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정남희제 황병기류와 정남희 산조의 비교연구

Title
정남희제 황병기류와 정남희 산조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Hwang Byung Ki Sanjo and Jung Nam Hee sanjo : Focus on the jajinmori
Authors
김태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1890년경 김창조에 의해 처음으로 가야금 산조가 만들어진 이후, 남한에서는 김창조 계열에 속하는 여러 유파의 가야금 산조가 전승되었으며 북한에서는 안기옥(安基玉:1894~1974) 및 정남희(丁南希:1905~1984) 가야금 산조가 전승되었다. 황병기는 1998년에 김윤덕으로부터 배운 정남희의 가락을 바탕으로, 정남희 가야금 산조의 고음반과 월북이후 녹음된 음반을 참고하여 가락을 재구성하거나 황병기 자신이 직접 가락을 보충하고 손질하여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를 완성했다. 본고는 정남희 가야금 산조와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의 구성과 선율 비교를 통해 두 산조의 연계성과 차이점을 밝혀내고, 다른 산조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황병기류와 정남희 산조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자진모리 196장단과 정남희 가야금 산조 중 1934년 유성기 음반 자진모리 95장단, 1939년 유성기 음반 자진모리 105장단, 1992년 김길환 채보 가야금 산조자진모리 95장단의 구성과 선율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황병기류와 정남희 가야금 산조 자진모리의 단락을 나누어 구성을 비교한 결과 황병기류와 정남희 산조의 연주순서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병기류 자진모리는 월북이전 · 이후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전하는 정남희 산조 자진모리의 가락을 각각 부분적으로 차용하여 한 악장으로 재구성해 낸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구성으로 볼 때, 1934년 유성기음반 정남희 산조 · 1939년 유성기음반 정남희 산조 · 1992년 김길환 채보 정남희 산조선율을 1939년 유성기음반 정남희 산조→1934년 유성기음반 정남희 산조→1992년 김길환 채보 정남희 산조 순으로 배열하면 황병기류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 된다. 둘째, 황병기류와 정남희 가야금 산조 자진모리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 동일선율 41%, 유사선율 9%, 변형선율 9%, 상이선율 41%였다. 정남희 산조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동일 · 유사 · 변형선율은 59%였고, 41%를 차지한 상이선율 80장단 중 40장단은 김윤덕 가야금 산조 자진모리와 동일 · 유사 · 변형선율이며 나머지 40장단은 황병기 가야금 산조에만 있는 독창선율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약20.5%는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 자진모리와 동일 · 유사 · 변형선율이며 나머지 약20.5%에 해당하는 부분이 황병기류의 독창선율이었다. 정남희 산조의 유형별로 따졌을 경우,총 117장단의 동일 · 유사 · 변형선율 중 1934년 유성기음반 정남희 산조와 1992년 김길환 채보 정남희 산조가 각각 42장단으로 동일하게 많았으며 1939년 유성기음반 정남희 산조의 동일 · 유사 · 변형선율은 33장단이었다. 이상과 같이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는 정남희의 직계제자인 김윤덕으로부터 정남희의 가락을 그대로 전수한 황병기가 정남희의 가락을 바탕으로 정남희의 월북이전과 월북이후에 녹음된 음원을 자료로 하여 가락을 손질하고 덧붙인 산조다.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는 이미 작곡가로 명성을 떨친 황병기가 수십 년간 고심한 끝에 내어놓은 최신 가야금 산조이며, 그 가락의 근본이 월북 이후 이름을 명시하는 것조차 금지되었다가 최근 들어 업적을 재조명하고 있는 정남희의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다. 산조의 매력은 기본 골격이 유사함에도 연주자에 따라 음악적 분위기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유파간의 음악적 매력이 가지각색이란 점은 말할 것도 없고, 같은 유파라도 연주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연주된다.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와 정남희 가야금 산조도 연주자의 곡 해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연주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와 정남희 가야금 산조 연구에 미흡하나마 보탬이 되길 바라며 이 두 가지의 산조가 좀 더 많은 연주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고 독창적으로 연주되길 기대해본다.;Since Kimchangjo made the first style of Kayageum Sanjo in the 1890th, many styles, which were belong to Kimchangjo style, wer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styles of Ahnkiok and Jungnamhee were transmitted publically in North Korea. Based on the learning Jungnamhee style from Kimyoonduk as well as reference to Jungnamhee's old record, Hwangbyungki reorganized not only the playing style as his own standard but also melody to his own style. Finally he accomplished Kayageum sanjo of Jungnamhee -Hwangbyungki style in 1998. In this paper, two different types of Kayageum Sanjo styles, which are Jungnamhee style and Hwangbyungki style, are to be discussed. Even though they seem to be different at first glance, they two have many things in common. Moreover, it is interesting factors that they have many effects to each other in various. After comparing three types of style, which are Kayageum Sanjo of Hwangbyungki Jajinmori 196 jangdans, Kayageum Sanjo of Jungnamhee's record jajimori 95 jangdans in 1934, Kayageum Sanjo of Jungnamhee's record jajimori 105 jangdans in 1939 and Kayageum Sanjo of Jungnamhee's record jajimori 95 jangdans in 1992,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hythm and playing sequence in each jajinmori composition, it could be found that Hwangbyungki style and Jungnamhee style were not so much different. The jajinmori of Hwangbyungki style seemed to select many partial melodies of Jungnamhee Sanjo jajinmori, and reorganized it. In other words, if it is arranged like record of Jungnamhee Sanjo in 1939-> record of Jungnamhee Sanjo in 1934-> record of Jungnamhee Sanjo in 1992, it is recognized that they do not have different structures, Second, in the view of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jajinmori of Hwangbyungki Sanjo and the jajinmori of Jungnamhee Sanjo, they had 41% of same melody, 9% of similar melody, 9% of modified melody, and 41% of different melody. The Same·Similar·Modified melody, which might be influenced by jungnamhee sanjo, are 59%. In addition, the 40 jangdans out of the 80 jangdans, which was about 41% in total, were similar with Kimyoonduk’s jajinmori.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40 jangdans was only expressed to Hwangbyungki. After all, about 20.5% in total had same·similar·modified melody with the Jajinmori of Kayageum Sanjo of Kimyoonduk. The rest portion of 20.5% was creatively written by Hwangbyungki. Looking into three types of Jungnamhee Sanjo, record of Jungnamhee Sanjo in 1934 and record of Jungnamhee Sanjo in 1992 had the most same similar modified rhythms, which were about 42 jangdans respectively out of 117 same similar modified rhythms. Furthermore, the second rank was record of Jungnamhee Sanjo in 1992, which had about 33 same similar modified jangdans. In Conclusion, Kayageum sanjo of Jungnamhee-Hwangbyungki style is composed of the tune which Hwangbyungki himself corrected in some parts and newly produced besides Jungnamhee’s tune, based on Jungnamhee’s sound sources before and after crossing over into North Korea. Despite similar melodies and composition, they can be played differently by each player and depending on the way of playing. That is one of the attractiveness that Sanjo has. Kayageum sanjo of Jungnamhee-Hwangbyungki style and Kayageum sanjo of J ungnamhee style could be played variously by the performers’ desire or style. I wish this paper would help the understanding of Kayageum sanjo of Jungnamhee-Hwangbyungki style and Kayageum sanjo of Jungnamhee style more, and also expect that they are played more creatively as well as various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