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진숙-
dc.contributor.author이은혜-
dc.creator이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77-
dc.description.abstractKoreans like to go to mountain for trekking as an outdoor leisure activity. These populations are increasing because they became to awar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outdoor activities for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re has been many specialized brands for functional outdoor wear. The design and material of their products are very much focused for the trekking activity. However there is an emerging trend in this sector of the market, i.e. merge of outdoor wear functionality and townwea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utdoor wear which satisfy both aesthetical needs and functional requirements so that it can be worn as a townwear as well as an outdoor wear for the women of their 20s and 30s. A survey of 304 female trekker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preferred trekking season, the purpose of trekking, buying habits of outdoor wear and preferred design features. Additional survey of pattern designers of 4 manufacturers and sales managers of 14 retailer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ir market strategies such as target age band, price range and design concepts. Koreans prefer Autumn for trekking. Most of the trekkers are go to mountain with their family or friends as a leisure activity not for profession. Jacket size 90, 85 and pants size 70, 67 are mostly used. Pants, T-shirt with round neckline, wind breaker, T-shirt with zip opening and waterproof jacket are quite common items for Korean trekkers. It is considered that water vapour transport properties and breathability are primary requirements for the functionality. Customers think the design of the outdoor wears are more or less the same, in other words, indifferent design. Significantly improved design, such as interesting, different and trendy design, must be offered to the customers. Through the survey about design preference, favoured design features and construction details were recogniz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is decided to develop jacket, T-shirt, pants. In order to make block patterns for these items, currently being used block patterns for 3 items of 3 manufacturers were compared. The size of the patterns were jacket size 95, pants size 70. The garments made of those block patterns were wearing tested by 10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wearing tests, researchers block patterns for 3 items were developed. For designing, at the first stage, 12 designs for each item, pants, T-shits and jacket, altogether 36 designs were developed after researching 2009, 2010 trends of outdoor wear and their material. These 36 design drawings with material swatches were presented to 362 female trekkers, who were asked to choose their preferred design. The half of them, 6 designs of each item were selected. These 18 designs were made up into the experimental garments, their materials were from 2009, 2010 outdoor wear collection. The experimental garments were graded by 5 female trekkers according to comforts after actual wearing, and also graded by 10 observers according to appearance. In the end both 5 wearers and 10 observers graded 16 experimental garments according to functionality and design satisfaction as a townwear as well as an outdoor wear. Another design preference test by 12 sales manager of outdoor wear retailer and 397 trekkers was based on wearing photos of 16 experimental garments. After considering and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2 designs of each item, altogether 6 designs were finally selected. The 6 designs were refined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s, functionality and design. These enhanced designs were made up into final researched garment. Followings are brief description of each design. Jacket 1 is a waterproof wind breaker of navy and gray color polyester coated fabric. The jacket has a slim waist line and covers the hip. Front opening has a waterproof zip and placket for windproof effect. There is a detachable hood with stopper around the face line. Inside the cuffs, the rib cuffs of sweat absorbent PET absorb the sweat and prevent cold air from outside. Jacket 2 is a hip length waterproof wind breaker. It is made of pink and brown check patterned nylon coated fabric. The jacket has a feminine look of A-line silhouette. Partial bias cut and the decorative waistband with buckle made the jacket very charming, so that the jacket can be worn as a townwear. The neck line is finished using sweat absorbing knitted fabric for better sweat absorbance and insulation. T-shirts 1 is a shirt made of sweat absorbent PET knitted fabric of deep purple and black color combination. This slim shirt has puff sleeve and deep V line in front to make it a feminine look like a blouse. It has a shirts collar with front opening fastened by zip. T-shirts 2 is also a zip up shirt made of green and gray colored knitted fabric, which is a blend of polyester, cotton and spandex. The material has sweat absorbent properties and stretchability. The waist line is quite slim but around the bust line there is a room to move easily. Leg of mutton sleeve and princess line made it looks like a feminine casual shirts. Another design point is a muffler of sweat absorbent fabric, which can add sun block effect. Pants 1 is made of pink fleece, which is a blend of nylon and lycra. The combination fabric is black fleece. This boots cut pants are slim beneath the knee. 3 pleats tucked in front of the knee, and 2 darts inserted behind the knee would be helpful bending the knee. Many pockets and elastic band inserted at the side of waistband are also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Pants 2 is made of navy colored nylon and polyester blend. Also black kavlar is used for back yoke and gusset as the combination fabric. The silhouette is slim. The design point is the 23cm gusset inserted from the hem. The gusset is hidden under the zip, so that they can be open to make hem line wider. Many pockets, elastic bands at the side of the waistline and the buckle made it more casual and interesting. Final wearing test were conducted on the 6 garments by the same grading method. The final 6 garments were graded much better than previous experimental garments. As a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right material, right design and right construction is necessary to develop outdoor wear of both functionality and fashionable.;본 연구의 목적은 등산복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활동성과 기능성이 갖추어져 있는 동시에 20~30대 여성의 심미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타운웨어 겸용 등산복을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으로써 여가선용 및 건강증진을 위한 레저스포츠 활동이 대중화, 전문화 되어가고 있다. 그 중 등산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면서 육체적, 정신적인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레저 활동으로 매우 각광을 받 고 있다. 등산인구가 급증하고, 특히 여성 등산인구가 2000년대 들어 크게 증가하면서 기능성만을 추구했던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디자인과 트렌디한 패션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등산복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등산복의 착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등산을 즐기는 20~30대 여성 소비자 304명을 대상으로 등산 시기 및 목적, 등산복 구매 및 착용실태, 선호하는 등산복 디자인 관련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등산복업체의 생산 및 판매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생산업체 4곳과 판매업체 14곳을 방문하여 패턴사와 매장 매니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소비자 착용실태 조사 결과, 등산을 하는 계절로 ‘가을’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전문 산악인보다 취미활동이나 가족과 함께 등산을 즐기는 일반 비전문 산악인이었다. 착용하는 등산복의 호칭은 상의 90, 85, 하의 70, 67 순으로 나타났고, 소유한 아이템은 바지, 라운드티셔츠, 바람막이 재킷, 짚업티셔츠, 방수재킷 순으로 나타났다. 등산복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능성은 흡수속건성과 통기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등산복의 개선점, 구입조건, 브랜드 선호이유 등의 설문항목에서 ‘획일적인 디자인’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나 디자인개발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관련 문항에서는 부분적 디테일의 선호경향을 알아보았다. 재킷은 스탠드칼라(stand collar)에 탈부착되는 후드(hood) 형태를, 소매단은 부분적 고무밴드를 사용하면서 벨크로 여밈장치를 사용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티셔츠는 스탠드칼라에 지퍼여밈이 있는 형태, 허리피트정 도는 적당한 여유를 가진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바지는 허리 옆 부분적 고무밴드 형태와 일자(straight) 실루엣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및 판매업체 조사 결과 생산되는 타겟 연령보다 판매되는 타겟 연령의 범위가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나 타겟 연령층을 세분화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컨셉 전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해지고 있는데 비해 생산라인이 익스트림(extreme)라인으로 치중되어 있고, 생산라인 구분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생산되는 치수의 범위가 브랜드마다 다르고 호칭도 체계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비전문 여성등산인을 타겟으로 하는 특성화된 생산라인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재킷, 티셔츠, 바지를 연구 아이템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아이템의 연구원형 개발을 위해 3곳의 등산복업체에서 재킷, 티셔츠, 바지의 패턴을 각각 3개씩 수집하여 기존원형이라고 하였다. 패턴치수는 대부분의 업체에서 기준사이즈로 사용되고 있는 상의 95, 하의70이었다. 기존원형의 비교 분석을 위하여 기존원형으로 제작한 기존원형복에 대하여 착의실험을 하였다. 착의실험에서 10명의 피험자들은 동작평가를, 10명의 평가자들은 외관평가를 실시하였다. 착의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연구원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 된 연구원형은 실험의류와 연구의류 제작 시 기본원형으로 사용되었다.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2009, 2010년 F/W 스포츠웨어 트렌드와 등산복 소재 트렌드를 분석하여 재킷, 티셔츠, 바지 3개의 아이템별로 12개씩, 총 36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들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소재 샘플을 첨부하여 제시된 도식화에 대해 362명의 여성 소비자들 대상으로 선호도조사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각 아이템별로 1/2을 선정하여 재킷 6개, 티셔츠 6개, 바지 6개의 디자인이 선정되어 18개의 실험의류로 제작되었다. 제작 시 사용된 소재와 부자재는 모두 등산복전문 업체에서 2009, 2010년 F/W 컬렉션으로 생산된 것이다. 제작된 실험의류는 실제 등산을 즐겨하는 5명의 피험자가 동작평가를, 전문가 집단인 10명의 평가자가 외관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 피험자와 평가자 모두가 각 실험의류에 대하여 등산복 및 타운웨어로서의 기능성과 디자인 만족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397명의 여성 소비자와 12개의 등산복매장의 매니저들에게 각 실험의류의 착장사진을 제시하여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하였다.이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18개의 실험의류 중 재킷 2개, 티셔츠 2개, 바지 2개를 선정하고 우수하게 평가된 디자인 요소들을 조합하여 동작적응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기능성과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인 최종 연구의류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연구의류의 특성을 아이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재킷 1은 navy와 gray 폴리에스터 코팅직물을 사용한 바람막이 겸용 방수재킷이다. 길이는 엉덩이를 덮는 정도이며, 기존 등산복 보다는 허리 옆선이 들어가 슬림한 외관을 구성하였다. 앞중심에는 플래킷이 있어 2중으로 바람을 막아 보온성을 높였고, 앞여밈은 방수지퍼를 사용하여 등산 시 날씨 변화에 대비하였다. 또한 목둘레에 구성된 후드는 지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둘레에는 스토퍼(stopper)를 사용하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핸드포켓과 뒤요크부분에 포켓을 구성하여 수납공간을 넉넉하게 하였으며 모두 콘솔지퍼로 처리하여 분실위험을 줄였다. 소매부리 안쪽에는 흡수속건소재로 고무밴드 처리하여 땀 흡수와 동시에 바람이 손목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어 보온성을 높였다. 재킷 2는 pink 체크무늬와 brown 나일론 코팅직물을 사용한 바람막이 겸용 방수재킷이다. 길이는 엉덩이선 정도이고 슬림한 A라인 실루엣으로 여성스러운 곡선을 부각시킨 재킷이다. 또한 부분적으로 바이어스 재단하여 나타나는 체크무늬의 경쾌한 대비와 장식적 버클이 붙은 허리벨트 등의 디자인 요소를 사용하여 타운웨어로서 세련미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목둘레 부분에는 편성물의 흡수속건소재를 사용하여 땀 흡수와 보온성을 높였으며 동시에 목둘레의 자외선 차단 기능을 높였다. 목둘레는 끈으로 둘레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 티셔츠 1은 기존등산복과는 다르게 deep purple과 black의 배색으로 모던한 느낌이 드는 짚업 티셔츠로서 흡수속건성 폴리에스터 인터록편성물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슬림한 라인에 퍼프소매와 깊게 파인 V라인을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블라우스 느낌의 타운웨어로서 매우 여성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셔츠칼라를 달고 앞중심에 지퍼를 사용하여 탈착의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핸드포켓을 두어 수납이 가능하게 하였다. 티셔츠 2는 green과 gray 폴리에스터와 면, 스판이 혼방된 편성물을 사용한 짚업 티셔츠이다. 가슴둘레에는 여유를 주고 허리둘레는 슬림하게 하면서 흡수속건성과 신축성이 뛰어난 편성물을 사용하여 등산에 필요한 활동성과 기능성을 강화시켰다. 스탠드칼라와 앞여밈에 지퍼를 사용한 심플한 디자인이지만 레그오브머튼(leg of mutton)소매와 프린세스라인으로 여성미를 돋보이게 하였다. 또한 배색으로 사용한 흡수속건소재로 머플러를 디자인하여 보온성은 물론 자외선 차단효과까지 제공하였다. 바지 1은 pink 나일론과 스판덱스 혼방인 플리스(fleece)직물을 사용하였고, 앞 요크부분에는 black 나일론, 스판, 아쿠아(aqua)혼방인 플리스 직물을 사용한 보온성이 뛰어난 바지이다. 전체적 실루엣은 무릎둘레선 아래로 슬림한 라인을 이루 는 부츠컷(boots cut)이다. 앞무릎선에 턱(tuck)을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3개 구성하였고, 뒤무릎선에는 가로 절개선과 세로방향의 다트를 2개 구성하여 슬림하면서도 무릎굽힙성을 우수하게 하였다. 핸드포켓과 키포켓(key-pocket), 힙포켓(hip-pockt)이 구성되어 수납이 용이하다. 또한 옆허리선에는 고무밴드가 구성되어 허리둘레 조절이 자유롭다. 바지 2는 전체적으로 navy 나일론과 폴리우레탄 혼방직물을 사용하였고, 뒤요크부분과 바지부리의 무(gusset)부분에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터, 폴레우레탄 혼방인 케블러(kavlar)직물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슬림한 실루엣에 바지부리에는 길이 23.0cm, 폭 9.7cm의 무가 지퍼 안에 들어 있어 둘레 조절은 물론 실루엣에 변화를 줄 수 있게 하였다. 핸드포켓과 힙포켓을 구성하여 수납이 용이하며, 옆허리선에 고무밴드와 버클장식을 함께 구성하여 허리둘레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캐주얼한 느낌을 연출하였다. 뒤요크와 무부분은 케블러원단을 사용하여 내마모성이 강하며 navy와 black컬러로 구성되어 패션성을 높였다. 이상의 연구의류는 실험의류와 동일한 피험자와 평가자로 구성하여 동작 및 외관 평가와 기능성 및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를 통해 실험의류보다 월등하게 우수한 등산복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타운웨어 겸용 등산복을 개발할 때는 첫째, 흡수속건성과 통기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 사용, 둘째, 활동성에 불편함이 없는 패턴제작, 셋째, 기존 등산복과 차별화된 트렌디한 디자인 개발, 이 세가지 요소 가운데 어느 하나도 부족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등산을 즐기는 20~30대 여성이 증가하면서 생산업체의 세분화된 타겟 설정과 다양한 디자인 전개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기능성과 동시에 패션성을 만족시키는 등산복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레저 스포츠로서의 등산 = 4 1. 등산의 개념 및 이점 = 4 2. 레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5 B. 등산복의 종류와 소재에 요구되는 기능성 = 6 1. 등산복의 종류 및 요구되는 특성 = 6 2. 등산복 소재에 요구되는 기능성 = 11 C. 국내 등산복 시장 및 소비자 현황 = 19 1. 국내 등산복 브랜드의 현황 = 19 2. 등산복의 소비자 현황 = 22 D. 2009, 2010년 F/W 스포츠웨어 트렌드 분석 = 2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4 A. 등산복 소비자의 착용실태 조사 = 37 1. 예비조사 및 본 설문 조사기간 = 37 2. 조사 대상 및 내용 = 37 3. 자료 분석방법 = 38 B. 등산복 생산 및 판매업체의 현황 조사 = 38 1. 조사 기간 및 방법 = 38 2. 조사 대상 및 내용 = 38 C. 연구원형 개발 = 40 1. 기존원형복 제작 및 착의평가 = 40 2. 연구원형복 개발 및 착의평가 = 56 D. 디자인 전개 및 선호 디자인 조사 = 57 1. 디자인 및 소재기획 = 57 2. 디자인 전개 및 선호 디자인 조사 = 60 E. 실험의류 제작 및 착의평가와 선호 디자인 조사 = 62 1. 디자인 전개 및 제작 = 62 2. 착의평가 = 62 3. 선호 디자인 조사 = 70 F. 연구의류 개발 및 착의평가 = 71 1. 연구의류 개발 = 71 2. 연구의류 착의평가 = 75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76 A. 등산복 소비자의 착용실태 조사결과 = 76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사항 = 76 2. 등산 기간 및 목적 관련 사항 = 77 3. 등산복 구매에 관한 사항 = 79 4. 등산복 착용 관련 사항 = 82 5. 디자인 관련 사항 = 98 B. 등산복 생산 및 판매업체의 현황조사 결과 = 104 1. 조사대상 업체의 일반사항 = 104 2. 생산업체의 신체치수 사용현황 = 107 3. 판매업체의 현황 = 108 C. 연구원형 개발 결과 = 119 1. 기존원형복 제작 및 착의평가 결과 = 119 2. 연구원형 개발 및 착의평가 결과 = 160 D. 디자인 전개 및 선호 디자인 조사 결과 = 194 1. 디자인 및 소재전개 결과 = 194 2. 선호 디자인 조사 결과 = 219 E. 실험의류 제작 및 착의평가 결과와 선호 디자인 조사 결과 = 222 1. 디자인 개발 및 제작 결과 = 222 2. 착의평가 결과 = 264 3. 선호 디자인 조사 결과 = 305 F. 연구의류 개발 및 착의평가 결과 = 308 1. 디자인 및 패턴 개발 결과 = 308 2. 착의평가 결과 = 359 Ⅴ. 결론 및 제언 = 376 참고문헌 = 381 부록 = 391 부록 1 등산복 소비자의 착용실태에 관한 설문지 = 392 부록 2 등산복 생산 및 판매업체의 현황에 관한 설문지 = 403 부록 3 기존원형 패턴제도법 = 409 부록 4 기존원형복 및 연구원형복 착의평가지 = 418 부록 5 실험의류 및 연구의류 착의평가지 = 422 부록 6 연구원형복 동작평가 착의실험 사진 = 426 부록 7 연구의류 동작평가 착의실험 사진 = 429 Abstract = 4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613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20~30대 여성을 위한 타운웨어 겸용 등산복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Development of Outdoor Wear to be Wearable as Townwear: for Women of Their 20s and 30s-
dc.creator.othernameLee, Eun hye-
dc.format.pagexix, 43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