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한 조사 지도 내용 연구

Title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한 조사 지도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stposition Education : Analysis of Learner Errors
Authors
이유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e norms of the Korean language make it possible to have smooth communication in that language, and postpositions play a crucial role in making up a sentence, which is the smallest unit to express the ideas or emotion of the speaker or wri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stained errors of learne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and the state of postposition education in an attempt to seek new ways of teaching postpositions.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state of postposition education, and the writing writte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as reviewed to check into the types and aspects of their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So far, postpositions were taught mostly in conjunction with parts of speech without being linked to every part of grammar, and there was no hierarchical, systematic education about postpositions for different graders. Moreover, just a very small number of postpositions were introduced, and there weren't enough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actice making sentences by utilizing postpositions. Furthermore, inquiry problems were presented just in accordance with the views of the academic circles, which resulted in detracting from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inquiry problems. Although continuing education was conducted about postpositions, students still continue to make errors in that regard. In order to let students learn about the diverse use of postpositions, lists of postpositions provided by earlier studies were put in order to prepare a new postposition list. And the meaning of postpositions in different contexts was explained, and illustration materials were offered to teach learners to learn that postpositions could be used in various ways. The complex patterns of their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ere described, and the types of errors related to each grammar unit were analyzed to improve postposition education in light of their errors. Such a classification of error types has been attempted in studies of improper spelling, and that could be attempted in relation to the use of postpositions as well in a mov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prepara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types of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ere analyzed and then put in order, and the types of phonetic errors were rul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ow to prevent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as mapped out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plan devised in this study was basically based on existing teaching practices but tried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existing education such as a lack of hierarchical system, a shortage of authentic practice problems and a shortage of appropriate inquiry problems in an effort to stir up the positivity of learners and let them use the right sentences in different contexts. This study focused on postposition education, which had just been partially covered by earlier studies of grammar norm errors. Even existing studies of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just provided information on lists of errors among the same graders, but this study attempted to take a closer look at postposition education to find out what problems it was confronted with. Moreover, the patterns of errors made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ere analyzed to suggest how to teach students about postpositions to prevent them from making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국어 규범은 국어의 표현과 이해에 있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조사는 화자나 필자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인 문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오류 실태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살피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밝히며 새로운 조사 지도 내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로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진단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교육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 학교급별 실제 학생들의 작문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유형별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은 전 문법 영역에 연계되지 못하고 단어 단원의 품사와 관련하여 주로 다뤄지고 있었으며, 학년별 위계화나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불어 소개되는 조사의 종류가 매우 적고 조사를 활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연습도 부족했다. 또, 탐구 문제에 학계의 의견을 그대로 가져옴으로써 진정한 탐구 문제로서의 교육적 가치가 떨어진다. 조사 지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그 오류 양상이 여전한 데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의 다양한 사용을 위해 각 연구에서 밝힌 조사 목록을 계량화하여 새로운 조사 목록을 마련하였다. 이에 상황 맥락에 따른 의미와 예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다양한 조사의 쓰임을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실제 조사 사용 오류에서 나타나는 복합적 양상을 밝히고 이를 교육적으로 수용하여 지도 내용으로 삼고자 문법 단위 마다의 오류 유형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 유형 분류는 기존의 맞춤법 오용 연구에서 시도되어 오던 것으로, 조사의 지도에 있어서도 같은 체계를 가져옴으로써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음운을 제외한 형태, 통사, 의미의 단위의 문법 유형을 나누고 각각의 실제 오류 양상들을 분류하여 체계화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조사 사용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제도적 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실제 조사 사용 오류 양상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지도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따르되, 위계화와 연습 부족의 문제, 적절한 탐구 문제의 마련 등을 담아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능동성을 지향하여 국어 문장을 형태적으로 정확하고 의마나 사용의 맥락에도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법 규범 오류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졌던 조사 지도 내용을 초점화하고, 동일 학년의 단순한 오류 사례 나열에 그쳤던 조사 사용 오류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살펴 문제점을 제기하고 실제 학습자들의 학교급 간 오류 양상을 언어 단위별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조사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