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혜선-
dc.contributor.author김수아-
dc.creator김수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0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02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automated custom-made pattern development system for mass-customized cloth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ly women who were often dissatisfied with the fit of their clothing because of changes in their body shapes. This system will meet their needs and enable the apparel manufacturers to lower stock levels. In order to establish this system,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19 apparel manufacturers aimed at elderly women consumers was researched. Out of the 19 companies, only five were selected. The criteria for selection were the sale of their products in department stores, a large-sized production line and good sales results. Additionally, the patterns of their tailored collar jackets and straight pants in 2003/2004 F/W were used for test clothing to evaluate their fit of the clothing. The subjects of anthropometry and a wearing test were 158 elderly women aged 60 years and older. Through the test, the size suitability and preferences of appearance, fit, and movement adaptability were identified, and the sizes of those pattern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ose procedures, the proper ease for each elderly women's body part was drawn and the pattern database for elderly women was developed. The size chart of standard clothing was organized and the alteration rule of the pattern was adopted. Item, design option and design sub-option were also virtually chosen and created to enable not only customized fit but also customized design when clothing is produced by mass-customization. Finally, in order to develop and run the automated system, a batch processing was carried out for automatic alteration and marker production by using the apparel CAD system and the MTM (Made-to-Measure) CAD system. Custom-made jackets and pants were produced by performing pattern alteration for five elderly women, and the compatibility of the automated system was tested by comparing test clothing with ready-to-wear garments without the pattern alt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production condition of the 19 ready-to-wear apparel companies, the silver zone brand group revealed the following figures regarding their body shapes: 58.3% of them had a thick waist type, 16.7%, a normal body shape, and 25.0%, big hips. Further, 91.7% of them were average height and 66.7% of them had a fat body. These results supported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is, as elderly women get older, their posture tends to bend forward, which leads to reduced height. Also, most of them showed a tendency for abdominal obesity. Out of the consumers who had asked for customized clothing, 50% of them had a big abdomen; in terms of their body shape, 58.3% of them had an H type-body. This indicates that consumers with a big abdomen might hold the highest level of dissatisfaction with the fit of their ready-to-wear clothing. Therefore, for elderly women, there should be additional ease in circumferences. 2. Results of the wearing test of ready-to-wear showe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regard to appearance and movement adaptability was similar between subjects and experts, despite some differences. The result of pattern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ttern which was evaluated to be the most satisfactory for jackets had a long distance from neck point to waistline and a lengthy waist back. In addition, just a slight difference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hip circumference, a lower jacket under-collar height and a big abdomen circumference was noted. As for the pants, the pattern with a short vertical crotch length, a lower point of the waist belt, and the smallest difference in the front and back length of the crotch was the most satisfying factor. Therefore, based on the above test results, the proper ease was calculated for each body part. In terms of the jacket, proper ease for the bust, waist, abdomen, and hip circumferences was 8cm, 8cm, 10cm and 15cm, respectively and lengths of the front and back interscyes were 1cm and 3cm. For the pants, -3.5cm for waist, 7cm for abdomen, and 9cm for hip circumferences were calculated as proper ease. This ease was applied to patterns for the elderly women, which would be used for operating in the automated system. 3. Pattern database for the system was established by inputting new basic patterns and graded patterns of the jacket and pants. The size label of jacket was classified based on bust-hip circumferences according to Korean Standard(KS) sizing systems for elderly women's garments; for the pants, the size label was classified based on waist-hip circumferences. Accordingly, the size label of jackets was 85-85, 88-88, 94-94, 100-100, 103-103, and 109-109, and that of pants was 73-85, 79-88, 85-94, 88-100, 94-103, and 100-109. The clothing pattern database was established on these sizes. 4. The system was organized by making a size chart for standard clothing by item, systemizing the proper alteration rule, using MTM CAD System. The system was designed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alteration amount and alter the garment pattern when each consumer's body measurements were entered. To develop this system, all the points of the pattern pieces were identified by number, and the alteration rule of each pattern was converted into a percentage. Finally, an alteration chart was made. For the jacket, the location for pattern alteration was consisted of the circumferences of bust, waist, and hip, the biacromion length, and the length of jacket and sleeve length. For the pants, circumferences of waist and hip and the length of pants were selected. 5. As for the mass customization in the apparel industry, item, design option and design sub-option were virtually offered to make it possible to produce custom-made clothing based not only on fit by the automated custom-made pattern development system, but also design and style. The options for a jacket included the number of buttons, type of vent and shape of lapel; the options for the pants were type of pocket, the cuffs of the bottom hem or no option. 6. To test the compatibility of the established system, five subjects were measured, and their order sheet was created. Then the system was operated to automatically alter five patterns of the jacket and pants respectively. The wearing test, through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custom-made garments were judged better than ready-to-wear garments in terms of appearance, fit and movement adaptability.;본 연구는 연령증가에 따른 체형의 변화 및 개인차로 인해 의복의 맞음새 불만족이 높으며 기성복의 개별 맞춤제작 및 수선이 많이 발생하는 실버여성의 의복 맞음새를 만족시키며 제조업체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실버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패턴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량생산 시스템과 개별맞춤 시스템의 장점을 융합한 생산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생산을 위한 주문형 맞춤 패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체제에서의 패턴 자동화는 대량생산체제에서는 얻을 수 없는 개별 신체적합성이 높은 의복의 신속한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먼저 실버여성 소비자를 포함하는 19개 기성복 업체의 제품생산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들 업체 중 백화점에 입점되어 있으며 생산업체 규모가 크며 매출이 높은 실버여성 의류업체의 2003/2004년 F/W에 생산되었던 제품의 패턴을 이용하여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만 60세 이상 실버여성 158명에 대하여 인체측정을 실시하고 동시에 실험복 재킷 5개, 팬츠 5개에 대한 착의적합성 평가를 위한 착의실험을 실시하여 각 실험복의 부위별 치수적합성, 외관·맞음새·동작적응성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각 실험복의 패턴치수를 분석한 뒤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실버여성의 인체 부위별 적정여유분을 도출한 후, 실버여성을 위한 재킷 및 팬츠 패턴을 제작하고 그레이딩하여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기준의류에 대한 사이즈차트를 구성하고, 각 패턴부위별 수정변량 룰을 설정하였으며,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생산 시 치수 외에도 디자인에 의한 맞춤 생산이 추가로 가능하도록 아이템, 디자인 선택사항, 세부 디자인 선택사항을 가상으로 선정하여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패턴제작 소프트웨어와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소프트웨어인 Gerber사의 MTM CAD 시스템을 상호연결하여 패턴의 자동수정 및 자동 마커제작이 가능하도록 연계작업을 실시하여 패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가동한 후, 실버여성 피험자 5인을 대상으로 패턴 자동 수정작업을 진행하여 개별맞춤 재킷 및 팬츠 시제품을 제작하고 기존복과 비교·평가하여 구축된 시스템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19개 기성복 업체의 제품생산 실태조사결과, 실버존 브랜드군의 경우 소비자의 체형분포가 허리가 굵은 형이 58.3%, 보통 체형이 16.7%, 엉덩이가 큰 형이 25.0%로 나타났으며, 보통 키와 뚱뚱한 체형이 각각 91.7%, 66.7%로 높은 비율을 보여 실버여성이 연령증가에 따라 굴신체형이 되어 키가 작아지면서 너비에 비해 두께가 큰 원통형을 나타내어 대체적으로 복부비만에 해당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또한 개별맞춤을 의뢰하는 소비자 중 배가 나온 체형이 전체의 50.0%를 차지하였으며, 개별맞춤을 의뢰하는 소비자 체형은 일자형(H형)이 58.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복부가 돌출된 체형의 소비자가 기성복의 맞음새 불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추측되므로 실버여성 대상 의복 패턴의 경우 체간부에 해당하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배둘레 항목의 추가여유분을 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기성복 착의적합성 평가 결과 피험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이 느끼는 전체적 만족도 즉 외관, 맞음새, 동작적응성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순위는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패턴분석 결과 가장 우수한 만족도를 가진 의복으로 평가된 패턴은 재킷의 경우 목옆허리둘레선길이와 등길이가 길고 엉덩이둘레 앞뒤차가 작고 뒤목세움분이 작고 배둘레가 큰 패턴으로 분석되었으며 팬츠의 경우 밑위길이가 짧고 허리벨트 높이가 낮으며 샅앞뒤길이의 앞뒤차가 가장 작은 패턴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 맞음새 평가에서 가장 높은 만족을 보인 피험자의 부위별 신체치수와 패턴치수의 차이를 추출하여 주요 신체부위별 적정 여유분을 산정하여 연구패턴의 개발에 이 결과치를 적용하였다. 재킷의 경우 가슴둘레 8cm, 허리둘레 8cm, 배둘레 10cm, 엉덩이둘레15cm, 앞품 1cm, 뒤품 3cm, 팬츠의 경우 허리둘레 -3.5cm, 배둘레 7cm, 엉덩이둘레 9cm로 여유분이 산출되었으며 이 값들을 패턴에 적용하여 패턴 자동화 시스템에 사용할 연구패턴을 제작하였다. 셋째, 재킷 및 팬츠의 연구패턴 및 그레이딩된 패턴 결과물을 이용하여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호칭은 노년 여성을 위한 여성복 치수(KS K 0055)에서 사용하는 기본신체치수를 기준으로 재킷은 젖가슴둘레-엉덩이둘레, 하의는 허리둘레-엉덩이둘레의 조합으로 설정하였다. 키는 체형과 무관하게 범위가 너무 다양하며 의복의 개별맞춤 생산 시 자동 수정되는 부분이므로 호칭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재킷은 85-85, 88-88, 94-94, 100-100, 103-103, 109-109 호칭, 팬츠는 73-85, 79-88, 85-94, 88-100, 94-103, 100-109 호칭을 대상으로 실버여성 의류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넷째, 의복 아이템 별 기준 의류에 대한 사이즈차트를 구성하고 수정변량을 선정하여 수정변량 룰을 시스템화 한 뒤 MTM CAD System을 이용하여 실버의류의 생산업체 및 의류 쇼핑몰에 도입할 수 있는 의류패턴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은 각 소비자의 인체치수의 입력과 함께 수정량이 계산되어 자동으로 패턴이 부위별 비율에 맞게 수정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패턴 피스의 모든 포인트에 고유번호를 설정한 뒤, 자동패턴 수정이 될 항목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부위별 수정변량을 비율(%)로 환산하여 차트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패턴수정을 위한 항목은 재킷의 경우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어깨너비, 재킷길이, 소매길이로 구성하였으며 팬츠의 경우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팬츠길이로 하였다. 다섯째,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 생산 시 본 연구에서 시행한 패턴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치수별 맞춤 생산 외에도 디자인별 맞춤 생산이 가능하도록 아이템, 디자인 선택사항, 세부 디자인 선택사항을 가상으로 선정하여 제안하였다. 아이템은 재킷과 팬츠로 설정하였으며 재킷에서는 버튼의 수, 뒤트임의 종류 라펠의 , 형태를, 팬츠에서는 포켓의 형태, 밑단의 커프스 여부에 대한 사항을 선택요건으로 설정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여섯째, 구축된 패턴 자동화 시스템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버여성피험자 5인을 선정하여 인체측정을 실시하고 주문서를 작성, 시스템을 가동하여 재킷 및 팬츠 각각 5개 패턴의 자동 수정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완성된 패턴으로 연구복을 제작하여 각 피험자별 착의상태를 피험자, 의류학 전공 검사자 7인, 실버여성 검사자 9인이 관능평가하였다. 평가는 연구복과 기성복 착의적합성 평가실험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3가지 실험복을 포함하여 총 4가지 의복에 대하여 진행되었다. 그 결과 재킷 및 팬츠 모두 연구패턴 및 연구복의 외관 만족도, 맞음새 만족도, 동작적응성이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 6 1.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정의 및 현황 = 6 2.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생산현황 = 12 3.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에 관한 의류학 분야 선행연구 = 18 B. 의복의 주문형 맞춤생산을 위한 패턴 자동화 시스템 = 20 1. 주문형 맞춤생산 현황 = 24 2. 주문형 맞춤생산을 위한 시스템 = 28 3. 의복패턴 주문형 맞춤생산 관련 연구현황 = 35 C. 실버여성의 체형특성과 의복 = 39 1. 실버세대의 체형특성 = 39 2. 실버여성 의류의 설계에 필요한 조건 = 43 3. 현 실버여성 의류의 문제점 = 46 4. 의복의 맞음새와 패턴 = 4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54 A. 기성복 생산업체 실태조사 = 56 1. 조사대상 및 시기 = 56 2. 조사방법 = 57 B. 인체측정 및 기성복 착의적합성 평가실험 = 60 1. 조사대상 및 시기 = 60 2. 조사방법 = 61 C. 기성복 패턴치수 측정 및 분석 = 74 1. 기성복 패턴치수 측정 = 74 2. 기성복 패턴 비교분석 = 79 D. 연구패턴 제시 = 79 1. 패턴 부위별 여유분 추출 및 연구패턴 제시 = 79 2. 그레이딩 = 80 E.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평가 = 80 1.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 구축 = 80 2.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 검증- 시제품 제작 및 착의평가 = 81 Ⅳ. 연구결과 = 83 A. 기성복 생산업체 실태조사 결과 = 83 1. 브랜드별 대상연령 및 차별화 요인 = 83 2. 주 구매자 및 개별맞춤주문자 체형특성 = 85 3. 수선부위 및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부위 = 91 4. 마스터패턴의 치수 및 의복사이즈별 판매율과 수선율 = 94 5. 인체치수 사용현황 및 패턴 제작현황 = 96 6. 기타 문항 = 101 B. 인체측정 및 기성복 착의적합성 평가실험 결과 = 104 1. 체형특성 분석 = 104 2. 기성복 착의실험 결과 = 110 C. 기성복 패턴분석 결과 = 122 D. 연구패턴 제시 = 131 1. 패턴 부위별 적정 여유분 추출을 통한 연구패턴 제시 = 131 2. 그레이딩 = 138 E.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검증 결과 = 142 1.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의 단계별 구성 = 142 2. 의류패턴 자동화 시스템 구축 = 146 3. 의류패턴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한 시제품 제작 = 160 4. 착의평가 결과 = 176 Ⅴ. 결론 및 제언 = 188 A. 결론 = 188 B. 제언 = 193 참고문헌 = 195 부록 1. 생산업체 실태조사 설문문항 = 206 부록 2. 기성복 착의적합성 평가실험 평가지 = 210 부록 3. 착의실험 평가지 = 212 부록 4. 착의실험 사진 = 218 Abstract = 2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794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생산을 위한 실버여성 의류 패턴 자동화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utomated Custom-Made Pattern Development System for Elderly Women for Mass-Customization-
dc.creator.othernameKim, Soo-A-
dc.format.pagexii, 23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