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ing copyright system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Authors
김효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The government publications are official records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for people's understanding the policy of the nation an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source of information. The government publications not only include information of various fields closely related to the people's real life, but also are possible to make the high value added according to practical use. Thus, the government publications have a great value and the demand for that is increasing. However government publications als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records and work, so, government publications are in pursuit of two contradictable goals; public ownership and copyright protection. As a result, it brings about legalistic collision and confusio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have lo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and have mad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by setting a policy about government publications, but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provided the legal basis and related policies. Thu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them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using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better plans for the copyright for using government publications. It covers opinions from those in charge of records, users' recognitions and the need for the copyright of government publication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literary research, case study analysis, and survey questionnaires. The access right and the copyright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were checked. Also, the internal law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ry research. Problems rising at home and the foreign policies about government publications were checked through case studi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frequency of occurrence of copyright problems about the government publications is in proportion to the demand of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This study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s to 96 persons in charge of records at 54 government office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Busan. Three locations were the top three highest demand frequencies on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figures in 2008. Those who used the civil affairs offices at city halls in those areas were interviewed as wel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ost of the staffs and users consented to the copyright of government publications, they also requested polici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access right.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access rights on government publications provides a legal basis for regulations to prevent misuse and pursue fair-use. Second, regarding the ownership of the copyright,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t response rate between the staff and the users, there were answers insisting that it would be better for the government to own the copyright on government publications and manage it comprehensively. Third, both the staffs and the users called for restrictions regarding the misuse of the copyright on government publications. According to survey questionnaires, the respondents agreed with commercial use, but presented a negative view on the access and use by foreigners. Moreover, the staffs had affirmative answers while users raised an objection to the license to use and process the copyright on government pub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 there are remedies to solve the problems about copyright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legal factors, a clear definition and a range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stated plainly in related laws. It is desirable to state it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ince it is part of the public records. Second, there is a need to make sure whether the copyright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could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ince most of the respondents acknowledge the copyright on government publications, it is proper to recognize the copyright. However, they are worried about restriction access that might be bought by admitting the copyright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On the acces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opyright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but at the same time related policies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the copyright from infringing on the access right. Third, the ownership of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clearly defined. The government should hold the ownership of government publications and entrust the authorities with the copyright. As few as the political factors are concerned, first, the government has to arrange the terms about permission to use and process the government publications. Although the process of checking permission to use the government publications is needed, unnecessary processes cause a waste of the human labor and expense. So, the government should classify government publications according to the terms of use and differentiate their process accordingly.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arrange a policy concerning the private or personal use. The copyright consent of government publications is apt to act as an obstacle such as information monopolies of the government. Thus, the government should prevent such problems and arrange plans to support the commercial use. Third, the government should regulate the misuse of government pub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even if the access right may possibly be infringed, most of respondents recognize the copyright of government publications due to the concerns for its misuse. Thus, plans should be provided to regulate the misuse. Fourth, a lack of recognition in government publications will lead to an infringement of the copyright. Thus, the government has to enforce a positive education and raise awareness of the staffs and users for better recognition and the proper use of government publications. Fifth, the public office itself should put an effort to participate in "donating copyrights of government publications"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Sixth, a proper fee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the private use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If the fee for the information service is severely low, it will provoke a waste of the human labor and expense because of the increase of an indiscernible demand on information services. On the other hand, if the fee is pretty high, it will interrupt the use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sonable expense system. We should recognize that related policies of the copyright have not been laid down, in using government publications. So, this study is meaningful among others in that it suggests plans for improvement to solve it and reflects the real situation of the country.;정부간행물은 정부기관이 생산한 공식적인 기록물로서, 국민이 국가의 정책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정부간행물은 국민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활용에 따라 높은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간행물은 공공기록물이면서 저작물이라는 특성 때문에 정보공유와 정보보호라는 상반된 이념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어서 이용에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정부간행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를 통해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해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관련정책 미흡하므로, 정부간행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하여 적절한 법적근거와 제도의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간행물에 대한 기록물담당자와 이용자의 저작권 인식 및 요구조사를 통해 이용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 그리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정부간행물의 접근권과 저작권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 관련법을 분석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조사하였으며, 국외 정부간행물의 저작권 관련 정책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2008년 정보공개청구현황에서 가장 높은 청구빈도를 보이는 지방자치단체 중, 1위인 서울특별시(16.8%), 2위인 인천광역시(5.9%), 3위인 부산광역시(5.7%)의 시·구·군청 54개 기관에 근무하는 기록물담당자 96명과 동일지역의 시청을 이용하는 이용자(잠재적 이용자 포함) 17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물담당자와 이용자 대부분이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을 인정하였으나, 접근권을 침해받지 않기 위한 관련정책마련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이는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을 인정함으로써 오남용 규제와 공정이용 도모의 법적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저작권의 소유에 관하여, 기록물담당자와 이용자와의 응답 순위에 차이는 있었지만,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을 국가가 소유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부간행물의 저작권 정책에 대하여, 기록물담당자와 이용자 모두 오남용에 대한 규제와 민간 활용에 긍정적이었으나, 외국인의 접근 및 활용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이용허락조건 및 절차의 시행에 대해서는 기록물담당자는 긍정적이었으나, 이용자는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어 입장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간행물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법적 요소와 정책적 요소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법적 요소로는 첫째, 정부간행물의 정의와 범위를 관련법에 명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는 공공기록물의 일부라는 점에서, 기록물관리법에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정부간행물의 저작권 인정여부를 명확히 해야 한다. 응답자 대부분이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을 인정하였지만 그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접근의 제한을 우려하였다. 따라서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을 인정하되, 이것이 곧바로 접근권 침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련 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정부간행물의 소유자를 분명히 해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은 국가가 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활할 서비스를 위하여 소관기관이 저작권을 위임받아 관리해야 할 것이다. 정책적 요소로는, 첫째, 정부간행물의 이용허락조건 및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정부간행물의 이용에 있어 허락절차는 필요하지만, 불필요한 과정이나 절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이용조건을 분류하고 절차를 차별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간 활용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간행물의 저작권 인정은 자칫 공공기관의 정보독점으로 이어져, 민간 활용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민간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정부간행물의 오남용을 규제해야 한다. 접근권의 침해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응답자 대부분이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을 인정하는 이유는 오남용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를 규제하기 위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부간행물에 대한 인식개선과 올바른 이용을 위하여 기록물담당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정부간행물의 이용활성화를 위하여, 공공기관 스스로가 저작권 기증운동에 동참하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여섯째, 정부간행물의 민간 활용에 관한 비용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정보제공비용을 너무 낮게 책정할 경우 무분별한 정보제공요청이 증가되어 인력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될 수 있는 반면, 과도한 요금을 책정할 경우 정부간행물의 이용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비용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부간행물의 활용에 있어 저작권 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의 실정을 반영한 개선방안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