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reator김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72-
dc.description.abstract인류에게 있어서 춤은 어느 민족을 막론하고 현실적인 상황과 밀접한 관련 아래 생활 경험이 축척됨에 따라 사회에 어울리는 민족적 특성을 지니면서 민속춤이라는 형태를 이루어 계승·발전되어 왔다. 민속춤은 민속과 향토의 특수성을 가지고 민중에 의해 생겨나 민중의 삶을 그대로 반영하여 그 민족의 정서가 그대로 베어있는 춤으로서 그 가치와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 신분차별, 종교적 부패, 민중생활의 실상, 남녀간의 대립과 갈등 등과 같은 다양하고 깊이 있는 사회적 문제를 춤과, 재담, 유희적 탈의 조형성 등과 같은 예술 형식을 빌어 시대를 풍자한 탈놀이는 민족 예술을 대변함에 있어 손색이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예술분야를 적절히 조화시켜 오늘날 공연 예술의 근간이 된 탈놀이 중 가장 예술적 요소와 춤사위가 발달된 양주별산대놀이를 중심으로 그 안에 내재된 표현적 상징성을 연구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연희본, 채록본을 비롯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양주별산대놀이의 연구를 위해 먼저 양주별산대놀이의 유래와 성격 및 구조를 알아본 후 상징성의 정의와 탈춤의 상징성을 살펴보았고, 각 과장의 내용과 춤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과장을 통해 드러난 탈의 상징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예술에 있어 상징성은 배제할 수 없는 필수 조건이다. 작품을 관람하는 관중은 대상의 상징적 의미를 지각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기 때문이다. 당시 민중의 삶과 애환을 그대로 반영한 양주별산대놀이는 현실적이고 다양한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그 속에 담긴 상징성에 관한 연구는 필히 중요할 것이다. 이에 양주별산대놀이의 32명의 배역이 만들어내는 내용 및 개성 넘치는 탈과 섬세한 춤사위를 살펴본 결과 다섯 가지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관중이 탈춤의 연행자와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가지며 극을 이끌어 감으로써 자기를 표현하고 극에 개입하는 것, 일정하지 않은 자연적 공간에서 연희되어 연행자와 관중사이에 정서적 공유가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개방적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제의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취발이와 소무와의 관계, 소무의 출산, 신 할아비와 할미와의 관계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일상적 시·공간을 멈추고 또 다른 시·공간으로 전환하는 탈춤은 축제의 모습과 일맥상통 한다는 점과 평소 억압과 불만, 불편부당한 요소를 탈춤을 통해 나타내 분출의 기능을 축제의 장을 통해 해소한다는 점은 이 탈춤에 축제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하였다. 넷째, 사회적인 신분차별, 종교적 계율에서 벗어나 세속을 추구함의 표현 등에서 풍자적 요소가 드러났다. 다섯째, 양주별산대는 누구나 함께 어울릴 수 있는 흥과 한이 맺힌 독특한 춤으로 우아하고 섬세한 경기인의 기질과 궁중무의 영향 등 무용적 전통을 전형적으로 계승하는 점으로 볼 때 다른 탈놀이에 비해 높은 예술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사회적 비판과 현실에 대한 민중의 울분을 예술로 승화시켜 표현한 탈춤과 그 속에 내재된 상징성 연구는 폭 넓은 주제 개발과 주제표현의 다양화를 제시하는 자료로서의 기능을 하고 한국적 정서가 담긴 표현을 이끌어내는 근거를 마련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For human being, dance related to the realistic situations regardless of any race has been having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for society in the traditional dance inherited and developed by the life experience accumulated. The traditional dance is of national sentiment that was produced by people with the folk and local exceptionality and reflected people’s life as it was, which was recognized in its value and artistry. Specially, the masked dance drama that satirized the epoch for the varied and deep social issues such as in art form such as Chosun Dynasty’s status-distinctive, religious corruption, people’s real life, conflict and complications between men and women in art form of dance, wit, formative nature of playful mask, which will be perfect for representing the national art. This research tried to study of the Yangju Byolsandae play containing expressive symbol with the most artistic element and dance developed from the masked dance drama that has become the basis of today’s performing art in harmony with various art fields, for which was realized on documentary study including Yeonhuibon and Chaerokbon. For Yangju Byolsandae play research, I aimed at inquiring into its origin,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before observing the definition of symbol and symbol of masked dance, understanding the respective content of s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dances, and searching the symbol of mask appeared through its respective section. For arts, thesymbol is the indispensable condition. It is because the audience of viewing the work is strongly desired to perceiv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object. The Yangju Byolsandae play reflecting then people’s life and its joys and sorrows as it was were expressed realistic and various themes in varied ways, and the research of its containing symbol would be very important. So, the result observing 32 actor’s role contents, individual mask and the delicate dance of Yangju Byolsandae play were found five elements. First, the open element was found through which the audience led the performanc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masked performer to express himself intervening in the performance where was realized the emotional sharing between the performer and audience being entertained in a natural random space. Second, it was found the relation between the chivaree and somu, childbirth of somu, and the relation between new grandfather and grandmother symbolically expressing proposal. Third, I could discover that this masked dance included the festival element by being changed from the ordinary time and space to the other time and space as well as the festival, through which the repression, complaints and prompt and impartial element were released in the festival. Fourth, the ironic element was appeared in the expression of seeking after the mundane world out of the social status-distinctive and religious observances. Fifth, the higher artistic element than the other masked dance drama was foundin that Yangju Byolsandae play is the peculiar dance with joy and sorrow for anyone to join and that inherited typically the dancing tradition such as the elegant and delicate Kyunggido people’s temperament and the influence of court dance. As abovementioned, the masked dance expressing social criticism and people’s sorrows for the reality by sublating in art, and its containing symbol research would function as data to present broad subject development and variety of subject expression, and be one way to prepare the base leading out the expression of Korean emo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양주별산대놀이의 유래 = 5 B. 양주별산대놀이의 성격과 구조 = 8 C. 상징의 정의 = 12 D. 탈춤의 상징성 = 14 Ⅲ. 양주별산대놀이 각 과장(科長)의 내용 = 17 A. 길놀이(거리굿) = 21 B. 서막(序幕)고사(탈고사) = 21 C. 제 1과장 상좌(上佐) 춤 = 22 D. 제 2과장 옴중과 상좌 = 24 E. 제 3과장 목중과 옴중 = 28 F. 제 4과장 연잎과 눈끔적이 = 31 G. 제 5과장 팔목중놀이 = 35 H. 제 6과장 노장(老長) = 40 I. 제 7과장 샌님 = 47 J. 제 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 = 54 K. 뒤풀이 = 58 Ⅳ. 양주별산대놀이가 갖는 표현의 상징적 의미 = 59 A. 개방적 요소 = 59 B. 제의적 요소 = 61 C. 축제적 요소 = 64 D. 해학적 요소 = 67 E. 예술적 요소 = 69 Ⅴ. 결론 = 73 참고문헌 = 76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81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표현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Yangju Byolsandae Play Containing Expressive Symbol-
dc.creator.othernameKim, Ji Won-
dc.format.pageⅶ,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