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김자영-
dc.creator김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0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071-
dc.description.abstractAs the role of products has been expanded in contemporary society, style, brand and design of products have become key factors whe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ccurs as well as quality, price and function, thus, design development has been continuously invigorated and the lifespan of products also has shorten. The importance of design which decides succeed or failure of new products in market has underlined so that corporate is in dire need of developing and innovating new items for it.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new design development, in its midst, it seeks answers of new idea from remains in Shilla dynasty. It limits the extent of its research to colors and visual materials excluding shapes and patterns as factor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analysis and new design of products. To apply this concept, premium luxury and naturalism which are common culture code both in Shilla dynasty and contemporary society are extracted and relevant colors and materilas of remains from Shilla dynasty analyzed. Also, it analyzes the design trend of current products, and the direction of new design is proposed based on its results. To analyze the material of remains of Shilla dynasty, the items of remai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types of surface and analyzed precisely, and the research from trend and color analysis research association, relevant articles and news are employed to extract the current tendency of using colors and materials. To analyze colors, Korean traditional color standards and NCS(Natural Color System) are applied and set up, the ton and extent of color are analyzed, transformed and interpreted based on IRI(Image Research Institute) color system. The color of the products made by gold in Shilla dynasty is narly in accord with the current one, the type of glossu and dot texture has been chosen as an item for product design. With the color scheme format of the clay pots and tow(clay figurines) products in the clay color combination method has been selected as an ideal one and spread spot or tiny snad type has been applied as a visual materials to create faint color sche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 through the attempts derived from analysis of design items of Shilla dynasty and to improve current product design with the case of thi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design.;현대 사회에서 제품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있어 그 품질이나 가격, 기능뿐만 아니라 스타일, 브랜드, 디자인이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자인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제품의 수명주기 또한 짧아지고 있다. 시장에 출시되는 제품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신제품 디자인과 트렌드 개발의 중요성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에게는 새로운 디자인을 위한 아이템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해 한국적 문화 요소를 차용하였고, 그 중 신라 시대의 유물로부터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 연구를 위해 첫 번째로 신라와 현대사회의 공통된 문화 코드인 프리미엄 럭셔리와 자연주의 트렌드를 추출하였고 이에 해당하는 신라 유물의 컬러와 재질을 분류 분석하였다. 신라 유물의 재질 분석을 위해 표면의 스타일에 따라 제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고, 컬러 분석을 위해서는 한국 전통 표준색과 NCS에서 제품의 대표 컬러를 찾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컬러 톤과 색상의 범위를 분석하였고, IRI 컬러시스템에서 추상적 이미지로 전환하여 해석하였다. 신라 금제품 컬러는 현대의 제품 컬러와 거의 일치 하였고 재질로는 글로시(Glossy)와 도트형(Dot)이 제품 디자인을 위한 아이템으로 선택되엇다. 토기 및 토우 제품의 컬러 배색 형식을 이상적인 방식으로 클레이 컬러 콤보(Clay Color Combination)를 차용하고, 시각적 재질로는 퍼진 얼룩형(Spread Spot)이나 잔 모래(Tiny Sand) 스타일을 채택하여, 전체적으로 은은한 컬러의 배색이 이루어지도록 의도하는데 유용하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템을 신라로부터 차용하고 그 중 일부를 선정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시도를 통해 한국 전통의 의미를 되새기고, 또한 디자인 발전을 위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써 그 역할을 수행하기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신라를 통해 읽는 한국 문화 트렌드 = 4 2.1. 현대 한국문화에 투영된 신라 = 4 2.2. 신라 금제품의 역할 및 상징 = 5 2.3. 금(金)의 특징 및 현대적 의미 = 7 2.4. 자연주의와 신라의 토기 및 토우 = 8 2.5. 흙(土)의 의미와 사용 = 10 3. 신라유물의 컬러 및 시각적 재질 분석 = 11 3.1. 분석 방법 및 도구 = 11 3.2. 신라 금제품 분석 = 14 3.2.1. 컬러 분석 = 14 3.2.2. 시각적 재질 분석 = 16 3.3. 신라 토기 및 토우 분석 = 21 3.3.1. 컬러 분석 = 21 3.3.2. 시각적 재질 분석 = 35 4. 리빙 디자인 트렌드 = 40 4.1. 가전제품 트렌드 = 40 4.1.1. 녹색 및 웰빙 가전 트렌드 = 40 4.1.2. 프리미엄 제품 소비 트렌드 = 42 4.2. 인테리어 트렌드 = 45 4.2.1. 에코 내추럴 스타일 = 45 4.2.2. 엔틱 럭셔리 스타일 = 47 5. 종합 결과 및 제안 = 50 5.1. 분석 결과 = 50 5.2. 제안 프로세스 = 55 5.3. 컬러 및 시각적 재질 제안 = 55 6. 결론 및 논의 = 59 참고문헌 = 61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127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라유물의 컬러 및 시각적 재질을 통한 가전 디자인 방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ggestion for appliance design based on the colors and visual materials in remains of Shilla dynasty-
dc.creator.othernameKim, Ja-yeong-
dc.format.pageⅹ,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