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0 Download: 0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Title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Other Titles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Authors
최은실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의 정서, 사회성, 심리적 건강에 어떠한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예비 연구에서는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척도 마련을 위해 Penza-Clyve와 Zeman(2002)가 개발한 EESC(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ldren)를 번안하여 한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4-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정서인식과 정서표현 하위영역), 내현화 증상 척도(우울, 불안), 사회성척도(공격성, 또래관계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에 대한 한국 초등학생들의 성별 평균 점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 내현화 증상 척도, 사회성 척도 간의 상관 분석을 통해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예비 연구가 진행된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의 구인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요인 부하량이 낮거나 서로 다른 요인으로 묶이는 네 문항을 확인하여 문항 삭제 과정을 거쳤다. 문항 삭제 후 남은 총 12문항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재실시하였고 그 결과 2요인으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하위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의 요인 계수도 적절한 수준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2.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의 공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 내현화증상 척도, 사회성 척도와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판 정서지능 척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인식 요인과 정서표현 요인과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내현화 증상 척도인 우울, 상태불안, 특성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사회성 척도인 또래관계기술척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공격성척도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의 공준 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단어 교육을 기초로 한 정서인식과 정서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여러 정서이론을 기초로 하여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많은 정서 능력 향상프로그램의 비판점의 하나가 정서 이론과 관련이 없는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 내용을 포함하고 있거나 정서교육의 기초인 정서단어의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단어의 교육을 프로그램 초반에 배치하여 정서 능력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며, 정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능력을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총 16회기의 프로그램 활동을 개발하였다. 2.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6학년의 아동 중,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이 부족한 아동을 선별하고 그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선정하고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실험 결과는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design ANOVA)을 실시하였다. 3. 프로그램 종결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입 성과가 여러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다양하게 규명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비교 집단 간의 사전-사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경우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과 각 하위 요인인 정서 인식 부족 요인과 정서 표현 부족 요인에서 아동의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또래관계기술과 심리적 건강에서 긍정적인 향상이 있었으며,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 집단의 경우에는 그러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예비 연구에서는 아동기의 정서 능력을 적절히 측정할 도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Penza-Clyve와 Zeman(2002)가 개발한 EESC(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ldren)를 번안하여 한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봄으로써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적절한 측정도구가 이용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본 예비 연구에서 정서인식, 정서표현 능력이 우울, 상태불안, 특성불안과 같은 내현화 증상들과의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또래관계기술, 공격성과 같은 사회성과도 관련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정서 인식 및 표현 척도를 통한 정서 능력이 결핍된 아동을 선별하여 그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정서 능력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아동들은 우울, 불안, 또래관계 등 여러 가지 개인 내적, 외적인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정서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로 인해 사회성과 우울, 불안 등의 내현화 증상도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정서행동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의 치료 교육적 접근에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의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은 정서 단어 교육이 강조된 프로그램으로 정서 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서 단어의 인지에 초점을 두었다. 프로그램의 진행 일지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프로그램이 실시되면서 아동들의 정서 단어 활용이 능숙해지고 세분화되면서 아동들은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명명화하고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다섯째, 본 프로그램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아동들의 얼굴 표정을 매 회기마다 찍어서 자신의 얼굴 표정과 다른 구성원의 얼굴 표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활동과 더불어 6가지 대표 정서에 해당하는 얼굴 표정 연습 회기도 진행시켜 적절한 얼굴 표정 짓기와 얼굴 표정 해석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자신의 정서에 알맞은 얼굴 표정을 짓는 연습은 대인관계에서 사회적 단서로 작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얼굴 표정을 적절히 해석하는 능력은 대인관계에서 타인의 의도, 정서를 이해하는 기본이 되는 능력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얼굴 표정 짓기와 해석하기를 강조하여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프로그램에서는 시도되지 못했던 정서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여섯째, 기존의 정서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경우에 정서 능력 보다는 일반적인 사회성 훈련이나 대처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춰져 있어왔다. 정서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서도 정서 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서 단어 교육, 정서 인식, 정서 표현 능력을 강조하였다기 보다는 너무 많은 정서 능력을 다루고 있어 정서 인식과 정서 표현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하지만, 본 프로그램은 정서단어 교육을 기초로 한 자신의 정서 인식, 타인의 정서 인식, 정서 표현, 실생활 응용으로 이루어진 정서능력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서능력이 부족한 아동을 선별하여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정서인식과 표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정서능력의 향상으로 인한 사회성과 심리적 안정성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In this work,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for upper level elementary-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problems was developed to improve emotional ability, social abi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To validate the efficacy the developed program, the EESC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 suggested by Penza-Clyve and Zeman(2002) was adopted in the preliminary study.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Korean version EESC was applied to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dentify reliability and validity by analyzing a community sample of 545 from fourth- to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preliminary analyses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moderat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orean EESC. The results of the analyses provided initial support for concurrent validity for the Korean EESC factors evidenced by relations with emotion measur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Korean EESC, the internalizing symptoms, and the social functioning. The developed program was an emotion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 emphasized on the emotional lexicon education. Korean EESC, Child Depression Inventory (C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nd social functioning measure were assessed in thirty participants group and in thirty waiting list group. Time variation of the group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in Korean EESC, CDI, STAIC, and social functioning measure. However, the waiting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is results suggest that program participants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enhancements of emotional ability and social functioning and improvement psychological health.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n 8-week emotional lexicon education based on the emotional training intervention may be effective for reducing internalizing symptom and increasing emotional ability and social ability in upper level elementary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nce no applicable EESC is available in Korea, the the EESC by Penza-Clyve and Zeman (2002) was applied. As the reliablity and validity of the EESC by Penza-Clyve and Zeman (2002)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EESC to the Korean elementary students, the EESC can be appropriate for assessing the effects of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2) In the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ESC,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is highly related with internalizing symptoms and social functioning. 3) The students having emotional problems are selected from the EESC.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emotional lexicon education was intensively applied to the selected students. The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the enhancement of the emotional abilities and on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lizing symptoms and the social functioning. The program enabled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emotions by words in detail. 4) The program trained the students to show facial expression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states by presenting their own facial photographs. This drill could be conducive to the right expression of their emotions and the right interpretation of that of other students'. Therefore, the program enhanced the abilities presenting their emotions dramatically. This results have never been reported from the existing programs. 5)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This was never tried in the existing other emotion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s since the existing other program concentrated on improvement of the general sociality and coping strategy. Moreover, this program underscored the ability improvement to identify and express their own emotions and to interpret other's emotions by looking into other's facial expression via the practice based on the emotion lexicons, compared with the existing other programs. Therefore, whe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work are applied to the children with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difficulties, this program can induce the achievement of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improvement. This results in the soci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of the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