 스스로가 자신의 관계를 결핍이 아닌 다름으로 바라보고 이를 또 하나의 결혼관계로 수용함으로써 제도나 자녀, 젠더규범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관계로 전환되었다(해체). 셋째, 여성들의 재혼은 그들이 추구한 가치의 실현, 억압과 종속의 부재라는 점에서 보다 주체적인 것이 되기도, 그렇지 못한 것이 되기도 한다. 어떤 여성들에게 재혼은 이전까지의 삶에서 불가능했던 ‘의존’ 가능성을 모색하는 가운데 또 다시 이혼하지 않기 위해 초혼보다 더 불만을 참고 견디는 억압적 관계로의 회귀였다. 전혼자녀와 함께 ‘정상가족’을 이루고 근대 핵가족적 삶을 실현하고자 했던 재혼은 많은 경우, 공유와 친밀성의 장으로서 이상화된 가족상과 ‘내 자식’과 ‘네 자식’이 구분되는 현실 간의 괴리, 성별분업에 따른 위계적 속성이 중첩되는 갈등과 종속의 장이 되곤 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 재혼은 관계 속에서 ‘자립/자율’을 실천하는 삶, 혹은 세대관계를 배제한 채 부부중심의 동반자관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 더 나아가 제도적 속박으로부터 탈피하여 자유로운 관계를 만들어가는 변화의 과정이기도 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본 연구는 여성의 삶 속에서 결혼이 여러 번의 경험이 될 때, 한 개인의 생애 내에서도 주체의 행위성과 지향 그리고 각자가 처해있는 사회구조적 조건들에 따라 각각의 결혼관계가 동일하지 않게 구성되어가며, 그 속에서 서로 다른 결혼의 의미가 산출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이는 결혼이 추상적 수준에서 사고되고 한 시점에서의 개별 사건으로 접근되는 것의 한계를 밝히고, 과정을 생략한 채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재혼연구가 여성들의 다양한 욕구와 행위성이 연루된 새로운 현상으로서의 여성의 재혼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재혼을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발생하는 처소가 아닌, 결혼과 가족의 질적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창구로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재혼을 갈등이 양산되는 재혼가족의 문제로 보는 한 그에 대한 논의는 또 다시 가부장적 결혼에의 적응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으므로, 오히려 다양한 갈등들이 야기되는 조건과 과정을 통해 가부장적 가족구성 및 운영원리가 어디에서 도전받고 있는지를 탐색해야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배경 = 7 1. 지역적 배경 = 7 2. 이론적 논의 = 12 C. 연구방법과 연구참여자 = 30 1. 연구방법 = 30 2. 연구참여자 = 31 Ⅱ. 여성의 이혼경험과 재혼 = 39 A. 전혼관계의 단절 = 39 1. 결혼생활에서의 불만족과 이혼 = 39 2. 결혼에 대한 사고와 이혼과정 = 45 B. 이혼과 재혼사이 = 50 1. 생계부양자 되기 = 50 2. 어머니노릇의 지속과 단절 = 53 C. 재혼관계의 형성: 재혼이 이루어지는 맥락 = 58 1. 이혼한 삶으로부터 이탈 요인 = 59 가. 경제적 어려움 = 59 나. 이혼여성에 대한 편견 = 61 다. 친족의 결혼압력 = 64 라. 핵가족 단위의 양육 책임 구획 = 67 2. 재혼관계로의 진입 요인 = 70 가. 친밀성에 대한 욕구 = 70 나. 정상가족에 대한 동경 = 74 Ⅲ. 재혼관계에서의 갈등과 협상 = 77 A. 순응: 여성의 규범적 역할수행과 가족주의의 결합 = 77 1. 재혼에 대한 기대차이와 억압적 결혼관계 = 78 2. 친족개입의 구조화와 세대관계의 수동적 수용 = 82 B. 갈등: 성별분업 가치의 지속과 가족주의의 균열 = 90 1. 내 자식이 아닌 전혼자녀 = 90 2. 한 가계 내의 두 계층 = 95 3. 은폐된 가족 내 전선 = 99 C. 변형: 경제적 의존의 부재와 자발적 친족관계 = 102 1. 양육자원으로서의 모계친족동원과 부양의 결합 = 102 2. 부부간 친밀성의 확장으로서의 친족관계 = 108 D. 단절: 자신의 욕구에 대한 배려와 조건화되는 세대관계 = 112 E. 해체: 관계승인의 좌절과 자유로운 결혼관계 = 116 1. 관계의 제도적 승인의 추구 = 117 2. 승인의 좌절과 자유로운 결혼관계 = 121 Ⅳ. 여성주체와 결혼의 의미구성 = 124 A. 경험의 규범적 구획 = 124 1. 결혼경계의 주관적 설정 = 124 가. 경험에 대한 명명 = 124 나. 결혼의 현실과 제도의 원용 = 129 2. 여성주체의 위치 변화와 결혼에 대한 상이한 진술 = 134 가. 결혼이야기에 있어서의 주체의 위치 = 134 나. 생애경험의 축적과 진술의 변화 = 139 B. 주체의 지향과 결혼의 이질화 = 143 1. 정체성의 선택적 수용과 결혼의 재구성 = 143 가. 모성의 맥락성 = 143 나. 아내지위/역할의 자의적 구성 = 148 2. 전혼자녀관계 유지양식의 협상 = 152 가. 재혼과 무관한 전혼자녀관계 = 152 나. 재혼에 따른 전혼자녀관계 단절 = 155 C. 여성의 재혼과 결혼의 의미구성 = 157 1. 남성에 대한 의존 = 157 2. 삶의 정상성 회복 = 159 3. 관계 속에서의 자립/자율 = 162 4. 부부중심의 평등한 동반자 = 166 5. 규범적 속박에서 자유로운 관계 = 168 Ⅴ. 결론 = 172 참고문헌 = 180 ABSTRACT = 1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69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성의 재혼경험을 통해 본 결혼의미의 구성과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전남지역 중소도시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Process of the Meaning Construction of Marriage from Remarried Women’s Experiences in Small Cities, Jeonnam Province-
dc.creator.othernameJahng, Hyun Jung-
dc.format.pageⅶ, 19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