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희-
dc.contributor.author이은영-
dc.creator이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88-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as it paid attention to the issues on energy and climate chang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focusing on the promotion of energy efficiency policies. Among energy efficiency policies, energy labeling program,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inducement to the selection of highly efficient devices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energy performance to consumers, comes into operation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for a long time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lans for the system improvement by evaluation of the achievements and the limitation shown in the process of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taking effect in Korea. In this study, it examined features of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in Korea in the aspect of legislative system and analyzed participation of the stakeholders and the feedback effect in the process of program enforcement, the effect of market transformation towards highly efficient devices owing to the program enforcement. Especially through sample cases study, it approached in a concrete way the consumer participation and the effect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program enforcement. In this study, the method used for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the process evaluation method to define the path to occur the effect of policy and the feedback function in the process of program enforcement.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s: First, the achievement of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as a legislative system is that even it was late to take effect compared with the one of advanced countries, it could achieve lots of developments in the quantitative aspect as it applied compulsory or autonomous programs in details as per the characteristic of device and also applied the program to many articles through constant revisions of the regulations. On the contrary, the limitation appeared in the extension of the applied articles was the introduction of home appliance-centered devices. It means that the introduction of efficienc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s for informative devices such as TV, computers, network communication devices of which dissemination spreaded fast in these days are still insufficient. This shows many rooms for further improvements in the program. Second, it showed that consumer organization to represent consumers of the people concerned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rogram enforcement and played the core role i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s as the extension of articles applied by the efficiency management. It showed that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achieved easily when interactions among the people concerned are relatively cooperative and the government has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 organization. These sample cases prove that leading participation of consumers resulted in improvements of the program.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 organization caused the result not to induce conflicts between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in the introduction of articles to be applied by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so to have the tendency to proceed the process of new introduction of articles to be applied by the Program smoothly. Third, even it is the analysis result just with the data for sales and production of limited devices only, it showed that the enforcement of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delivers to have positive effect on market transformation towards highly efficient devices. That is, the strengthened efficiency standards resulted in the optimization of the devices. Also even through the strengthened efficiency standards could not increase the market share of those highly efficient devices in the short term, it showed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of the highly efficient devices in the long term. This result shows that it needs continuous strengthening of the efficiency standards of the devices for market transformation in the future. Based on above suggestive results, some political proposals can be given as in the followings in relation to the enforcement of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First, for extension of the articles to be applied by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it needs the study of introduction of informative devices as well as efficiency standards and efficiency measuring methods. At this present, in most cases of informative devices, they are controlled about the standby power only but it seems that the program should be improved to raise the energy efficiency in the use about informative devices, too, of which use time is long and power consumption is so high in the operation. it needs to extend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through sample cases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informative devices in other countries. Second, the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for consumers should be extended in the processes of enforcement and evaluation for energy policies including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Regarding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it has a tendency of that consumers have been neglected even though they were very important subjects to influence on the consumption of energy. The case of consumer's leading participation in the processes of planning, enforcement, evaluation for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and energy policies to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will be able to pave the way for extension of consumer's participation opportunity in future operations of energy efficiency policies including this program. Third, it needs further study of whether the strengthened energy efficiency standard can act as a direct factor for efficiency of devices or for increase of the market share of those highly efficient devices or not. For factors to have influence on market transformation, there are many ones such as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for energy efficiency, the recognition of business operators, government policies of pricing or taxation, etc. in addition to the efficiency standards. Also there exists barriers to reduce the energy saving effects in the market and study of these factor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too. Lastly, it needs the evaluation by multilateral approaches about energy efficiency policies including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Especially, it needs study of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sumers. Because the strengthened energy efficiency standards can bring the convenience of energy saving due to increased efficiency of devices, while it can be accompanied with cost sharing issue to consumers. If the unconditionally strengthened energy efficiency standards will be reflected to pricing of products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consumers, then it will induce consumers to select rather low efficient devices, by which may it result in the reduction of energy efficiency at the end. For maximized effect of the Energy Standards and Labeling Program, it will require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to be reflected by the roles of market such as consumer preferences, proper method of information and energy pricing, etc.;최근 에너지 및 기후변화 이슈가 부각되면서, 세계 여러 국가에서 에너지효율화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국제적으로 에너지 라벨링 시스템에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에너지라벨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어, 그린상품을 증명하는 중요한 시장의 도구로서 인식되고 있다. 에너지효율표시제도는 소비자에게 에너지성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효율기기의 선택을 유도하여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이 오래전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대표적인 시장전환 수단인 에너지소비효율표시제도는 에너지효율정책 측면에서는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기술 규제정책인 동시에 소비자정책 측면에서는 소비자로 하여금 에너지효율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제도로서 소비자 입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에너지효율표시제도는 에너지사용량과 성능에 대한 정보제공이라는 녹색소비 관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는 1992년부터 에너지효율관리제도라는 이름으로 시행되고 있고 있으며, 기술이나 시장 등의 여건 변화가 제도에 반영되어 지속적인 개정을 거쳐 발전해 왔다. 이 제도는 에너지효율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확대·강화될 제도이므로, 제도의 기획뿐만 아니라 제도 시행 과정에 대한 평가가 다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장전환과 이해관계자의 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제도의 성과와 한계점 등을 평가함으로써 소비자적 시각에서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제도적 차원에서 한국의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사례연구를 통해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시행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와 그로 인한 영향과 피드백 효과를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제도 시행으로 인한 고효율기기로의 시장전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평가방법은 제도 시행 과정에서 정책의 효과를 발생시킨 경로와 피드백 기능을 밝히는 과정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에서 에너지효율관리제도라는 양적 측면에서 많은 발전을 거두었다. 선진국에 비해 제도 시행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 개선을 위한 규정의 지속적인 개정을 통해 많은 품목을 대상으로 제도를 적용하였다. 또한 기기의 특성에 따라 의무적 또는 자율적인 세부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많은 기기의 에너지효율을 관리하고 있었다. 효과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표시방법 개선 등 소비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제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상 품목의 확대에서 나타난 한계점으로는 가전기기 위주의 품목 도입을 지적할 수 있다. TV,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기기와 같이 최근 빠르게 보급이 확산되고 정보기기에 대한 효율 기준 및 표시제도 도입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이는 향후 제도 개선의 많은 여지를 보여준다. 둘째, 사례연구 결과 이해관계자 중 소비자를 대표하는 소비자단체가 제도 시행과정에 참여하여 효율관리품목의 확대라는 제도적 개선을 이루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관계자간의 상호작용이 비교적 협력적일 때, 그리고 정부가 소비자단체와 협력적 관계를 가질 때 제도의 개선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례는 소비자의 주도적인 참여가 제도의 개선을 이끌어 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소비자단체의 적극적인 개입은 효율품목 도입 시 기업과 정부 간에 갈등을 유발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여 효율품목의 신규 도입 과정이 원만하게 진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시행은 고효율기기로의 시장전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자료의 미비로 인해 제한적인 기기의 판매 및 생산량 자료만을 가지고 분석한 결과이긴 하지만,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시행에 따른 효율기준의 강화는 기기의 고효율화로 이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효율기준 강화가 단기적으로는 고효율기기의 시장점유율을 높이지는 못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에서도 고효율기기의 점유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시장전환을 위해 지속적인 기기의 효율기준 강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을 근거로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시행과 관련하여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품목 확대를 위해, 정보기기의 도입을 위한 연구와 효율 기준 및 효율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현재 대다수의 정보기기들은 대기전력을 위주로 관리하고 있는데, TV, 컴퓨터와 같이 사용시간이 길고, 작동 시 전력소비량이 많은 정보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들에 대해 사용 시 에너지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에너지효율관리제도를 비롯하여 에너지정책을 시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소비자의 참여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에너지효율화정책이나 에너지가격정책에서 에너지의 최종 사용자이자 비용 지불자인 소비자는 에너지 소비량을 좌우하고 매우 중요한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되어온 경향이 있다. 에너지효율관리제도를 포함하여 소비자와 관련이 많은 에너지정책의 기획, 시행, 평가과정에 소비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네트워킹 구축을 통해 효과적인 파트너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제도 개선에 기여한 사례는 에너지효율과 정책을 운영하는 데 있어 소비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데 있어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에너지효율기준의 강화가 기기의 효율화 또는 시장에서 고효율기기의 점유율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고는 있으나, 이것이 직접적인 요인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장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효율기준의 강화와 같은 에너지효율관리제도 시행 외에도 소비자의 에너지효율에 관한 지식이나 인식, 사업자의 인식, 정부의 가격이나 조세 정책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다. 시장에는 에너지절약효과를 감소시키는 장벽이 존재하므로, 추후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 시행에서의 이해관계자의 참여로 인한 피드백 역할, 그리고 시장전환 요인 중 에너지효율기준과 고효율기기의 시장전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효율기기로의 시장전환이 되기 위해서는 라벨링 프로그램과 함께 적절한 효율기준의 설정,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올바른 정보제공, 인센티브, 소비자에게 정보를 주기에 적절한 라벨 형태 등 각종 프로그램이나 시책이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시장전환 프로그램과 시장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효율관리제도를 포함한 에너지효율정책에 대한 평가는 다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제까지는 주로 제도 시행에 따른 에너지절감량을 추정하는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제도 시행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대한 분석과 함께 소비자와 시장의 역할을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소비자적 관점에서의 평가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에너지효율화가 소비자의 선호에 어긋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에너지효율기준의 강화는 기기의 효율 향상으로 인해 에너지절약이라는 편익을 가져올 수 있는 반면, 기업, 소비자에게는 비용부담을 수반할 수 있다. 소비자의 구매 가능성에 대한 고려 없이 무조건적인 효율기준의 강화가 제품 가격에 반영될 경우, 표시정보에 무관심한 소비자들은 에너지효율이 낮은 저렴한 기기를 구입하게 되어 오히려 기기의 에너지효율을 저감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에너지효율표시제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선호, 적절한 정보 방식, 에너지가격 등 다른 시장전환 요인과 시장의 역할을 반영한 제도 시행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정책과 정책 평가 = 7 1. 정책과 제도의 개념 = 7 2. 정책평가 = 21 B. 에너지효율표시제도와 시장전환 = 36 1. 표시제도(labelling program) = 36 2. 시장전환 프로그램 = 44 C. 에너지효율정책 = 58 1. 한국의 에너지효율 = 58 2. 국제사회의 에너지효율정책 동향 = 60 D. 에너지효율기준 및 효율표시제도 현황 = 66 1. 한국의 에너지효율표시제도 = 67 2. 선진국의 에너지효율기준 및 에너지효율표시제도 현황 = 72 Ⅲ. 연구방법 = 83 A. 연구대상 = 83 B. 연구범위와 연구내용 = 84 C. 연구분석의 틀 = 87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8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90 A.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법제도적 성과 = 90 1.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의 제정과 내용의 변화 = 90 2. 에너지효율관리제도 규정의 시기별 변화와 특징 = 94 3.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법제도적 성과와 한계점 = 113 B.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 개선 = 119 1. 정책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의 참여로 인한 제도 개선 사례 = 119 2. 정책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의 참여의 사회적 성과 = 144 C. 에너지효율표시제도 시행과 고효율기기로의 시장전환 = 148 1. 에너지효율기준 강화와 고효율기기의 시장점유율 = 148 2. 주요 기기의 에너지효율기준 강화와 기기의 효율화 = 156 Ⅴ. 결론 및 제언 = 171 A. 요약 및 결론 = 171 B. 제언 = 176 참고문헌 = 179 부록 = 193 ABSTRACT = 2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535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효율기기의 시장전환 측면에서 본 에너지효율표시제도 평가-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ergy Labeling Program in the Aspect of Market Transformation-
dc.creator.othernameLee, Eun Young-
dc.format.pagexi, 21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