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메커 작품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Title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메커 작품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inimalism in the works of Anne Teresa De Keersmaeker
Authors
한세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1960년대를 전후로 미국의 예술전반은 기존의 형식적인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화를 갈망하는 시기로 예술 전반에 확산되기 시작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새로운 예술사조가 등장하였다. 당대 미국의 불안한 정치·사회적 상황과 결부되어 지속적인 현상으로 전개된 포스트모더니즘은 무용분야에서도 포스트모던 댄스로 새로운 장르가 자리 잡게 되었다. 이 시기에 등장한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과거의 모더니즘 예술이 예술작품 내의 형식에 치중했던 것을 비판하면서, 예술작품과 관람자 간의 소통을 자유롭게 하는 탈 형식화를 추구하였다. 무용예술의 구성요소 중 움직임 이외의 요소들을 부정하거나 제거하였으며 표현 가능한 순수 본질인 신체 움직임만을 남게 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적 성향의 미니멀리즘을 수용하여 미니멀적 움직임 구조에 감정적 요소를 가미하고 유럽의 표현성을 융합한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메커(Anne Teresa de Keersmaeker)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신만의 독창적 안무 스타일로 발전시킨 그녀의 무용활동과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정신으로 다양한 반복적 움직임과 패턴을 연구한 안무방법과 성과를 논의하기 위하여 80년대부터 90년대 초기의 대표적인 두 작품을 선정하였다. 의미성이 배제된 춤이나 미니멀 댄스에 주목하고 구성과 구조에 감정적 요소를 가미하여 독창적인 안무로 확립시킨 작품, 의 주제 및 내용, 움직임과 구성, 사용된 음악을 통하여 미니멀적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은 내용의 줄거리보다는 무용단의 창립기념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자신만의 미니멀적 방법을 주목하여 일상적인 움직임들을 무용화시키며 단순한 패턴과 일정한 동작구로 계속적인 반복을 보여주었다. 음악 또한 무음과 리듬감을 중심으로 반복된 미니멀리즘의 요소가 뚜렷하게 반영되었다. 는 남녀의 성을 대조적으로 표현하여 남성과 여성 동작언어의 차이를 두고 다양한 패턴의 이동과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신체에 대한 사회화를 표현하였으며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라이브연주로 남자와 여자라는 성의 차이를 악기로 구분하여 엄격하게 적용된 미니멀의 특징이 보여주었다. 그녀는 순수하고 단순한 움직임 자체에 주위를 기울였으며 동작의 반복에 의한 효과는 관객에게 메시지와 주제를 뚜렷하게 나타낼 수 있었고 장식적 표현이 배제된 꾸밈없는 인간의 신체가 강조되었다. 오직 춤으로 작품을 진행하면서 테크닉의 기술성보다는 몸 자체를 탐구하면서 표현과 의미의 주체로서의 가능성들을 확대시켰다. 본 연구는 무용의 다양한 실험성이 공존하는 오늘날의 무용예술에서 순수한 움직임에 탐구적 가치를 강조하고, 핵심적 역할로써 무용언어의 독창성을 뿌리내릴 수 있게 주도한 키어스메커의 움직임 연구에 대한 접근을 통해서 안무방식의 또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Around 1960s, art of America overall saw the periods yearning for a new culture rather than the existing formal frame, And, a new trend of art, or postmodernism appeared, which came to expand to the art across the board. Postmodernism spread as the continual phenomenon linked with the unsecure political, social situations of America in those days. and also in the dancing field, postmodern dance came to be a new genre. Minimalism appeared at the same period pursued de-formalization with free communication between art works and audience while criticising that modernism art of the past had attached weight to the form of art works. It denied or removed elements excepting movements among the constituents of dancing art, so made only physical movements remain, which is the pure nature to be express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nne Teresa De Keersmaeker who accepted American Minimalism, added emotional elements to minimal movement structure, and united it with European expressiveness. To discuss her choreographical methods and its results which explored various repetitive movements and patterns with experimental and original spirit, her representative two works were selected from 80s to early 90s. And it was done through inspecting her dancing activities and world of works with her own original choreographical style and studying on the properties of Minimalism. This study intended to inspect the minimal properties of the theme, contents, movements and music in the works , , which took notice of meaning-excluded dancing or Minimal Dance, added emotional elements to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so established original choreography. As the work in commemoration of the founding of the dance company, gave attention to its own minimal mode rather than to the plot. It made everyday motions into dance, and showed continual repetition through simple pattern and constant motion phrase. In music, repetitive elements of Minimalism were also reflected distinctly centered on silence and rhythm. expressed sex of a man and a woman contrastively, and differentiated motion language of a man from that of a woman. Through the change of the various patterns and repetitive motions, it expressed socialization of a body. In addition, difference of sex, or a man and a woman, was separated by the musical instruments of live violin and piano performance. So, it showed a minimal property used strictly. She paid attention to pure and simple movements themselves. Effects by repetition of movements made a message and theme obvious to audience, and natural human body which excluded decorative expressions was emphasized. While working only through dancing, she explored a body itself rather than technical skill, and stretched a possibility as the subject of the expression and meaning. In the dancing art of today which diverse dancing experiments coexist, this study is thought to present another direction of choreographical method through the study on movements of Keersmaeker, who emphasized exploratory value of the pure movements and led originality of dancing language to take deep root as the core ro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