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중고령여성의 취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중고령여성의 취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ployment Experience of Pre-Elderly Women in Korea
Authors
서미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Elderly women are emerging as the important subject in social welfare field who has experiencing both sexism and ageism which are exposed to accumulated jeopardy at their later life. By focusing on the employment experiences of pre-elderly women as an essential life event to fulfill their self-realization and economical independence,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effective employment support policies impending aged society in Korea.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the percentage of women aged 50 or abov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is on the rise because of long life expectancy, retirement of husband, and other financial difficulties.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the number of senior women aged 60 or above engaging in economical activities is particularly high in Korea. In this society that lacks public social security system for senior, poverty among senior women is a serious problem. Moreover, as the aging society emerges in Korea, pre-elderly women who are currently in their 50s will pose a serious social problem as destitution among elderly women spreads. Despite such eminent threats, studies in relation to employment of pre-elderly and elderly women are virtually nonexistent. In order to depict the experiences of pre-elderly women in employment, emic perspective,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has been adopted. In particular,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his is a useful method with a solid structure built with in-depth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analysis of data, and thick description by participants, which reveal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 detail and vividly. The investigation commenced with the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employment experience of pre-elderly women in their lives?" By gathering primary resources such as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the main research was carried out between December 2008 and March 2009. Each in-depth interview was made at least twice for saturation and it took about an hour and a half to three hours each tim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irst constituent of employment experiences of pre-elderly women is . This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provided by pre-elderly women during job seeking period. Sub-constituents of this could be seen as ‘determined to find a job out of desperation for living difficulties’, ‘continued endeavor within perimeters of one’s living environment’, ‘grasping the realities of labor market through using various services’. The second constituent is . This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pre-elderly women during employment period. There are two sub-constituents, ‘working faithfully with diligence attained after years of housework’ and ‘feeling strong attachment towards one’s occupation which was attained despite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Thirdly, is another constituent. As an employee in an irregular position, pre-elderly women are forced to endure discrimination based on sex and age in order to maintain their employment. Five sub-constituents can be accounted for this; ‘experiencing ruthless discriminations and age-limits against pre-elderly women in workforce’, ‘encountering an unexpected and bitter failure in the first position held’, ‘enduring hardships and instabilities in employment’, ‘managing harsh physical labor’ and ‘experiencing conflicts with co-workers’. Yet, bearing the instabilities and hard labors of a low-waging job eventually allows pre-elderly women to ‘survive’ in labor market. The fourth constituent is , which is the main coping mechanism for pre-elderly women in workforces. The four sub-constituents are as follows: ‘accepting limitations as a pre-elderly housekeeper and using it to one’s advantage in the workforce’ ‘acknowledging and tolerating the generation gap’, ‘swallowing one’s pride while responding to situations at work’, ‘attaining wisdom to react sensibly towards disadvantages due to ageism’. The fifth constituent exhibits the basic attitudes of pre-elderly women who balance their work and family. ‘Disappointment in oneself as one becomes more lethargic as one gets older’, ‘having nowhere to depend on due to continuing financial difficulties’, ‘being burdened with responsibilities of both their children and their parents’, ‘lessening the burden of various roles by dividing the roles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becoming encouraged by the support of the family’ are the sub-constituents. The sixth constituent comprises of . This summarizes the meaning of work experiences for pre-elderly women. Being employed signifies that one can: ‘take care of one’s own living expenses’, ‘feel that one’s existence is useful and meaningful’, and that one can ‘expect independence and warmth in one’s senior years’. As to the question of what the employment experience for pre-elderly women means, it could be answered as the following: “It is a new opportunity to take responsibility of one’s livings, as well as the chance to live a benevolent and fruitful life” Therefor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could be stated as follows: Firstly, from this study, it could be observed that experiences as a housekeeper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attachment to labor market. In this study, the trait of housewife was deduced as 'skilled labor' which is a mixture of diligence, empathy, and wisdom. On the other hand, unlike their contemporaries in western societies, pre-elderly women in Korea display strong domesticity that have been influenced by Confucian traditions. A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tinued on how such conflicting characteristics of strong market attachment and domesticity are promoted or limited in labor market conducted by pre-elderly women. The practical implication indicates that pre-elderly women focused policy needs to incorporate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m. In order to enable them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community-based service should be provided for free or for a small fee. The policy implication points out that more jobs are required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pre-elderly women. Furthermore, a structured vocational training for pre-elderly is needed, as well as altering irregular job positions to more secure ones. Lastly,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policy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pre-elderly women in irregular positions, as opposed to its initial inclusion of only young women in stable job posi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mainly lie in the lack of substantial data. It might not be generalized due to only 6 samples, all of which consist of married pre-elderly women with spouses and children. Hence, the comparison of the result with employment experiences of pre-elderly women in other family forms such as a single-parent family, or those with previous full-time job experiences, could not be clarified. A further study on employment using qualitative methods such as case studies, on pre-elderly women in labor market adapting ethnographic research, longitudinal studies, or studie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 should be performed to prepare for and manage the aged society.;여성노인은 성적·연령적 불평등을 이중으로 경험하다가 생애 후반기에 집약되는 위험에 노출된 존재로서 사회복지의 중요한 정책적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의 노후빈곤을 예방하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생애적 사건으로 중고령여성의 취업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노동력 특성과 욕구를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고령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선진 복지국가의 경우 50대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꾸준히 늘고 있다. 중고령여성은 남성보다 평균 수명이 8년 정도 길고 남편의 퇴직이나 사별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는 생애의 시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적노후보장체계가 미비한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OECD 국가들에 비해 60대 이상의 연령으로 갈수록 여성노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눈에 띠게 높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여성노인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볼 수 있다. 조만간 고령사회가 도래하면 현재 50대인 중고령여성들의 노후빈곤 현상은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전망이다. 그럼에도 국내에서 중고령여성을 대상으로 한 취업관련 연구들은 매우 드문 현실이다. 본 연구는 중고령여성 취업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의 내부자적(emic) 입장에서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도출해 내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Giorgi의 현상학적 기술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고령여성의 진술을 체계적인 의미구조로 전환하고 총체적으로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는 ‘중고령여성의 취업경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연구과정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취업 중인 50-64세의 중고령여성 6명이며, 비구조화된 인터뷰 지침에 의해 심층인터뷰하였다. 자료의 다각화를 위해 인터뷰 텍스트를 비롯하여 이메일, 현장일지, 취업지원 기관 사이트와 문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표집방법은 전형적 사례선택(typical selection)으로 중고령여성이 집중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단순판매, 서비스 및 노무직종에 종사하는 여성을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조사 시점 현재 취업 중이며, 현 직장에 종사한 지 1년 미만인 유배우 기혼여성이다. 과거의 취업경력은 경력단절의 시기와 관계없이 1회 이상이며 학력은 전문대 졸 이하로 한정하여 이차노동시장을 점하고 있는 전형적인 중고령여성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했다. 연구참여자의 경제적 수준은 중하층 수준으로 한정하고 전 생애에 걸쳐 ‘빈곤’의 경험이 우세한 저소득계층은 제외하였다. 조사기간은 2008년 5월-8월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2008년 12월-2009년 7월까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 1인당 최소 2회 이상의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각 회당 1시간 30분-3시간이 소요되었다. 조사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의 과학적 4단계에 따라 수행하였다. 6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최종적으로 415개의 의미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의미단위는 연구참여자 모두에게 공통되는 89개의 의미로 정리·요약되었다. 취업경험의 본질적 구조는 최종적으로 6개의 구성요소와 22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분석된 첫 번째 구성요소는 <늦은 나이에 생계방편 찾아 나서기>로 취업을 결심하고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중고령여성의 노동력 특성을 나타낸다. 하위구성요소는, ‘절박한 경제적 필요로 취업을 결심함’, ‘개인적 생활반경 안에서 끈질기게 노력함’, ‘풍부한 서비스 이용으로 사회현실을 파악함’으로 도출되었다. 중산층 주부로 살다가 IMF 이후 가정경제의 위기를 맞게 된 중고령여성이 노동시장에 나서 강한 취업의지를 갖고 적극적 구직활동을 펼치는 노동력 특성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몸에 밴 부지런함으로 자리잡기>로 취업과정에서 나타난 중고령여성의 노동력 특성을 의미한다. 하위구성요소는 ‘익숙한 주부경력으로 정성을 다해 일함’, ‘힘들게 얻은 직장에 강한 애착을 가짐’으로 중고령여성의 오랜 주부경험에서 비롯된 부지런함, 완벽주의 등이 직장에서 업무로 인정받는 강점이 되고 있었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나이제한 장벽을 넘어 험한 일 버텨내기>로 비정규직으로서 연령차별, 성차별을 겪으며 취업을 유지해가는 노동시장 경험을 나타낸다. 하위구성요소는 ‘ 냉엄한 연령제한 현실에 설 자리가 없음’, ‘첫 취업처에서 예기치 않았던 실패를 맛봄’, ‘야박하고 불안정한 노동조건을 감내함’, ‘험궂은 육체노동을 감당함’, ‘조직과 업무 속에서 인간관계에 부대낌’의 다섯 가지로 구성된다. 저임금의 불안정한 고용형태 속에서 육체적으로 고달픈 노동을 감수하는 중고령여성의 경험은 결국 노동시장에서 ‘버텨내기’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주부연륜으로 터득하기, 현실적으로 처신하기>로 중고령여성의 취업 대처전략 경험의 본질이다. 네 가지 하위구성요소로 ‘주부의 제약조건을 안고 적극 활용함’, ‘세대 간 차이를 인정하고 관용함’, ‘자존심을 버리고 직장생활에 처신함’, ‘연령적 불리함을 극복하는 지혜를 터득함’으로 구성된다. 중고령여성의 연륜에서 나오는 생활의 지혜와 대인관계에서의 유연함, 그리고 배려심은 비정규직의 험한 노동과 거친 인간관계를 버텨내고 적극적으로 극복해 가는 능력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불안한 미래 속 취업주부 책임 다하기>로 중고령여성이 일-가정의 영역에서 수행하고 있는 다중역할 경험의 본질이다. 하위구성요소는 ‘나이 들어 무기력해진 자신을 한스러워함’, ‘지속되는 경제적 어려움에 기댈 곳이 없음’, ‘부모·자식 된 도리로 돌봄 역할을 전담함’, ‘취업주부의 부담을 가족과 함께 나눔’, ‘가족의 지지에 살아갈 힘을 얻음’이다. 중고령여성은 다중역할 수행의 부담보다는 취업을 지지하는 가족의 존재에서 보람을 찾으려는 경험에 더욱 의미를 부여했다. 여섯 번째 구성요소는 <당당한 삶의 주체로 베풀며 늙어가기>로서 중고령여성이 자신의 생애에서 취업에 부여하는 의미의 본질이다. ‘생계의 책임자로 거듭남’, ‘삶의 가치와 존재감을 느낌’, ‘따뜻하고 독립적인 노후생활을 기대함’의 세 가지 하위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중고령여성에게 취업경험은 ‘생계의 책임자로 거듭나 베풀며 늙어가는 노후를 기대하게 해준 새로운 인생의 기회’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이론적으로 함의하는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여성의 생애적 특성에 기반 한 노동력의 특성을 면밀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중고령여성은 중산층에서 신빈곤층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주부로서 살아 온 생애적 특성이 강하지만 노동시장결속력도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부로 살아 온 생애적 특성이 강한 노동시장결속력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중고령여성의 생애적 특성은 근면성실함, 배려, 연륜 등이 융합된 ‘숙달된 노동’의 개념으로 새롭게 구성되었다. ‘숙달된 노동’은 중고령여성의 취업경험에서 주체적인 대처능력이 되었으며 강한 노동시장결속력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 사회적으로 저평가된 기혼여성의 ‘비숙련 노동’의 성격과 대비해 볼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중고령여성의 ‘숙달된 노동’ 개념은 이론적으로 심화된 후속 연구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반면 중고령여성은 서구의 경험과는 달리 유교적 전통에 따라 한층 강화된 가정중심성을 보이며, 다중역할의 부담 또한 강한 가족애로 기꺼이 떠안고 있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중고령여성의 강한 노동시장결속력과 가정중심성의 모순적 특징은 향후 어떤 조건과 계기에서 촉진되고 제한되는 지 중고령여성의 생애적 특징에 기반한 노동력 특성, 욕구와 관련된 면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취업지원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던 중고령여성에 초점을 맞춰 이들의 생애적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중고령여성이 일과 가정의 일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공공성이 확보된 지역사회 내의 서비스가 실비, 또는 무료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서비스는 기존의 광역 취업지원센터와 지역과 밀착된 소규모 서비스 기관과 긴밀한 연계를 이루기 위한 전달체계의 개편도 요구된다.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 중고령여성의 취업동기가 생계형으로 드러남에 따라 중고령여성이 취업할 수 있는 업종을 확대하고 중년기부터 체계적인 취업지원 훈련과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고령여성의 풍부한 구직/취업서비스 이용경험으로 인해 이들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기 때문에 전문화·세분화된 서비스 내용이 요구된다. 또한 비정규직 노동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법제도를 개선하고 저임금의 불안정한 지위를 감수해야 하는 조건을 해소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양립정책을 기존의 대기업, 젊은 여성 중심에서 비정규직의 중고령층 여성에게도 확대하여 노후보장체계에서 배제되었던 중고령여성을 포용하는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는 연구의 표본이 6명으로 제한된 전형적 사례선택 표집으로 연구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기혼의 배우자, 자녀와 동거하는 전형적 핵가족 배경을 지닌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부모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가족형태 속의 여성의 경험을 포괄하지 못했다. 향후 사례연구 등 다양한 질적방법을 활용한 취업연구, 중고령여성을 대상으로 한 거시적 노동시장 행위연구, 종단연구 및 학제 간 연구를 통해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노인 및 여성복지정책의 연구를 본격화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