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9 Download: 0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연구

Title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 Subject to Natural Objects
Authors
하민수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색채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시지각 반응의 결과이며 이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 요인으로 환경, 연령, 성별, 유행 등이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색을 이용하는 어느 분야에서든지 색채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늘 연구의 대상이었다. 효과적인 색채 사용은 생산자의 사용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연구에서 시작되고 그것은 거대한 시장을 움직이는 힘이 된다. 본 연구자는 색지각과 관련된 인간의 반응 중 ‘선호’와 ‘기억’에서 연구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모색을 시도했다. 색채에 관한 인간의 선호는 과거 색채에 관한 학문이 정립되기 이전부터 존재한 인간의 당연한 본능이며 색 지각을 통한 정보의 기억은 인간 생리적인 반응이며 동시에 감정적인 반응이다.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연구’는 13가지 자연물을 대상으로 한 선호색과 기억색을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 분야에서의 사용자와 생산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개선시키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색채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더 높은 차원의 연구를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논문의 구성은 크게 이론 조사와 실험 조사로 나뉜다. 이론 조사 부분에서는 색채의 개념과 지각반응, 색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선호색과 기억색에대한 의미를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실험 조사에서는 실제 13가지 자연물, 하늘, 호수, 바다, 새싹, 잔디, 은행잎, 벼, 개나리, 단풍잎, 석양, 태양, 구름, 눈을 대상으로 선호색과 기억색을 조사하여 NCS와 CIE(LAB)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호색과 기억색의 연구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발전적인 노력으로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가진다. 첫째, 10명에서 30명 내외였던 기존의 선호색과 기억색의 연구의 실험 인원을 남자 50명, 여자 50명으로 표본 집단의 크기를 늘렸다. 이를 통해 중심 극한의 정리를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표본 집단을 통해 모집단을 추정하는 데 있어 더나은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둘째, 전체 표본 집합에 대한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분석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남녀의 차이를 분석하여 성별이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연구결과에 변인으로 작용하는 지 알아보아 실험의 다양성을 높였다. 셋째, 대부분의 실험이 화상인터뷰를 통한 설문방식으로 진행되는 데 반해 본 연구는 연구자와 피 실험자의 일대일 설문 방식으로 진행되어 실험의 환경적인 측면과 전체적인 진행을 계획대로 통제할 수 있었으며, 개인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특성에 따른 변인을 배제할 수 있었다. 또 응답자가 실험 내용을 바르게 이해하고 답변하는 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실험의 신뢰성을 높일 수있었다. 넷째, 기존의 연구가 대상의 형태에 연구자가 임의로 추출한 색을 넣어 선호색이나 기억색을 찾도록 한 것과는 달리 순수한 기억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대상물의 형태를 보여주거나 묘사하지 않고 피 실험자의 연상만으로 떠오르는 색채를 찾도록 유도하였다. 다섯째, 연구자 개인의 선호색이나 기억색이 피 실험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임의 추출한 색 표본을 실험에 사용하지 않고 NCS 색표집 전체를 도구로 삼아 피실험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었다. 자연물을 대상으로 한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가지 자연물에 대한 선호색과 기억색은 대부분 Clear & Strong, Deep & Strong 즉, 비렌의 색삼각형에 의하면, Tint와 Shade에 분포하면 선호색과 기억 색은 늬앙스 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으며 남녀의 선호색과 기억색 역시 늬앙스에 있어서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색상, 명도, 채도에 있어서 선호색과 기억색의 차이는 남녀에 있어서 유사하다. 남성의 여성화로 인한 남녀의 감각적 지각 차이의 간격이 좁혀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실험에 있어서 성별이 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셋째, 선호색과 기억색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어서 전체 표본 집단의 경향과 남녀의 표본 집단의 경향은 두 경우 거의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남녀의 집단이 통계적으로 효력이 있으며 전체 집단을 대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하늘, 호수, 바다, 잔디, 석양, 벼와 같이 원경에서 주로 색을 지각하게 되는 경우 선호색이 기억색보다 명도가 높다. 다섯째, 새싹, 은행잎, 단풍잎, 태양의 경우 선호색과 기억색의 색상 차이가 있으며, 단풍잎과 태양은 선호색이 기억색보다 빨간색 기미가 강하다. 은행잎은 선호색이 기억색보다 노란색 기미가 약하고, 새싹은 선호색이 기억색보다 노란색기미가 강하다. 여섯째. 호수와 잔디의 경우 선호색이 기억색보다 채도가 높으며, 그 외 11가지 자연물의 선호색과 기억색의 채도 차이는 없다.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호수가 많지 않아 대부분의 사람들이 호수를 관찰 할 기회가 많지 않고, 매체에서 접하는 상당수의 호수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기억색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실험을 진행한 계절이 가을이라 많은 사람들이 낮은 채도의 잔디를 떠올려 계절적인 영향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채도에 가장 둔한 감각을 가진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생각해 볼 때, 선호하는 색이나 기억하는 색에 있어서 채도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선호색과 기억색의 비교 연구’는 색채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더높은 차원의 연구를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Human response to color is a result of views and senses and various elements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is phenomenon such as environment, age, gender, and style are in debate. In any area which uses color, human response to color has always been a subject of research. Use of effective color started from producers' studies on users and the knowledge becomes the power of controlling a large market. The author finds possibility of studying preference and memory among human reactions related to sensing colors and attempted to compare and grope for color of preference and memory color. Human preference to colors is a natural instinct that exists before establishing studies on colors in the past and memory of information through sensing colors is human beings' physiological response and at the same time emotional response.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compares and analyzes the colorn preference and memory color, subject to 13 natural objects, hoping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actively for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produces in the design area. In conclusion, it can be expected to be stepping stone for higher level of studies as a basic data on color.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The theoretical study part focuses on the concept of color and sensitive reaction, communication function of color, explores meanings of color of preference and memory color and analyzes cases related to this. The experimental part examines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subject to 13 actual natural objects including the sky, lakes, seas, sprouts, grass, leaves of gingko nut trees, rice plants, forsythia, maple leaves, setting sun, sun, clouds, and snow and analyzed the results with NCS and CIE(LAB). As a developmental endeavor to go next step of the study o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n existing studies o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the participants were only between 10 and 30, but this study extended the number to 50 men and 50 women for the sample group. This extension of number of participants allows this study to secure better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in estimating population through the sample population as it enabled this study to use central limit theorem. Second, this study conducted not only comparative analysis of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on the total sample group but also analysis between men and women in relation to the topic, which increases diversity of this experiment by understanding whether gender is one of variables in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Third, most experiments are conducted through image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while this study one-to-one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hich allows to control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experiment and to progress as it was planned. In addition, variables that are caused by display devices in personal computers could be excluded. Moreover, it is more reliable since whether the participants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 properly or not could be checked directly. Fourth, unlike existing studies adding colors that were voluntarily extracted by the researchers to the shapes and asking participants to find their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on pure memory color, this study did not show or describe shapes of objects but induced participants to find color only based on their association. Fifth, in order not to give any effects of researchers'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on participants, this study did not use samples of colors extracted but used NCS natural color system as a tool so that participants could have wider range of options.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subjects to natural objec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for 13 natural objects were mostly clear & strong, deep & Strong. In other words, according to Birren's color triangle, it ranges between Tint and Shade, and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In addition, men and women's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is almost the same in terms of nuance. Second, in terms of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the color of preference and memory color is the same between men and women. This may be because of less differences in senses between men and women, caused by men's feminization. In comparative experiments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gender was not a variable. Third, i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the tendency of the general sample group showed the same tendency as that of the male and female sample group. Each male and female group was effective, which means that they can represent the whole group. Fourth, when perceiving color from distant view such as the sky, lakes, sea, grass, setting sun, rice plants, brightness of the color preference was higher than memory color. Fifth, in the case of sprouts, leaves of gingko nut trees, maple leaves, sun, there was a differences in color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and the tendency of red is stronger in color preference than memory color in the case of maple leaves and sun. Leaves of gingko nut trees has weaker tendency of yellow in color preference than memory color and sprouts are stronger tendency of yellow in color preference than memory color. Sixth, in the case of lakes and grasses, the color preference is higher than memory color in terms of saturation. There is no differences in saturation in the remaining 11 natural objects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topography, there is not a lot of lakes so there aren't many chances to see them.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negative image of the lakes that people see in media had an effect on memory color. Since the experiment conducted in fall, many people associated with low saturation of grass, which is assumed that the season influence on their choice. Generally, based on the fact that people have the least sense to saturation, the author thinks that saturation did not affect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memory color can be expected to be stepping stone for higher level of studies as a basic data on col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