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청소년의 자살위기와 레질리언스

Title
청소년의 자살위기와 레질리언스
Other Titles
Adolescent Suicidal Crisis and Resilience
Authors
박재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최근 우리사회에서 ‘자살’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유행처럼 번져가는 자살사이트를 통한 집단자살, 동반자살, 유명인들의 자살은 우리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는데, 특히 자살전염성이 높은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의 자살은 자살한 청소년이나 피해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이나 학교, 사회가 공동으로 안고가야 할 사회적 문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청소년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아동학대, 우울을 살펴보고, 보호요인으로는 학업적·가족적·자아레질리언스가 청소년 자살위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이들 변수간의 경로관계와 구조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66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7.0과 AMOS 1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관계 검증, 적합도 검증, 다집단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과 아동학대, 우울은 청소년 자살위기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었고, 학업스트레스는 우울이라는 매개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실천가들은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해 학교폭력, 아동학대를 근절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며, 우울이 청소년 자살을 예고하는 매우 중요한 위험요인이므로 우울의 단계에서 학생들을 선별하여 치료함으로써 자살위기에까지 이르지 않도록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이끌어냈다. 또한 학업스트레스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대부분 겪고 있는 어려움이기도 하므로, 현재의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전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청소년 자살위기의 직접적 보호요인으로 학업적 레질리언스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또래의 지지체계가 잘 형성되어있고, 학업과 관련된 문제를 잘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자살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족레질리언스와 자아레질리언스는 자살위기의 직접적 보호요인은 아니었지만 자살위기와 가장 강력한 영향력이 있는 우울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여 성별차이와 연령 차이에 따른 전체 경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의 경우에는 학교폭력이 자살위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학생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고, 연령의 경우에는 학교폭력이 청소년 자살위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등학생이 보다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모형에서 학교폭력이 자살위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여, 중학생·고등학생에 따른 차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며 차별화된 개입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살위기의 위험요인으로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아동학대, 우울을 밝혀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보호요인으로 학업적, 가족적, 자아 레질리언스의 효과를 규명하였다.;Recently, suicide has become a serious matter of concern in our society. Suicide is spreading like an epidemic. Group suicides through internet websites, celebrities’ suicides, joint suicides hav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s. This is the problem of not only the adolescents who commit suicide and their families' but also our society'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suicidal crisis, including the interactions of those factors for preventing adolencent suicide. This study is aimed at prov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etween risk factors, such as academic stress, school violence, child abuse, depression and protective factors such as academic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ego resilience. Totally, 664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model in this research. The statistics software SPSS 17.0 and AMOS 17.0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school violenece, child abuse and depression have effects on adolescent's suicidal crisis as risk factors. Academic stress have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suicidal crisis via depression. Therefore, social workers need to make great efforts to exterminate both of family and school violences. In addition, they need to treat depression at the first priority because the depression is a major sign of suicide. As for academic stress, schools should relieve students' academic stress, because most adolenscents have experienced substantial academic stress to be admitted into higher-level universities. The education should focus on improving students' personalities, feeling of well-being and worth. Among protective factors, academic resilience leads to adolescent suicidal crisis directly. This academic resilience influences adolescent suicidal crisis by mediating depression. Both family and ego resilience have no effects on adolescent suicidal crisis as direct risk factors. However, depression has negative effects on both of them directly. The result of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male adolescents and female adolescents in the model about school violence. Also, there are some dif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cademic stress, school violence, child abuse are related with suicidal crisis as risk factors. Secondly, academic resilience, family resilience, ego resilience are identified as protective factors to suicidal cri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