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How the Perception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of Working Relationship Influences Rehabilitation Outcomes
Authors
권자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Working relationship is a corner stone of social work practice and its importance as a core factor for ideal outcomes has been emphasized. Especia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service in which a case management is the framework of the basic practice, the working relationship has a more important meaning. This study proved how the factors such as the individual factor of the self-efficiency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the family factor of family support, and the service factor of service satisfaction, have an influence on working relationship. Through antecedents, this research presented a structural model with latent variables of self-efficiency, family support, service satisfaction, working relationship and rehabilitation outcomes, and proved the direct effect and mediated effect of the perception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of working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study proved that depending on how disparate the perception of their working relationship was, there existed a different path for the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and case manager. That is, the study proved that there are separate rehabilitation paths and outcomes depending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level. Therefore, 432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ho use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82 case managers were surveyed as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this structural model. SPSS 13.0 was used to analyse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data base and AMOS 5.0 was used to analyse and examin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hypothesi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antecedents of the rehabilitation outcomes explain their construct validity very well. Sufficient fit index of research model has shown its reasonable fitness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Second, in the direct effect analysis, the self-efficiency and working relationship perceived by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have a significant level of influence on his/her rehabilitation outcomes. In addition, family support and service satisfac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working relationship. Third, in the working relationship mediated effect analysis, family support and service satisfaction have a mediated effect in the path to the rehabilitation outcomes through the mediator of the working relationship and stan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However, self-efficiency and rehabilitation outcomes in the path have no mediated effect. Fourth, the multi-group analysis of two groups, one where the perception difference level of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and the case manager was small and the other where the perception difference level was large, shows that the two groups distinctly differ on how the family support influences working relationship and how the working relationship influences rehabilitation outcom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draws its academic interest in mutual working variables including the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 case manager, since the working relationship influences a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the final objective of mental health service. Moreover, in view of the recovery alliance theory, which uses the same conceptual tool as this study, the study shows a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usefulness of working relationship. Second,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the case manager should put intervention efforts as a top priority in constructing and developing a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during the case-management process of mental health service. The mental health service must essentially include intervention to improve self-efficiency, which mostly influences rehabilitation outcomes, and utilize intervention strategy that considers mediate effect in working relationship. In other words, since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working relationship with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who has a poor family support, it is important to secure family support through various family support interven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 case manager. In addition, various measurements should be found in order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which influences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case managers should always sensitively appraise the working relationship with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and make proactive efforts to minimize the perception difference level of their working relationship. In order to firmly establish the effectiv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pproaches in practical fields such as empowerment approach, recovery-oriented approach, and consumerism,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working relationship should be achieved as top priorities. Third, as for policy impli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infrastructures in practical fields of mental health service in order to establish a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policy to assign an appropriate number of cases to each case manager, enforce supervision, and improve the case manager's working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the exhaustion or high turn-over of case mangers. Theoretical and field training for working relationship should be emphasized i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although working relationship had been raised as a core factor that influences rehabilitation outcomes in past researches and studies, it was never quantified. Thu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for its empirical and pract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working relationship. The research also presents a quantitative analysis of individual and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a working relationship. Therefore, this approach and research result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is area. Second, this research studied major factors that affect rehabilitation outcomes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developed and analysed study models, and found significant paths to rehabilitation outcomes. Especially, the research proved the mediate effect of a working relationship and found various influence relationships in working relationship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distinct perception difference levels. There are a few limitations to this research: working relationship, which is a process variable, was studied with a cross-sectional method. The research covered only working relationship perceived by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even though mutual process of working relationship is crucial. Since random sampling was not used, the research results could not be generalized, which is another limitation. Finally, since this calculating tool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needs more accurate and supplemental tools reflecting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 tool was used after analysing its validity through pre-survey.;실천관계는 사회사업실천의 초석이며 바람직한 성과를 위한 핵심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특히 사례관리를 실천의 기본 틀로 하고 있는 정신보건서비스에서 실천관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 가족 요인으로서 가족지지 그리고 서비스 요인으로서 서비스 만족이 실천관계라는 관계적 요인을 통해 어떻게 재활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서비스 만족, 실천관계 그리고 재활성과를 잠재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실천관계가 지닌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인과 담당 사례관리자간의 실천관계 지각의 차이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가 지각한 실천관계가 상호 유사할 경우와 상이할 경우 재활성과와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432명과 담당 사례관리자 8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은 SPSS 13.0을 활용하였고, AMOS 5.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모형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연구모형이 조사 자료에 잘 부합하며, 충분히 수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직접효과에 대한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실천관계가 재활성과에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지지와 서비스 만족은 실천관계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관계의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가족지지나, 서비스만족이 실천관계를 거쳐 재활성과에 이르는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증명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한편 자기효능감과 재활성과 경로간에서는 실천관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천관계지각의 차이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실천관계 지각이 상호 유사한 집단과 상이한 집단간 가족지지가 실천관계에 미치는 경로와 실천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경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함의로는 정신보건서비스의 최종 목표인 정신장애인의 성공적인 재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례관리자와의 실천관계라는 상호작용적 변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이끌어 냈다. 또한 본 연구와 개념적 틀을 같이 하는 회복동맹이론의 관점에서 실천관계의 유용성을 입증해 보았다. 둘째, 실천적 함의로는 사례관리자들은 정신장애인과의 긍정적인 실천관계의 형성 및 발전을 위한 개입노력을 최우선으로 여겨야 한다. 재활성과에 직접효과가 큰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개입은 정신보건서비스 내용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실천관계가 지니는 매개효과를 고려한 개입전략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가족지지가 빈약한 정신장애인과는 실천관계 형성이 보다 어려울 수 있음을 고려하고, 사례관리자와의 실천관계를 긍정적으로 맺을 수 있도록 다양한 가족지원 개입을 통해 가족지지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긍정적인 실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만족 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들을 모색해야 한다. 한편 사례관리자들은 정신장애인과의 실천관계를 늘 민감하게 평가하여 상호간 실천관계 지각의 차이가 나지 않도록 선응적인 대처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임파워먼트 접근, 회복지향적 접근, 소비자주의 등 효과적인 지역정신보건서비스 접근들이 어떻게 실천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는지에 대한 해답은 긍정적인 실천관계의 형성, 실천관계의 질 향상을 최우선으로 달성하는 데 있다. 셋째, 정책적 함의로는 긍정적인 실천관계를 잘 맺을 수 있는 정신보건서비스 현장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적정한 사례 수, 사례관리자의 소진과 잦은 이직의 예방을 위한 처우개선이나 수퍼비전의 강화 등이 필요하며, 정신보건 전문요원 훈련과정에서 실천관계에 대한 이론 및 현장교육의 강조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제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실천관계에 관한 경험적, 실증적 연구이다. 실천관계의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속성을 양적 연구로 수량화하여 연구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과 실천관계를 포함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이를 검증함으로써 정신장애인 재활성과에 유의한 경로를 파악하고, 특히 실천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냈으며, 실천관계 지각의 차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실천관계가 지닌 다양한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으로는, 과정변수인 실천관계를 횡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과, 실천관계의 상호작용이 본질임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관계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집에서 무작위 표집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사용된 실천관계 측정도구가 외국에서 개발된 척도로, 본 연구를 위해 예비조사를 통한 타당화 작업을 거쳤지만 추후 한국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정교한 척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