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의 옥외광고물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의 옥외광고물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lor Design for Outdoors Advertisement in Collective Facilities Areas of National Parks: In case of Bukhansan National Park
Authors
김나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정
Abstract
국민의 정서함양과 휴양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국립공원은 연간 3,000만명 이상의 탐방객이 찾고 있으며, 이중 외국인이 약 7%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국가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지역이다. 국립공원은 효율적인 보호와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5개의 용도지구별로 나누어 관리되는데, 그 중 집단시설지구는 탐방객에게 편의제공을 하고, 자연공원의 보전· 관리를 위한 공원시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전국 20개의 국립공원에는 56개의 집단 시설지구가 조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공원초입부에 위치하고 있어 국립공원의 첫인상과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 집단시설지구는 상업적이고, 획일적으로 형성되어 국립공원의 이미지를 저하시키고, 지역성과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상가들의 무질서하고 난립된 옥외광고물들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경관의 질을 떨어트리고 있다. 특히, 색채계획되지 않고 무분별하게 사용된 강렬한 고채도 색채는 시각적 혼란스러움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의 옥외광고물의 색채를 연구함으로써 국립공원 정체성의 확립과 국가 이미지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배경이 되는 국립공원과 집단시설지구에 대한 문헌, 현황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문헌조사를 통해 옥외광고물의 분류와 기능, 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국립공원의 옥외광고물 가이드라인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색채의 기능과 색채디자인의 도구가 되는 자연색체계(NCS), 색채조화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자연환경이 배경이 되는 국립공원을 고려하여 자연환경색채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셋째, 현황 파악을 위해 국내·외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는 지형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산악형, 해안형, 사적형 3곳을 조사하고, 국외 사례는 일본과 캐나다의 사례를 조사하여 자연색체계(NCS)를 통해 분석하였다. 넷째, 국립공원 20곳 가운데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대상지는 북한산 국립공원이며, 북한산 국립공원의 자연환경색채 조사 및 4개 집단시설지구의 옥외광고물 색채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것으로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의 옥외광고물 색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고려하여, 색채디자인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기본 방향을 바탕으로 자연색체계(NCS)를 활용하여 색채선정 및 배색방법을 제안하고, 최종 100개의 색채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북한산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 가운데 하나인 북한산성 집단시설지구에 색채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옥외광고물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사례 전과 후를 비교하여본다. 옥외광고물의 색채는 쾌적한 경관 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지역의 특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색채 사용 시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사용되어야하고, 지역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본연의 기능인 정보제공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독성과 시인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 질 때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의 옥외 광고물은 탐방객에게 쾌적함과 안정감을 주며, 나아가 국립공원의 정체성 확립과 국가 이미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National Parks playing an important role for people's emotion cultivation and recreation activities is an important area determining the image of the nation since annually 30 million people visit the places and double foreigners account for 7% of the total population. The National Park is managed by dividing it into five areas by use for promotion of effective preservation and use, and among the areas,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 provides visitors with convenience, where park facilitie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park are concentrated. In 20 national parks nation wide, 56 collective facilities areas are formed and are the first impression and image of the national park since most of them are located entrance of the park. Currently, collective facilities areas are commercial and uniform, which leads to a lowering of image of national parks and lack of reflecting locality and identity. In addition, disorder of streets of stores and many kinds of outdoor advertisement are not harmonized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ower the quality of landscape. In particular, color with strong and high saturation used recklessly without color design aggravate visual confusion.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identity of national parks and improving image of the country by investigating color for outdoor advertisement in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s in national park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review of literature and current situations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is was conducted. Additionally, literature review focuses on classification of outdoor advertisement, components of design and guideline of outdoor advertisement in current national parks. Second, this study discusses natural color system (NCS) and color harmony theory that are a tool of color function and design. It also investigates the theory of national environment color by considering a national part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rd, in order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cases in Korean and overseas. It analyzed Korean cases of three places of different geographical types including mountain, coast and historical location kinds and overseas cases of Japan and Canada through NCS. Fourth, the subject of this study, which is Bukhansan National Park, is decided among 20 national parks. This study conducted examination and analysis of natural environment color of Bukhansan National Park and the color of outdoor advertisement in four collective facilities area. This process helps to understand problems of colors of outdoor advertisement. Fifth, by consider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this study presents the basic direction of color design. Based on basic direction, by using NCS, it also suggests methods of color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colors and presents guidelines for the final 100 color designs. Sixth, it applied outdoor advertisement design using the color design guidelines to Bukhansanseong Collective Facilities Area, which is one of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s in Bukhansan National Park. It compare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m. The color of outdoor advertisement has an direct effect on formation of pleasant landscap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refore, color should be use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considering it and in a systemic way in order to illustrat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which is its original function, readability and visibility also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se are achieved, outdoor advertisement of collective facilities area in the national park will give visitors pleasantness and stability and can als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national parks and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