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황지영-
dc.creator황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9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920-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in order to find the musical variation of descendent interpretation based on Yumbul-Doduri and Taryung in Youngsan hoisang, has primarily compared the scores of Kim Yeong-yoon, Lee Chang-kyu, Hong Won-ki with era of Lee Wang-jik's court music orchestra. Comparison of its rhythm, ornamentation and melody which based on scores of Kim Yeong-yoon~Choi Chung-woong, Lee Chang-kyu~Kim Jeong-ja, Hong Won-ki~Kim In-je's Classical-Gayageum music has also been dealt with. Finally so called mother of currently descending Classical-Gayageum music, Lee Wang-jik's court music orchestra's Gayageum session, and modern music's technique, ornamentation and melody's variation and the comparison has been analyzed. Also Choi Chung-woongㆍKim Jeong-jaㆍKim In-je's score which are currently used has been contrasted in order to find the differences. Results are as follows. In between the scores of orchestra score and Kim Yeong-yoon emerging difference of rhythm, melody and the orientation in Yumbul-Doduri are as follows. Rhythm has shown 27.4% of difference and in its melody, Kim Yeong-yoon's piece has more added notes than orchestra score in four parts. In Taryeong rhythm shows 15.6% of differences, orientation's difference in 6 places and the melody's difference in 11 places. In between the scores of orchestra score and Lee Chang-kyu emerging difference of rhythm, melody and the orientation in Yumbul-Doduri are as follows. Rhythm showed 31.4% of difference and its melody has one place that are different which in Lee Chang-kyu has added notes. In Taryeong 1-2 technic and Jeonseong's rhythm appears to be same but in Ddeuldong's rhythm showed salient difference and its rhythm presents 8.6% of difference. There are 6 places that are diffenrent in orientation and 11 places in melody. In scores of orchestra score and Hong Won-ki's rhythm difference are diverse in 1-2technic과 Jeonseong, Ddeuldong. Rhythm has shown 28.4% of difference and in the melody there are 2 places that are different. In Taryeong rhythm showed difference in all 1-2technic, Jeonseong and Ddeuldong with 24.2%. orientation's difference in 6 places and the melody differs in 4 places. In scores of Kim Yeong-yoon and Choi Chung-woong who are the descendent of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NCKTPA). Difference of rhythm, melody and the orientation in Yumbul-Doduri are as follows. Rhythm has shown 30.4% difference and its variation of time in speedy Yumbul rhythm is the key distinction of two scores. Orientation shows difference in 2 places but the melodies were same. In Taryeong, rhythm and melodies were same and in orientation there were 2 places that were different. In between the scores of Lee Chang-kyu and Kim Jeong-ja emerging difference of rhythm, melody and the orientation in Yumbul-Doduri are as follows. Rhythm has shown 19.6% of difference and in its meldy has 3 parts that are differ. In orientation in total of 306 beats 15 beats appears to be different. In Taryeong rhythm shows 30.4% of differences and In orientation in total of 306 beats 15 beats appears to be different. The character of Taryeong shows faster and more syncopated and also by Lee Chang-kyu and Kim Jeong-ja's basic technique orientation appears to be distinct. The melody differs in 9 places. In scores of Hong Won-ki and Kim In-je. Their distinct difference has shown in left hand technique, Ddeuldong. Rhythm has shown 9.8% of difference. In orientation, most of distinction was shown in Jeonseong and in total of 306 beats 10 beats appears to be different. Melody are almost identical however in Kim In-je's Yumbul-Doduri's ending has 2 more phrase. In Taryeong rhythm like in Yumbul-Doduri appears in Ddeuldong. Rhythm shows 1% difference and in orientation, like Yumbul-Doduri. the difference appears in Jeonseong, in total of 384 beats 7beats appears to be different. Melodies of two scores are identical. The result of comparing orientation of orchestra score with Choi Chung-woong Kim Jeong-ja Kim In-je are as follow however in orientation of orchestra score, limited inscription of Jeonseong and Ddeuldong wasn't accurate therefore it has been excluded. By comparing Choi Chung-woong Kim Jeong-ja and Kim In-je's scores, Toiseong and Jeonseong showed a lot of differences. Difference in Orientation in Yumbul-Doduri total of 306 beats 50 beats appears to be different and in Taryeong total of 384 beats 81 beats appears to be different. Finally between those 3 scores, Kim Jeong-ja's score had used plenty of orientation which were not in other two scores. Result of comparison of melody and rhythm's similarity between orchestra score and 3 scores that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In Yumbul-Doduri orchestra score and Choi Chung-woong has 85.3% similarity, with Kim Jeong-ja showed 65.7% and with Kim In-je showed 64.7%. orchestra score and Choi Chung-woong's melody, Ddeuldong 1-2technic were mostly similar. In Taryeong orchestra score and Choi Chung-woong showed 70.3%, with Kim Jeong-ja 66.4% and with Kim In-je showed 64.8%. Like in Yumbul-Doduri in Taryeong, orchestra score and Choi Chung-woong's melody Ddeuldong rhythm were mostly similar. Analysis of 3 scores mentioned above in Yumbul-Doduri and Taryeong's melody, rhythm's similarity are as follows. In Yumbul-Doduri melody movement of Choi Chung-woong and Kim Jeong-ja has 63.7% similarity and Choi Chung-woong and Kim In-je has 62.7% simiarilty with different orientational rhythm. However with Kim Jeong-ja and Kim In-je has 88.2% which are the highest. In Taryeong Choi Chung-woong and Kim Jeong-ja, Choi Chung-woong and Kim In-je in melody movement showed 61.7% similarity but has no similar orientational rhythm. With 87.5% of similarity Kim Jeong-ja and Kim In-je's melody, oriented rhythm are almost identical. In conclusion, analysis of comparing rhythm, orientation and melody by 1930's descending process of Traditional Gayageum music piece and currently using scores, it results in diverse changes and differences. Although these delicate distinctions proved to be neglectful on the surface, Our music ie movement of melody; can be effected by 시김새's astronomical chang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trace these variation. It has been descended by one root of music but it can alter and branch during the transmission. As centuries pass from orchestra's Gayageum score to modern scores even the descendent interpretation can alter and vary the music.;본 논문은 영산회상 중 염불도드리와 타령을 중심으로 연주 계통에 따른 음악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악보를 토대로 붙임새의 리듬과 장식, 선율을 중심으로 비교한 것이다. 먼저 이왕직 아악부 시절에 사용한 아악부 가야금보와 김영윤ㆍ이창규ㆍ홍원기의 악보를 각각 비교하고 김영윤-최충웅, 이창규-김정자, 홍원기-김인제와 같이 연주 계통별로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현재 전승되어지는 가야금 정악과 모태가 되었던 음악의 변화를 알고자 이왕직 아악부 가야금과 현행 음악의 수법, 장식, 리듬, 선율의 변화와 차이를 분석해보았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세 악보인 최충웅ㆍ김정자ㆍ김인제의 악보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연구한 것이다. 아악보와 김영윤의 악보는 염불도드리에서 다음과 같은 리듬과 장식, 선율의 차이를 보인다. 붙임새의 리듬은 27.4% 차이를 보이고 선율의 차이는 총 4부분에서 보이며 김영윤의 음악이 아악보보다 음이 추가되었다. 타령에서 붙임새의 리듬은 15.6% 차이를 보이고 장식의 차이는 6부분에서 나타나며 선율의 차이는 11부분에서 나타난다. 아악보와 이창규의 악보는 염불도드리에서 다음과 같은 리듬과 장식, 선율의 차이를 보인다. 붙임새의 리듬은 31.4% 차이를 보이고 선율은 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창규의 음악에서 음이 추가되었다. 타령에서 1-2수법이나 전성의 리듬은 동일하지만 뜰동의 리듬 붙임새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붙임새의 리듬은 8.6% 차이를 보였다. 장식의 차이는 6부분에서 나타나며 선율의 차이는 11부분에서 나타난다. 아악보와 홍원기의 악보 중 염불도드리에서 장식의 붙임새 리듬은 1-2수법과 전성, 뜰동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붙임새의 리듬은 28.4% 차이를 보이고 선율의 차이는 2부분에서 나타난다. 타령에서 붙임새의 리듬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1-2수법과 전성, 뜰동 모두에서 나타나며 붙임새의 리듬은 24.2% 차이를 보였다. 장식의 차이는 6부분, 선율의 차이는 4부분에서 나타난다. 국립국악원 계통인 김영윤과 최충웅의 악보는 염불도드리에서 다음과 같은 리듬과 장식, 선율의 차이를 보인다. 붙임새의 리듬은 30.4% 차이를 보였으며 볶는 염불의 박자의 변화가 두 악보의 가장 큰 차이라 할 수 있겠다. 장식은 2부분에서 차이나며 선율은 동일하다. 타령을 비교해 본 결과 붙임새의 리듬과 선율은 동일하고 장식음에서 2부분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창규와 김정자의 악보는 염불도드리에서 다음과 같은 리듬과 장식, 선율의 차이를 보인다. 붙임새의 리듬은 19.6% 차이를 보이고 장식에 있어서 차이는 총 306박 중 15박에서 나타나며 선율의 차이는 3부분에서 나타난다. 타령을 비교해 본 결과 붙임새의 리듬은 30.4% 차이를 보였다. 장식의 차이는 총 384박 중 79박에서 나타난다. 타령 곡 자체가 염불도드리보다 박자가 빠르고 화려한 꾸밈이 많은 동시에 이창규와 김정자의 기본 수법의 차이로 인해 장식에서 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선율의 차이는 9부분에서 나타났다. 훙원기와 김인제의 악보에서 염불도드리 중 리듬의 차이는 왼손 수법인 뜰동에서 많이 보였다. 붙임새의 리듬은 9.8% 차이를 보이고 장식의 차이는 전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총 306박 중 10박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선율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데 김인제는 염불도드리에서 연주가 끝나는 경우 2장단이 더 추가되는데서 차이가 있다. 타령 중 리듬의 차이는 염불도드리와 같이 뜰동에서 나타난다. 붙임새의 리듬은 13.3% 차이를 보이고 장식의 차이는 염불도드리와 마찬가지로 전성에서 나타나며 타령 총 384박 중 7박에서 나타났으며 선율은 동일하다. 아악보와 최충웅, 김정자, 김인제 각 악보의 장식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악보는 전성과 뜰동에 한정되어 표기가 되어 장식의 비교에서는 제외하였다. 최충웅과 김정자, 김인제의 세 악보의 장식을 비교한 결과 퇴성과 전성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염불도드리에서 총 306박 중 50박, 타령에서 총 384박 중 81박에서 장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세 악보 중 김정자의 악보는 최충웅과 김인제에게 없는 장식이 많이 나타났다. 아악보와 최충웅, 김정자, 김인제 각 악보의 염불도드리와 타령의 선율, 리듬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염불도드리에서 아악보와 최충웅이 동일한 부분은 85.3%이고, 아악보와 김정자가 동일한 부분은 65.7%, 아악보와 김인제가 동일한 부분은 64.7%으로 나타났으며 아악보와 최충웅이 선율과 뜰동, 1-2수법의 리듬에 있어 가장 많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령에서 아악보와 최충웅이 동일한 부분은 70.3%이고 아악보와 김정자가 동일한 부분은 66.4%, 아악보와 김인제가 동일한 부분은 64.8%으로 나타났으며 타령 역시 아악보와 최충웅의 선율이 뜰동 리듬에서 가장 많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충웅, 김정자, 김인제의 악보 중 최충웅이 가장 아악보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최충웅, 김정자, 김인제 각 악보의 염불도드리와 타령의 선율과 리듬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염불도드리에서 최충웅과 김정자는 선율 진행에 있어 63.7% 일치하고 최충웅과 김인제는 62.7% 일치하며 장식의 리듬에서 일치하는 부분은 거의 없다. 반면 김정자와 김인제는 88.2% 일치하며 모든 장식의 리듬이 세 악보 중에서 가장 많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령에서 최충웅과 김정자, 최충웅과 김인제는 선율 진행에 있어 61.7% 일치하고 장식의 리듬에서는 일치하는 부분이 없다. 김정자와 김인제의 선율이 일치하는 부분은 87.5%으로 전반적인 선율과 장식 리듬에서 유사하다. 가야금 정악의 3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악보를 비교해본 결과 각 악보의 붙임새와 장식, 선율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미세한 차이 즉, 표기상의 차이로 큰 변화 없이 거의 동일한 음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 음악은 시김새의 미분음적인 효과가 선율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알아보는 일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한 스승에게 배운 음악일지라도 그 음악은 전승 과정에서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고 시간이 흐르면서 다른 계보를 형성하고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 3 C.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6 Ⅱ. 아악부 가야금보와 김영윤ㆍ이창규ㆍ홍원기의 악보 비교 = 8 A. 아악부 가야금보와 김영윤 『교재:가야금보』 비교 = 8 B. 아악부 가야금보와 이창규 『정악가야금전집』 비교 = 19 C. 아악부 가야금보와 홍원기 『정악가야금보』 비교 = 29 D. 소결 = 39 Ⅲ. 연주 계통별 비교 = 43 A. 김영윤『교재:가야금보』와 최충웅 『가야금정악보』 비교 = 43 B. 이창규 『가야금정악전집』와 김정자『정악가야금보』비교 = 51 C. 홍원기 『정악가야금보』와 김인제 『정악가야금보』 비교 = 70 D. 소결 = 77 Ⅳ. 아악부 가야금보와 현행 가야금보 비교 = 83 A. 악보기재 방법 비교 = 83 B. 장식 비교 = 85 C. 붙임새의 리듬 유형ㆍ선율 비교 = 96 D. 소결 = 130 Ⅴ. 결론 = 139 참고문헌 = 142 부록악보 = 144 ABSTRACT = 1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962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영산회상 중 염불도드리·타령의 선율과 주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아악부 가야금보와 현행 악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Study on melody and technic of Yumbul-Doduri/Taryeong in Yeongsan Hoisang : Focus on Lee Wang-jik orchestra score and modern score-
dc.creator.othernameHwang, Ji-young-
dc.format.pagexii, 1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