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최경애-
dc.creator최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0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6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053-
dc.description.abstract당뇨병은 자가관리가 필요한 노인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당뇨병 치료의 목적은 자가관리를 통하여 정상혈당을 유지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현재 자가 관리에 관한 개입은 당뇨병 교육은 지시전달 위주의 일방적 교육방식으로 참여자의 지식증가는 있을지언정 행동변화와 같은 자가관리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당뇨병은 노인 환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개입 프로그램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Rothman과 Thomas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향상을 위하여 임파워먼트 관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입연구 방법은 총 5단계로 문제분석과 프로그램 개발 계획, 정보수집과 통합, 디자인, 초기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실험, 평가와 수정프로그램 개발단계를 적용하였다. 제1단계는 문제 분석과 프로그램 개발 계획단계로서 문헌고찰과 대상자의 욕구조사를 통하여 문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제2단계는 프로그램 목적에 맞는 성공적인 모델의 요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통합하는 과정으로 자가관리 프로그램에 반영할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설계하였다. 제3단계 프로그램 디자인 단계에서는 앞 단계에서 도출한 내용을 반영하여 1차 프로그램과 개입 프로토콜을 설계하였고, 전문가 포커스 집단과 참여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교육과 지지집단으로 주1회 90분간 8회 운영되는 초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4단계에서는 초기 프로그램을 실천 현장에서 적용하는 실험 단계를 거쳤으며, 제5단계에서는 초기 프로그램의 적용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초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으로 당뇨병 교육집단을 비교집단1로 어떤 개입도 받지않는 집단을 비교집단2로 설정하여 자가관리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유사 실험 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로서 비동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design)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지속성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인 임파워먼트 관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은 자가관리가 향상되었고 당화혈색소(HbA1c)가 감소하고, 삶의 질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상하여 비교집단1인 당뇨병 교육 집단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구성요인인 당뇨병 지식, 우울,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기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더 발전된 자가관리 수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입연구 방법을 활용한 임파워먼트 관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은 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근거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이라는데 의의가 있다.;Diabetics is a chronic illness where patient need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managing his own illnes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hrough self-management, the normal blood glucose level is maintained and complications are reduced. The Ultimate goal of this self-managemen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Until the present, the unique way of intervention on self-management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diabetes education in general, however, its limitation lies in that there is nothing put into action despite the increase of knowledge. Therefore, this research is for improvement of self-management for elderly diabetics at high risk.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atient-centered program from empowerment perspective by making use of Rothman and Thomas'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The first step of the program development is to identify a problem through in-depth study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need-assessment of the participants . And then carry out the procedures of conducting problem analysis and setting a goal and objective of the program. When all of the above are done properly, the program planning is to be implemented. Second step is to identify the functional elements of successful models and gather the information about this. Program formation which will be reflected in self-management program is designed as part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synthesis. Program design is the third step which designs both preliminary program and intervention protocol, specifying procedural elements of the intervention by reflecting the contents that have been deducted from previous steps. Program that has been formed first has been complemented and revised through running professional focus group. In order to develop the patient-centered program, a preliminary program has been developed in advance which reflects the participant's needs that comprises of education and support group, being operated eight times for 90 minutes once a week. In the forth step, experiment stage, where preliminary program is to be applied in the field has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racticality and usability of preliminary program, each of the three groups are compared to get to know the difference of changes which affects self-management, for the three ones, the first diabetics education group was assigned as comparative group 1, the second group with no intervention set as comparative group 2 and then the third experimental group as preliminary program. Changes that affect self-management has also been compared. For this, quasi-experimental design which is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design has been implemented and in order to evaluate the program durability, follow-up test has been done three months after termination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it, self-improvement has meliorated, causing positive effects in managing blood glucose with decrease of HbA1c. Accordingly,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enhanced as time passing by compared to diabetes education group, conclusively proving that it is an effective program in empowerment self-management. However, it is shown that it is not such an effective program on diabetes knowledge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rogram. Based on this result, more advanced self-management program has been developed by complementing and revising preliminary program. Therefore, elderly diabetic's self-management program implemented by Intervention Research in empowerment perspective is quite meaningful in that it is evidence-based program development which will contribute in replicating the intervention under field conditions for pati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7 C.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노인 당뇨병의 이해 = 9 1. 노인 당뇨병의 특성 = 9 2.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 10 가. 자가관리의 개념 = 10 나. 자가관리의 영향요인 = 12 B.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천동향 = 18 1. 국내 = 18 2. 국외 = 19 C. 프로그램 적용 이론 : 임파워먼트 모델(Empowerment Model) = 21 D. 프로그램 개발 과정 모델 : Intervention Research(개입 연구) = 26 Ⅲ. 연구 방법 = 30 Ⅳ. 연구 결과 : 프로그램 개발 = 32 A. 제1단계: 문제분석과 프로그램 개발계획 = 32 1. 문헌 고찰을 통한 노인 당뇨병 환자의 문제와 욕구 = 32 2. 욕구조사를 통한 노인 당뇨병 환자의 문제와 욕구 = 36 가. 조사대상 및 기간 = 36 나. 조사방법 및 자료수집 = 36 다. 분석방법 = 36 라. 조사결과 및 논의 = 37 3. 제1단계 문제분석과 프로그램 개발계획 결론 = 54 B. 제2단계: 정보수집 및 통합 = 57 1. 국내 문헌 고찰 = 57 2. 국외 문헌고찰 = 63 가. 국외 노인대상 자가관리 집단 프로그램 = 64 나. 국외 임파워먼트 자가관리 프로그램 = 70 3. 임파워먼트 실천과정 = 71 가. 실천요소 = 71 나. 실천과정 = 73 다. 임파워먼트 실천방법 = 79 4. 제2단계 정보수집과 통합단계 결론 = 82 C. 제3단계: 디자인 = 86 1. 1차 프로그램 구성 = 86 가. 프로그램 형태 = 86 나. 프로그램 회기 = 90 다. 프로그램 참여 인원 = 90 라. 자가관리 프로그램 내용 = 90 마. 프로그램 회기별 구성 내용 = 91 바. 프로그램 평가 = 95 2. 전문가 포커스 집단 운영 = 95 가. 포커스 집단 운영 = 95 나. 전문가 포커스 집단 내용분석 결과 = 97 3. 참여자의 욕구 평가 = 104 4. 초기 프로그램 구성 = 107 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 108 나. 프로그램 개입 프로토콜 = 108 5. 제3단계 디자인 단계의 결론 = 110 D. 제4단계 : 초기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실험 = 112 1. 현장실험 준비 = 112 가. 실험 장소 및 절차 = 112 나. 대상자 모집 = 113 다.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비교집단 프로그램) = 114 2. 현장실험 실행 = 115 가. 진행자 = 116 나. 참여자 = 116 다. 실험집단 프로그램 진행 = 119 라. 실헙집단 프로그램 과정 = 119 3. 제4단계 초기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실험 결론 = 121 E. 평가 및 수정 프로그램 개발 = 123 1. 현장실험 평가 준비 = 124 가.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실험 설계 = 124 나. 프로그램 평가 질문 = 127 다. 측정 도구 = 128 라. 분석 방법 = 133 2. 현장 실험 평가 = 133 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동질성 분석 = 133 나. 현장실험 평가 결과 분석 = 137 다. 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평가 = 150 3. 수정 프로그램 개발 = 161 가. 임파워먼트 측면 = 161 나. 프로그램 내용 측면 = 162 다. 프로그램 운영측면 = 164 4. 제5단계 평가 및 수정프로그램 개발 결론 = 167 Ⅴ. 결론 및 제언 = 169 A. 결론 = 169 B. 함의 = 171 C. 제언 = 176 1. 실천을 위한 제언 = 176 2.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 = 179 참고문헌 = 181 부록 = 195 부록-1 전문가 포커스 집단 분석내용 = 195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 199 부록-3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향상을 위한 임파워먼트 관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 200 [3-1]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평가 = 201 [3-2] 자가관리 실천 평가 = 205 [3-3] 당뇨병 지식 평가 = 206 [3-4] 우울(CES-D) = 207 [3-5] 삶의 질 평가 = 208 [3-6] 당뇨병에 대한 사회적지지 = 210 부록-4 나의 자가-관리 실천 계획표 = 211 부록-5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 평가지 = 212 부록-6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입 프로토콜 = 214 부록-7 임파워먼트 관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 과정기록 = 217 ABSTRACT = 2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03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개입연구 방법을 활용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임파워먼트 관점 중심-
dc.title.translatedElderly Diabetic's Self-management Program Implemented by Intervention Reserch-
dc.creator.othernameChoi, Gyong Ae-
dc.format.pagexiii, 23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