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연-
dc.contributor.author이세리-
dc.creator이세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49-
dc.description.abstractThe new media innov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recent digital technology has a large effect on the society as a whole and brings the changes of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modern people. Also, by reflecting these changes on today's art and design various aspects that accept new values by getting out of the modern theory of knowledge were developed on the base of art. The fashion field where the change is like fate is also certain that it shows the different forms of design from the previous on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ndamentals of post-modernistic philosophy and its major concepts that have a strong effect on the new concept, art and design that brings into the relief in modern society, to investigate the related cases with value changes of recent art and design as a whole which are connected to the innovation of new media, an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hange aspects in the color and graphic that appear in the modern fashion under the situation of 21st transitional design paradigm with the discernment attitude crossing the previous researchers. By accomplishing the purposes like this, we will be able to search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hanges which will be approached repeatedly based on the present aspect appeared in the color and graphic of modern fashion. The topic that will be dealt in this study mostly is the color and graphic that appear in the surface of clothes whose area of expression was greatly extended because of the effect of recent new media age. Including all the clothes such as stage costumes, concept design clothes that is to face the actual design development as well as the clothes with the daily wear, this study even includes the cases of color and graphic whose realization is based on the advanced technique of new media technology and the cases whose expression result is appropriate to the flow of new media age. For collecting the subjects of study, we collected the picture data and movie data from the recent fashion collection, the product data from the research institutions and industries, and the presentation data or press releases from other exhibits. To discuss these subjects, a modern philosopher Gilles Deleuze (1925-1995) provided the major frame of recognition under the 21st century transitional design paradigm. Modern study was conceived the digital language for the first time and it all connected with a scholar Gottfired Wilhelm von Leibniz (1646-1716) who claimed the new concept of existence based on Monadenlehre or a cause of Henri-Louis Bergson (1859-1941) who is famous for the concepts of continuance, generation and the event. The philosophy of event which Deleuze spreaded is connected to the today's changed value as a result of changing the content of general pursuit of human values by reorganizing from the direction of rigid thought which is mechanical and vertical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ide and placed too much emphasis on the center to the synthesized and lively, horizontal and dispersive and self-controlled direction and by changing from result-based to process-oriented and from the clear value that was believed to be immovable and eternal to uncertain, temporary and vague one. As a study for color and graphic of modern fashion, this study was considered the aspects that newly entered into the new media age by connecting with the Deleuze's philosophy of even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organization of value that formed when it reached to the new media age is in collusion with the new change and flow that the color and graphic of modern fashion move toward. In other words, the new environment that comes to us changes the values that the time is intended, from immovable to self changing, from material to dematerialized, from clear to vague and from eternal to temporary. This can be the essential foundation to explain the color and graphic of modern fashion which is existed as a 'event'. The new trend of color and graphic appeared in modern fashion of new media age is classified as the existence of hypersurface, the existence of dematerialization and the existence of generative extension. Most fundamentally the color and graphic shown newly in the flow of new media age took the leading part in hypersurfacing the surface of clothes itself. Not existing as a determined state, it is possible to grasp as a simulacre, that is, a world of event which is holding a superior position than materials at the modern time by obtaining the phase of event. Even though when it doesn't come to the surface, its existence itself is not denied but is more accounted as a existence with the potential of more various divergence and proliferation while keeping the difference. Also, this event such as shock that happens in the surface is connected to the restoration of human senses ontologically which was not recognized more than rationality in the modern thinking system. The modern fashion color and graphic as a dematerialized existence that dismantles the physical space concept and also completeness could accomplish the extension of expression by generating the time and experience, and it plays a role as a hero that could exist through the creation of exchange and fusion which becomes the major issue in the 21st century design field. On the other hand, am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discussed the changes of color and graphic in the modern fash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ffect on especially the human beings which is the wearing subject. The color and graphic as an event that appeared in the modern fashion were already born with the background of new perception ability and recognition change of human beings, and also by having an effect on the life of human beings it can act strongly on as a element to cause another sense perception and recognition change.;최근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발달로 인한 뉴미디어의 혁신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현대인의 지각과 인식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의 예술과 디자인에 반영되어, 근대의 인식론을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수용하는 다양한 양상이 예술 저변에 전개되고 있다. 변화를 숙명으로 하는 패션 분야 역시 이러한 흐름 안에서 이전과 다른 방식의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음이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 부각되고 있는 새로운 개념 및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탈근대적 철학 기반과 그 주요 개념을 탐색하고, 이에 뉴미디어의 혁신과 연계된 최근의 예술과 디자인 전반의 가치 변화 관련 사례를 면밀히 조사하며, 선학의 연구를 가로지르는 통찰적 자세로 21세기 전환적 디자인 패러다임의 상황 속에 현대패션에 나타나는 컬러와 그래픽의 변화 양상에 대해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함으로써 현대패션의 컬러와 그래픽에 나타난 현재적 양상을 기반으로 거듭 다가올 변화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룰 내용은 최근 뉴미디어시대의 영향으로 표현의 영역이 대폭 확장된 의상의 표면(surface, 表面)에서 보여지는 컬러와 그래픽이다. 일상적 착용을 목적으로 한 의상뿐 만 아니라, 공연 의상, 실제적 디자인 개발을 앞둔 컨셉디자인 의상 등 일체를 포함하여, 구현 자체가 뉴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진보 기술에 기반한 컬러와 그래픽뿐 만 아니라 표현 결과 자체가 뉴미디어시대의 흐름에 걸맞은 사례까지 포함한다. 이에 연구대상 수집에 있어 최근 패션 컬렉션의 사진 자료 및 동영상 자료, 연구기관 및 산업체의 제품 자료, 기타 전시 행사 중 작품발표 자료, 언론 보도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연구대상을 논의함에 있어 특히 21세기 전환적 디자인 패러다임의 상황 속에 주요 인식의 틀을 현대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로부터 제공받았다. 현대 디자인 및 예술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깊이있는 설명을 가능하게 했던 들뢰즈의 철학은 디지털의 언어를 최초로 사고하였고 모나드론에 기초하여 존재의 신개념을 주장한 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1716)나, 지속 및 생성, 사건의 개념으로 특징적인 앙리 베르그손(Henri-Louis Bergson. 1859-1941) 사유와 이어지고 있다. 들뢰즈가 펼친 사건의 철학은 결국 인류의 보편적 가치 추구의 내용이 변화하게 되어, 양적인 측면에 집중되었던 기계적이고 수직적이며 중앙으로 편중되었던 경직된 사고의 방향이 총합적이며 생명체적이고 수평적이며 분산적이고 자율화된 방향으로 재편되며, 결과중심적인 것이 과정중심으로 바뀌며, 고정적이고 영원하리라 믿었던 명확한 가치가 불확정적이고 일시적이며 모호한 것으로 변화된 오늘날의 가치와 긴밀하게 연계된다. 현대패션의 표면에 나타난 컬러와 그래픽에 대한 연구로서 뉴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양상을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과 연계하여 고찰한 본 연구에 의하면, 뉴미디어시대에 이르러 형성된 가치의 재편은 현대패션의 컬러와 그래픽이 지향해 가는 새로운 변화의 흐름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즉 우리에게 다가온 새로운 환경이, 시대가 지향하는 가치를 고정적인 것에서부터 스스로 변화하는 것으로, 물질적인 것에서 비물질적인 것으로, 명확한 것에서 모호한 것, 영원한 것에서 일시적인 것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는 ‘사건’으로 존재하게 되는 현대패션의 컬러와 그래픽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 기반이 될 수 있다. 뉴미디어시대 현대 패션에 등장하는 새로운 경향의 컬러와 그래픽은 초표피적 존재, 비물질적 존재, 생성적 확장의 존재로 분류된다. 가장 기본적으로 뉴미디어시대의 흐름 속에 새롭게 보여지는 컬러와 그래픽은 의상의 표면 자체를 초표피화하는 주역이 되었다. 컬러와 그래픽이 결정된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시뮬라크르, 즉 사건의 위상을 획득하여 현대에 이르러 물질보다 더 우위에 자리잡는 사건의 세계로서 파악이 가능하다. 이것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 때에도 그 존재 자체가 부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이를 간직한, 보다 더 다양한 분기와 확산을 잠재한 존재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표피에 일어나는 진동과 같은 사건 현상들은 근대적 사고체계 내에서 이성에 비해 인정받지 못했던 인간 감각을 존재론적으로 복권시킴과 연결된다. 물질적 공간 개념이 해체되며 완결성 또한 해체되는 비물질적 존재로서의 현대패션 컬러와 그래픽은, 시간과 경험을 생성하며 표현의 확장을 이룰 수 있었고, 더불어 21세기 디자인 분야에 주요 이슈가 되는 교류 및 융합의 생성을 통해 존재할 수 있었던 주인공으로 보여진다. 한편, 현대패션 컬러와 그래픽의 변화를 논한 본 연구의 결과 중, 특히 착용의 주체가 되는 인간에 미치는 영향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대의 패션에 나타난 사건으로서의 컬러와 그래픽은 이미 인류의 새로운 지각능력과 인식 변화를 배경으로 탄생함은 물론, 다시 인류의 삶에 영향을 미쳐 또 다른 감각지각, 그리고 인식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요소로서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의의 = 3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1. 연구의 범위 = 4 2. 연구의 방법 = 16 Ⅱ. 이론적 배경 = 20 A. 뉴미디어와 현대사회 = 20 1. 뉴미디어의 개념 및 특징 = 20 2. 뉴미디어시대 현대사회의 지각과 인식의 변화 = 25 B. 뉴미디어시대 인식 변화와 철학적 배경 = 33 1. 기계론의 극복 = 34 2. 사건의 존재론 = 37 3. 들뢰즈의 주름론 = 41 4. 사건과 주름 = 47 5. 차이의 존재론 = 49 6. 주름 사유와 디지털 = 55 Ⅲ. 뉴미디어 아트의 특징 및 전개 양상 = 58 A. 뉴미디어 아트의 특징 = 59 B. 뉴미디어 아트의 전개 = 63 1.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열린 가능성 = 63 2. 물질과 비물질적 이미지의 경계 진화 = 72 3. 경험과 교감에 의한 현실의 확장 = 87 Ⅳ. 뉴미디어 영향의 패션 컬러 및 그래픽 표현 특성 = 98 A. 변화를 수반한 컬러와 그래픽 = 100 1. 생성과 소멸의 변화 = 100 2. 감응체로서의 전환적 변화 = 105 3. 계획된 구조에 의한 변화 = 111 B. 빛의 연출로서의 컬러와 그래픽 = 118 1. 빛의 조형과 패션디자인 = 119 2. 감응체로서의 빛의 발현 = 131 3. 표면에서 공간으로의 확장 = 141 C. 스크린을 전제한 컬러와 그래픽 = 148 1. 영상미디어에 의한 가상그래픽 표현 = 149 2. 디지털 이미지의 패션스크린 = 156 Ⅴ. 뉴미디어 영향의 패션 컬러 및 그래픽의 의미 고찰 = 162 A. 초표피적 존재 = 164 1. 시뮬라크르로서의 위상 = 164 2. 잠재와 현실 = 169 3. 감각의 복권 = 171 B. 비물질적 존재 = 175 1. 물질적 공간 개념의 해체 = 175 2. 완결성의 해체 = 180 C. 생성적 확장의 존재 = 184 1. 시간의 생성 = 184 2. 경험의 생성 = 191 3. 교류 및 융합의 생성 = 194 Ⅵ. 결론 = 201 참고문헌 = 206 Abstract = 2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767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뉴미디어 영향에 의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표면 표현 방식의 변화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nge of Surface Expression Method in Modern Fashion design by the Effect of New Media-
dc.creator.othernameLee, Se ri-
dc.format.pagexii, 21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