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한 참여적 미디어아트 표현연구

Title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한 참여적 미디어아트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Media Art Expression Based on the Interaction Amongst Users
Authors
강현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지난 수세기 동안 예술은 많은 역할을 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예술의 역할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소통으로서의 매개체 역할이다. 21세기의 화두는 소통이다. 예술과 인간이 소통하고, 나아가 예술을 통해 인간과 인간이 소통하는 이 모든 것이 예술이며 또한 예술의 역할이라 하겠다. 21세기 현재의 예술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의 등장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였다. 이는 미디어아트라는 새로운 장르를 낳았고, 나아가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를 가능케 하였다. 이로 인해 예술은 대중과 더욱 가까워졌고 더욱 깊게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미술이 그렇듯 많은 미디어아트 작품들은 냉소적이고 사회비판적이며 비관적인 경향이 짙은 것이 사실이다. 이는 미디어아트의 출발의 역사가 그러했기 때문인 것도 있겠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예술의 가장 큰 기능이자 역할이 ‘소통’이라 생각하는 바, 관객에게 친숙하게 다가가 함께 소통을 할 수 있는 작품을 본 연구를 통해 제작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논할 작품은 미디어아트의 인터랙티브적인 특성을 최대한 부각시키되 기술에 치중하지 않는다. ‘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콘셉트를 관객에게 친근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작품은 3년여에 걸쳐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제작되었으며 작품 형식은 미디어 설치(Media Installation)와 넷아트(Net Art)의 형식을 모두 취하는 복합적인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식은 관객의 참여를 통해 쉽게 소통을 유도한다. 따라서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보다 쉽게 경험하고자 하는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 방법에 의의가 있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이 참여함으로써 작가와 의사소통을 하고 관객과의 지속적인 피드백에 의해 작품의 순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특성을 지녔다. 관객의 참여는 미디어아트를 소통의 예술로 승화시키는 장치이며 보다 쉽게 관객에게 스며들 수 있는 예술의 핵심 방법이다. 따라서 본 작품은 관객이 작품에 참여하여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관객과 작품이 그리고 관객과 관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작품은 이와 같은 상호작용을 위하여 플래시(Adobe Flash) 및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로 제작되었으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본 작품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모든 사람이 이 작품을 통해 상호작용하며 즐거움을 느끼고 서로 소통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Art has served many roles throughout the centuries, and will continue to do so into the future. Most importantly, art serves the role of a medium for communication. The topic of 21st century is communication between art and people and th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amongst people through the medium of art represents art it self and the role of it. The contemporary art of the 21st century has faced a new paradigm since the advent of the Internet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at has given rise to a new genre called ‘media art’, and furthermore, has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interactive media art. Through this, art has moved closer to the public and has enabled more in-depth communication than ever before. However, like contemporary art, many media art works tend to be very cynical, critical of society, and pessimistic. That may reflect the history of the emergence of media art. However, I intend to create art work which enable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a familiar way.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communication as the most significant function and role of art. This study highlights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which will be discussed in-depth but will not place a disproportionate focus on techn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vey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to the audience in a familiar way. The art work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study which was conducted over three years, and has a complex form which incorporates both the ‘media installation’ and ‘net art’ at the same time. This form allows the audience to engage more easily and be involved in the communication.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discovering the interactive way of expression, to enable an easi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art work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Interactive art is characterized by its ability to purify the art work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rtist and the continuous feedback from an engaged audience. The engagement of the audience represents the mechanism to sublimate the media art into the art of communication, and is the essential method of allowing art to permeate into the heart of the audience. Thus, this art work is intended to indu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art work and the communication among the audience by allowing the audience to engage in the art work. This art work was created using Adobe Flash and Java Script to enable the aforementioned communication and is based on the Internet. Thus, this art work is meaningful for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all people, to interact, to feel joy and communicate through the medium of this art work, transcending both time and sp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