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운조-
dc.contributor.author한안나-
dc.creator한안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9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96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정재 중에서 가인전목단, 무고, 처용무, 춘앵전을 중심으로 정재음악과 기악곡과의 해금선율을 비교·분석한 것으로 먼저 정재 음악의 장단을 기악곡의 장단과 비교 분석한 다음 정재음악을 기악곡의 선율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유사한 경우, 다른 경우, 추가된 경우, 축약된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비교가 불가능한 추가된 경우와 축약된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 가지 경우로 빈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비교 분석한 결과 중 다른 경우는 음정이 기악곡과 어떻게 다르고 기악곡과 선율진행이 어떻게 다른지도 알아봄으로서 이 결과를 토대로 정재음악과 기악음악과의 해금선율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좀 더 알아보기 위한 논문이다. 가인전목단, 무고, 처용무, 춘앵전을 중심으로 정재음악과 기악음악과의 해금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인전목단 반주음악의 장단은 기악곡의 장단과 비교 분석한 결과 장단은 기악곡과 동일하다. 선율의 비교에서는 가인전목단 반주음악은 기악곡에는 없는 잦은 타령이라는 추가돼 비교할 대상이 없으므로 비교대상에서 제외한다. 전체 582박 중 동일한 경우는 544박으로 전체의 93.5%, 유사한 경우는 3박으로 0.5%, 다른 경우는 35박으로 6.0%이다. 이는 가인전목단에서 쓰인 곡들이 기악곡과 동일한 경우가 93.5%로 거의 똑같은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인전목단의 반주 음악과 기악곡 두 선율이 다른 부분은 관악영상회상 삼현도드리 돌장과 제 1장 1각, 관악영산회상 염불도드리 제 1장 1각 의 경우는 반진행을 보이고 창사 전에 연주되는 염불도드리 제 1장 1각, 빠른도드리 1각~2각, 관악영산회상 타령 제 1장 3각의 4박, 제 1장 3각의 10박, 제 1장 4각의 10박, 제 1장 6각의 10박, 제 1장 8각의 7박, 제 2장 1각 1박과 길타령 제 3장 3각과 제 4장 2각의 경우는 유사 진행을 보인다. 둘째, 무고의 반주곡은 기악곡의 장단과 비교 분석한 결과 장단은 기악곡과 동일하다. 무고의 정재음악에도 잦은 타령이 추가되지만 비교할 대상이 없으므로 제외한다. 무고의 반주곡과 기악곡의 선율과 비교했을 때 전체 468박 중 동일한 경우는 436박으로 전체의 93.2%, 유사한 경우는 2박으로 0.4%, 다른 경우는 30박으로 6.4%이다. 이는 무고에서 쓰인 곡들이 기악곡과 동일한 경우가 93.2%로 거의 똑같은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선율이 다른 것은 관악영산회상 삼현도드리 돌장과 제 1장 1각, 관악영산회상 염불도드리 제 1장 1각의 경우는 반진행을 하며, 관악영산회상 타령에서는 기악곡에서는 潢(♩)으로 하는 것이 반주곡에서는 無(♩)로 끌어올려 연주되는데 이것은 제 1장 3각 4박, 제 1장 3각의 10박, 제 1장 4각의 10박, 제 1장 6각의 10박, 제 3장 3각의 10박, 제 4장 2각의 4박에서 보인다. 그리고 기악곡에서의 潢(♩)을 無(♩)로 낮추어 연주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제 1장 8각의 7박, 제 2장 1각 1박에서 나타난다. 유사와 다른 경우가 섞인 제 3장 3각은 종지형도 같으며 그 부분만 다른 것이지 다른 부분은 같으므로 유사진행으로 보아야한다. 그리고 길타령 제 1장 6각의 경우도 유사진행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처용무의 반주곡은 기악곡의 장단과 비교 분석한 결과 향당교주 장단의 경우 20박에서 10박으로 축소된 가운데 장단 흐름은 비슷하다. 나머지 장단은 기악곡과 동일하다. 선율은 향당교주는 기악곡에서 축약된 경우고, 반염불은 추가되지만 비교할 대상이 없으므로 제외한다. 처용무의 반주곡과 기악곡의 선율과 비교했을 때 전체 310박 중 동일한 경우는 301박으로 전체의 97.1%, 유사한 경우는 2박으로 0.65%, 다른 경우는 7박으로 2.25%이다. 이는 처용무에서 쓰인 곡들이 기악곡과 동일한 경우가 97.1%로 거의 똑같은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선율이 다른 부분은 관악영산회상 삼현도드리 돌장과 제 1장 1각의 경우 반진행을 하며, 웃도드리 제 1장 1각의 경우는 첫 음 빼고 같으므로 유사진행을 한다. 넷째, 춘앵전의 기악곡의 장단과 비교 분석한 결과 향당교주의 경우 20박에서 10박으로 축소되면서 장구의 패턴을 비슷하지만 기준 박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머지 장단은 기악곡과 동일하다. 향당교주와 중령산은 기준박이 틀리므로 비교에서 제외하고 기악곡의 선율과 비교했을 때 전체 412박 중 동일한 경우는 410박으로 전체의 99.5%, 유사한 경우는 없고 다른 경우는 2박으로 0.5%이다. 이는 춘앵전에서 쓰인 곡들이 기악곡과 동일한 경우가 99.5%로 거의 똑같은 선율로 진행된다. 또한 두 선율이 다른 부분인 빠른도드리 제 1장 1각의 경우 첫 음 빼고 같으므로 유사진행으로 보아야한다.;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Jeongjae music done with Haegeum melody. By seeking the differences in some of the musical pieces for Jeongjae which their instrumental music have only used the Haegeum melody. Gainjunmockdan, Mu-go, cheoyongmu, and Chunangjeon are four main musical pieces used for playing Jeongjae, and these will be analyzed in this research. With a short summary of Jeongjae, its pattern, jangdan and melody for Jeongjae music will be compared with the instrumental music. First of all, Gainjunmockdan uses almost same jangdan as the instrumental music. 93.5% of whole music progress in a same melody (522 beats are same out of 582) and the rest parts go in a contrary motion. Second musical piece is Mu-go. In this piece, the jangdan is equivalent to the instrumental music and also in the Mugo, its melody has no distinction to other instrumental music. 93.2% of music progress in a same melody (436 beats are same out of 468) and the rest parts go in a contrary motion. Third musical piece is Cheoyongmu and its jangdan used has similarities with instrumental music except for its beat is reduced to 10 beats. In addition to jangdan, the melody analyzed with the instrumental music and concluded that 97.1% of music progress in a same melody (436 beats are same out of 468) and the rest parts go in a contrary motion. Lastly about the Chunangjeon, its jangdan is reduced to 10 beats. When Chunangjeon is compared in melodious view with other instrumental music, there are not many differences. 410 beats are same out of 412. And the rest parts go in a contrary mo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2 Ⅱ. 본론 = 5 A. 가인전목단 = 5 B. 무고 = 20 C. 처용무 = 32 D. 춘앵전 = 48 Ⅲ. 결론 = 61 참고문헌 = 64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215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재음악의 해금 선율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가인전목단·무고·처용무·춘앵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mparison and analysis on Haegeum melody of instrumental music and Jeongjae music : Specializing in four traditional plays, the Gainjunmockdan, the Mu-go, the cheoyongmu, and Chunangjeon-
dc.creator.othernameHan, An Na-
dc.format.pageⅸ,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