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재숙-
dc.contributor.author오지혜-
dc.creator오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9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98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king technique and inheritance of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focusing the Sanjo Gayageum. The Gayageum, a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 handed down to us from ancient times, has historically existed as various types with shape, size, and strings. The musical instrument making, however, has not been fully studied because it has been regarded as a field only for master craftsmen. This is why it is difficult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making. On the other hand, as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are improved and developed while both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m are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record the making. In the public sector, after the 1945 liberation, musical instrument makers belonged to Yi-wang-jik-a-ak-bu had made musical instruments for the nation. In the end, as they died, there was no making for the nation. In the private sector, musicians, who originally belonged to Yi-wang-jik-a-ak-bu, and local instrument makers mainly in Jeongeup in Jeolla Province continued the making. On the other hand, since 1971, the government has been operating the Master of Musical Instrument system, by which making techniques of masters of musical instrument,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managed and preserved. There have been ten masters of musical instrument up to this day. It appears that current musical instrument making techniques were handed down by the late Kim, Kwangju who was the first master of musical instrument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 So far, however, the musical instrument making depends on personal know-how and experience of masters of musical instrument. Making techniques have been handed down oral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collect and manage records on the musical instrument making. The general making process of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is the following in order: Selecting materials, making parts, painting, making strings, painting symbols and decorating, assembling parts into a complete whole, and tuning. Given that materials and making techniques can affect original tones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important to follow the traditional making process. As a material of the sounding board of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paulownia has traditionally been used; it is needed to select an appropriate wood and to naturally process it. Ironing is the optimal way to preserve the nature of paulownia during the making process. Lacquering is an effective way to paint the instrument. We can find lacquered string instruments which were made approximately in the first century B.C. The strings, made of silkworm silk, serve a fundamental role in creating tones of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In these day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duce better silkworms which contain more sericin. Attractive decorations and symbols on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ound. However, they serve as both fac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signs of masters of musical instrument. Sanggamgibup (inlay), Geumnihwa (painting with gold dust), Seogak (calligraphy-carving) are ways to decorate the sounding board and Jwadan (the head part of Geomungo), being officially preserv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is regard, we can know that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are not only musical instruments but also great artworks which have precious values. It is also important - regarding the careful making process of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 to best preserve those string instruments. For the purpose, controlling humidity around them is crucial to prevent the wood and the glue from being transformed, with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s of natural materials. Unlike usual artworks,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can sound as their function. Given each instrument's originality, musical instrument makers should not arbitrarily change making techniques such as selecting materials or processing. Instead,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should be produced with the consideration on traditional making techniques and scientific investigations on them.;본 논문은 산조가야금을 중심으로 전통 현악기의 제작 전승과 제작 기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우리나라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은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 악기로서 오랜 역사만큼 악기의 모양이나 크기, 현의 수 등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그러나 악기제작은 장인의 영역으로 여겨져 연구가 소홀했던 탓에 악기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 현재에도 개량 및 발전이 지속되고 있으며 보급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전통 현악기 제작에 관한 기록과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해방 이후에는 이왕직아악부 소속의 악공(樂工)이 있어 국가의 악기제작을 이어왔으나 그의 사망으로 국가의 악기제작은 맥이 끊겼고, 그 외 악기제작은 이왕직아악부의 악사들과 전라남도 정읍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한 악기제작자들에서 계보를 찾을 수 있다. 한편, 1971년에는 국가에서 무형문화재로 악기장을 지정하여 그 기술을 관리,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10명의 악기장이 있고, 현재 전해지는 제작 방식은 우리나라 첫번째 무형문화재 악기장을 지낸 故김광주를 통해 전수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악기의 제작이 악기장 개인의 안목과 경험에 의존되어 있으며, 제작의 전승이 구전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악기제작의 체계적인 기록과 관리가 요구된다. 악기 제작의 과정은 크게 재료 선택, 울림통 제작, 부품 제작, 도장작업, 현 제작, 문양과 장식, 조립, 조율 등의 순서이며, 악기는 제작과정에 있어 재료와 제작기법에 따라 고유 음색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통적인 제작 방식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 현악기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울림통의 재료에는 예부터 오동나무를 써왔는데, 악기에 적합한 나무를 고르는 것과 자연 가공이 중요하다. 인두질은 울림통인 오동나무의 성격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며, 옻칠은 B.C 1세기의 유물 고대 현악기에도 칠해진 흔적이 있어 그 효과를 입증한다. 전통 현악기 음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누에고치에서 뽑은 생실로 만든 현(絃)에 있다. 전통 현악기 음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누에고치에서 뽑은 생실로 만든 현(絃)에 있다. 현 제조용에 맞게 세리신(sericin)함량이 많은 누에품종을 개발,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 현악기를 돋보이게 하는 장식과 문양은 악기의 소리와는 관련이 없지만, 악기의 얼굴이며 악기장의 징표이다. 좌단과 울림통을 장식하는 방법에는 상감기법, 금니화, 서각 등이 있는데, 이 공예 기술들은 각각 그 기능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것들이다. 이는 전통 현악기가 음악의 연주 기능 뿐 아니라 전통 공예의 기술을 담은 훌륭한 예술품이라는 것으로 더욱 소중한 가치를 증명해준다. 전통 현악기의 세심한 제작 공정만큼 완성된 악기를 최상의 상태로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 현악기의 천연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여 나무와 제작에 사용된 아교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습도 조절이 가장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전통 현악기는 일반 공예품과 달리 궁극적으로 소리를 내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악기의 고유한 음색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선택과 가공 등의 악기 제작 기법이 악기 제작자들에 의해 임의대로 바뀌어서는 안 되며, 우수한 전통 현악기 제작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제작 방식에 대한 고찰과 과학적인 검증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기존연구 검토 = 2 C.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 4 Ⅱ. 전통 현악기 제작 전승 = 6 A. 해방 이후부터 1971년 이전까지 = 6 1. 이왕직 아악부의 제작 = 6 2. 연주자들의 제작 = 7 3. 정읍지방의 제작 = 7 B. 197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 8 1. 무형문화재 악기장 = 8 2. 난계국악기제작촌 = 14 3. 우륵국악기연구원 = 16 Ⅲ. 전통 현악기 제작 기법 = 18 A. 전통 현악기의 구조와 명칭 = 18 B. 전통 현악기의 제작 과정 = 19 C. 울림통 = 21 1. 울림통의 기능 = 21 2. 울림통의 재료 = 22 3. 울림통의 규격 = 30 4. 울림통의 제작 = 33 D. 부품 = 39 1. 안족의 기능과 제작 = 39 2. 현침의 기능과 제작 = 40 3. 돌괘의 기능과 제작 = 42 4. 봉미의 기능과 제작 = 42 5. 운족의 기능과 제작 = 43 E. 인두질 및 도장작업 = 44 1. 인두질 = 44 2. 옻칠 = 46 3. 도장 = 50 F. 현 = 51 1. 현의 기능 = 51 2. 현의 재료 = 53 3. 현의 제작 = 55 4. 현의 개량 = 57 G. 문양과 장식 = 58 1. 좌단 장식 = 58 2. 금니화 = 60 3. 서각 = 63 H. 조립 (Set up) = 65 1. 현 돌괘 걸기 = 65 2. 현 매듭 짓기 = 66 3. 현 학슬 연결 = 67 4. 부들 봉미 꿰기 = 70 5. 부들 매기 = 70 6. 안족 세우기 = 71 I. 전통 현악기 관리 = 72 1. 청결 = 73 2. 보호 = 74 3. 온도 = 74 4. 습도 = 75 5. 현관리 = 76 Ⅳ. 결론 = 77 참고문헌 = 79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398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전통 현악기 제작 전승과 제작 기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산조가야금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Making Technique and Inheritance of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s : Focusing on the Sanjo Gayageum-
dc.creator.othernameOh, Ji-Hae-
dc.format.pageⅶ,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